70쪽
준비 운동하기
(1) 가벼운 체조나 스트레칭을 하며 준비 운동을 한다.
(2) 손목과 발목 동 제기차기를 할 때 많이 사용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충분하게 풀어 준다.
⚠️ 유의 사항⚠️
저학년 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정확한 준비 운동 절차나 자세를 익히는 것보다는 놀이 활동에 필요한 신체 부위를 충분히 늘여 주고 풀어 주는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제기차기와 관련한 경험 나누기
(1) 제기를 보거나 사용해 본 경험을 나눈다.
(예) - 동화책에서 제기를 차는 모습을 봤어요.
-공원에서 제기차기를 해 봤어요.
(2) 제기를 사용하여 어떤 놀이를 할 수 있을지 떠올려 본다.
(예) - 제기를 높이 차 봐요.
- 친구와 제기를 주고받아요.
- 발등으로 제기를 여러 번 차요.
교사의 시범을 보고 제기를 차 본다.
※ 반드시 교사가 시범을 보일 필요는 없다. 제기차기 모습을 잘 보여 줄 수 있는 여러 미디어(사진. 영상 등) 자료를 활용해도 좋고, 제기를 잘 차는 학생이 시범을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제기차기에 익숙해질 때까지 자유롭게 제기를 차 본다.
⚠️ 유의 사항⚠️
제기를 차는 데 어려움을 겪는 학생에게는 교과서 왼쪽 위에 있는 학생의 모습처럼 줄에 제기를 매달아 연습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신체의 여러 부위로 제기차기를 한다.
① 발등으로 차기
② 발 옆으로 차기
③ 뒤꿈치로 차기
④ 그 밖에 여러 신체 부위로 차기
여러 방법으로 제기차기를 한다.
① 한발로 계속차기
② 양발로 번갈아 가며 차기
③ 땅을 딛고 계속 차기
④ 그 밖에 여러 방법으로 차기
※ 방법이 하나로 고정된 것은 아니므로 학생들이 다양한 자세와 방법으로 제기차기 놀이를 즐기는 데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① 제기를 재미있게 차 본다.
(예) - 동물을 흉내 내며 제기차기
- 춤을 추며 제기차기
② 제기를 멀리(또는 목표한 지점까지) 보내 본다.
③ 제기를 많이 차 본다.
④ 제기를 주고 받으며 차 본다.
⚠️ 유의 사항⚠️
제기차기 놀이가 가 경쟁형 놀이로 치우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리 운동하기
(1) 제기차기 놀이를 하며 다치거나 아픈 부위가 있는지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점검한다.
(2) 손목, 어깨, 발목 등 제기차기를 하며 사용한 관절과 근육을 중심으로 정리 운동을 한다.
제기차기 놀이를 하면서 느낀 점 발표하기
(1) 제기차기 놀이를 하며 자신이 한 일을 자유롭게 발표한다.
(예) - 뒷꿈치로 제기를 찼어요.
- 친구와 주고받는 놀이가 재미있었어요.
- 코끼리를 흉내 내며 제기를 찼어요.
(2) 제기차기 놀이를 하며 어떤 마음을 느꼈는지 발표한다.
(예) - 다음번에는 계기를 더 많이 차 보고 싶어요.
- 친구와 제기를 주고받는 놀이가 특히 재밌었어요.
(3) 더 즐겁게 놀이를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생각해 본다.
(예) - 질서와 규칙을 잘 지켜요.
- 친구와 사이좋게 놀이해요.
(1) 정의
구멍 뚫린 엽전이나 동전을 비단이나 한지로 접어 싼 다음, 양 끝을 구멍에 꿰고 그 한지의 끝을 여러 갈래로 찢어 술을 너풀거리게 한 제기를 발로 차며 즐기는 놀이.
