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쪽
-매달려서 하는 놀이 경험에 대해 이야기한다.
예: 어른 팔에 매달려 놀아본 적이 있어요.
철봉 놀이를 한 적이 있어요.
-놀이터, 운동장 등에서 구름사다리를 하며 재미있었던 일, 위험했던 일 등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을 이야기한다.
-경험을 바탕으로 구름사다리에서 놀이할 때 지켜야 할 점을 이야기한다.
예: 힘들면 내려와요.
위에 올라가 장난치지 않아요.
내려올 때는 아래에 친구가 있는지 확인해요.
-손목, 허리, 무릎, 발목 등 관절을 중심으로 준비 운동을 한다.
⚠️ 유의 사항 ⚠️
구름사다리에 매달리는 것을 무서워하는 학생들은 발이 닿는 철봉을 잡고 매달리는 연습을 한다.
🪄 놀이 기구와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위험 요인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알려 주고 학생 스스로 안전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의 수준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름사다리에서 할 수 있는 활동을 다양한 수준으로 제시한다.
매달려서 발로 가위바위보 놀이 방법에 대해 학생들끼리 이야기한 후 교사가 정리해 준다.
( 1 ) 가위: 두 발을 앞뒤로 벌린다.
( 2 ) 바위: 두 발을 모은다.
( 3 ) 보: 두 발을 양옆으로 벌린다.
두 명씩 발로 가위바위보 연습을 한다.
구름사다리에 매달리기 연습을 한다.
구름사다리에서 한 칸씩 이동하기 연습을 한다.
발로 가위바위보 놀이 방법을 설명한다.
( 1 ) 두 팀으로 나눈다.
( 2 ) 각 팀에서 한 명씩 구름사다리 양 끝에서 출발한다.
( 3 ) 앞으로 한 칸씩 매달려 이동한다.
( 4 ) 중간에서 만나면 발로 가위바위보를 한다.
( 5 ) 이긴 사람은 앞으로 간다.
발로 가위바위보 놀이 안전 규칙을 정한다.
( 1 ) 두 명이 모두 준비가 될 때 같이 출발한다.
( 2 ) 한 칸씩 건넌다.
( 3 ) 구름사다리에서 떨어지면 다시 그 자리에서 시작할 수 있다.
( 4 ) 이동하기 힘들면 제자리에 매달려서 가위바위보만 해도 된다.
( 5 ) 힘들면 스스로 내려온다.
놀이 규칙을 지키며 발로 가위바위보 놀이를 한다.
수준에 맞게 변형 놀이를 만들어 놀이할 수 있다.
⚠️ 유의 사항 ⚠️
발로 가위바위보하는 방법은 교사가 직접 동작을 하며 설명한다.
발로 가위바위보를 연습할 때에는 매달리지 않고 서서 한다.
놀이 방법을 설명할 때에는 말로 설명하기보다 두 학생의 시범을 직접 보면서 이해하도록 한다.
제자리에서 매달리기, 한 칸 이동해 보기 등 난이도 순으로 연습하고, 이동이 어려운 학생은 제자리에 매달리기만 해도 된다고 지도한다.
힘들면 스스로 내려오도록 지도한다.
-관절과 근육을 중심으로 몸을 이완시키는 정리 운동을 한다.
-발로 가위바위보 놀이를 하면서 어떤 점이 재미있었는지, 안전 규칙을 잘 지켰는지 이야기한다.
놀이에 대한 욕구: 어린이는 놀이 행동 특성상 놀이터에서 다치는 일을 피할 수 없다. 문제는 어린이 놀이터에서 놀이 기구를 이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을 제거할 수 없다는 점이다. 놀이에 대한 본능적인 욕구 때문에 아이들은 더 높고, 더 빠르게, 더 멀리 가고자 하는 때로는 넘어지고 떨어지기도 한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자기가 의도한 대로 되지 않아 실패하면서 크고 작은 부상을 입기도 한다. 그래서 의욕적인 어린이 놀이에는 필연적으로 위험과 그에 따른 부상이 수반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어린이가 놀면서 경험하게 되는 이러한 실패와 손상은 단지 쓰라린 상처로만 남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 스스로 실패와 위험이라는 것을 배우는 편익도 있다. 즉, 다음번 도전에는 다치지 않고자 하는 지혜를 놀면서 몸으로 배우게 된다. 이것은 부모의 지도 또는 교실 안에서는 배우기 힘들며, 어린이가 직ㅈ버적인 신체적 움직임과 접촉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는 중요한 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서 살면서 만나게 될 다양한 위험을 놀이터 안에서 경험하면서 위험에 대한 대처 능력을 배우게 된다. 다만, 스스로의 선택이 아닌 시설 결함 또는 불필요한 위해 요인 때문에 어린이가 치명적인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더 세심한 안전 관리가 필요하다.
오르는 기구에서 발생하는 사고 사례
착지 시 접질림
놓치어 추락
지나다 충돌
이동 간 장난
기구 위 걷기
📖출처 : 한국놀이시설안전기술원 어린이놀이시설 안전사고 예방 안내서 https://www.kpst.or.kr/front/support/p0503/53
놀이 방법
① 준비 운동을 한다.
② 구름사다리에 두 명씩 마주 보고 오래 매달리기 대결을 한다.
③ 타이머를 준비해 개인 기록 대결로 할 수 있다.
④ 대결이 아닌 각자 목표를 정하고 ( 예: 매달려 열까지 세기 ) 매달리기 놀이를 할
수 있다.
유의점
- 힘들면 스스로 멈추는 것을 약속한다.
- 봉을 잡을 때에는 어깨너비로 잡는다.
- 봉은 주먹을 쥐듯 손을 말아 엄지손가락이 두 번째 · 세 번째 손가락과 만나게 쥐도
록 한다.
놀이 방법
① 준비 운동을 한다.
② 구름사다리 아래에 크기가 다른 원을 몇 개 그리고, 원의 거리에 따라 점수를 다
르게 한다.
③ 구름사다리에 매달려 앞뒤로 5~6번 흔들다가 손을 놓고 목표한 원으로 내려선
다.
④ 개인전 또는 팀전으로 하여 점수가 많은 팀이 승리한다.
유의점
- 착지하는 방법은 교사가 시범을 보인다.
- 무리하게 멀리 있는 원을 목표로 정하지 않도록 놀이 전에 연습할 기회를 준다.
- 봉은 주먹을 쥐듯 손을 말아 엄지손가락이 두 번째 · 세 번째 손가락과 만나게 쥐도
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