(2) 유래
주로 남자 어린이들이 음력 정초를 전후한 겨울에 즐겨 노는 놀이의 하나이다. 최근에 와서 제기차기가 주로 어린이들이 즐기는 놀이가 되었지만, 옛날에는 어린이뿐 아니라 청장년층에서도 많이 행하던 놀이였다. 제기차기는 고대 중국에서 무술(武術)을 연마하기 위해 행하던 축국(蹴勒)에서 발전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축국은 국(翰)을 차며 노는 놀이라는 뜻으로, 국은 가축 주머니 속에 털 또는 헝겊과 같은 부드러운 물건을 채워서 만들었다고 한다. 7~8명이 편을 나누고 국을 높게 차올려 대나무 꼭대기에 얹은 그물 위로 많이 올리는 편이 이기는 방법이 지금의 제기차기와 비슷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김유신과 김춘추가 축국을 하다 김춘추의 옷끈이 떨어졌다는 예를 들어 축국이 오늘날의 축구와 같은 격렬한 운동으로 재기차기와는 크게 관련이 없다고 본다. 단순히 그물에 차올리는 것만으로 옷끈이 떨어질 수 없을 것이라 보는 견해이다.
(3) 놀이 방법
놀이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한 사람씩 차기도 하고 여러 사람이 모여서 마주 차기도 한다. 한 번 차고 망을 딛고, 또 차고 땅을 딛고 하는 따위의 제기차기를 땅강아지(맨제기)’, 두 발을 번갈아 가며 차는 것을 ‘어기차기(양발차기)’, 땅을 딛지 않고 계속 차는 것을 헐랭이(발 들고 차기)’ 라고 한다. 그 밖에 제기를 뒤로 차올리거나 발동 바깥쪽으로 차는 뒷발차기’, 한 번 차올린 제기를 입에 물었다가 다시 차고, 다시 무는 ‘물지기(물기)’, 제기를 자신의 키를 넘게 올려차는 ‘키지기’, 무릎으로 차는 ‘무릎차기’, 차서 머리 위에 얹었다가 떨어뜨려 다시 차는 ‘먼지기’ 등이 있다. 한 명씩 하는 개인전의 방법이 있고, 2~4명이 한편을 이뤄 하는 단체전의 방법도 있다. 두 명 이상이 차는 방법은 한 번씩 마주 보고 차기, 일정한 개수를 한 명이 차고 다음 사람이 이어받아 차는 방법 동이 있다. 앞의 여러 가지 방법 중에 어느 한 가지만을 미리 정해서 차기도 하고, ‘삼세가지’라 하여 위의 세 가지를 모두 차거나 해서 합계를 내어 승부를 짓기도 한다.
📖출처 : 한국민속대백과사전(https://folkency.nfm.go.kr/).
놀이 방법
여러 명이 편을 가르지 않고 둘러서서 제기를 한 번이나 여러 번 찬 후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는 놀이다. 넘겨주는 아이는 한 명씩 ‘동’, ‘네 ‘제’, '기’라는 운을 붙이면서 진행한다. 제기를 떨어뜨리거나 발이 아닌 다른 신체 부위에 맞거나 자기 앞에 온 제기를 다른 사람이 찰 때까지 진행한다. 동네제기 놀이는 상대방이 잘 찰 수 있게 주는 것과 정확하게 차는 것이 중요하다. 단, 놀이 방법 및 규칙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게 결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동네제기 놀이를 시작하는 단계부터 끝나는 단계까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3~4명이 편을 나누지 않고 둥글게 보고 서서 정해진 한 사람이 시작한다.
② 처음 시작하면서 ‘동’을 외치며 제기를 차서 다른 사람에게 넘겨준다.
③ 다음 사람은 ‘네’라고 외치며 제기를 받아 찬다.
④ ‘제’, ‘기’도 같은 방법으로 하면서 돌려 찬다.
⑤ 다음은 우리나라의 도시 이름을 하나씩 대면서 찬다.
⑥ 혼자 여러 번 찰 수도 있고 한 번 차고 넘겨줄 수도 있다.
⑦ 다음과 같은 경우 놀이가 종료된다.
- 제기가 바닥에 떨어졌을 때
- 제기가 발이 아닌 다른 신체 부위에 맞았을 때
_ 자기 앞에 온 제기를 다른 사람이 찼을 때
📖출처 : 한국민속대백과사전(https://folkency.nf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