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쪽
신호에 따라 느리거나 빠르게 속도를 달리하며 걷거나 뛰어본다.
놀이의 규칙에 대해 이야기한다.
꼬리따기 말놀이와 꼬리따기의 비슷한 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꼬리따기는 다리의 민첩성이 요구되는 놀이이므로 충분히 걷고 뛸 수 있는 시간을 가진다.
민첩성, 협동심, 단결력을 기르는 놀임을 상기시켜 서로 비난하지 않는 분위기 속에서 즐겁고 안전하게 놀이할 수 있도록 한다.
친구의 어깨를 잡을 때 너무 세게 잡지 않을 것, 어깨를 놓쳐서 줄이 끊어지면 놀이를 멈추고 다시 시작할 것 등 유의사항을 충분히 지도하고 시작한다.
한 줄로 서거나 앉는다. 혹은 앉은 자리에서 선생님의 지시에 맞춰 순서대로 노래를 잇는다.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첫번째 사람이 노래를 시작한다.
빨간건 사과- 두번째 사람이 빨간 것의 특징을 살려 노래를 이어 받는다.
기존에 있는 노래를 이어서 쭉 불러본다.
기존에 있는 가사가 아니더라도 새로운 것을 추가해서 불러도 좋다.
tip: 2학년 아이들 특성상 꼬리따기 말놀이를 어려워한다면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구전 동요를 충분히 익히고 함께 해도 좋다.
준비물: 수건 또는 수건대용 팀조끼 등
두 팀이 서로 어깨를 잡고 한 줄로 쭉 이어선다.이 때 줄의 마지막 학생의 허리춤에 수건 또는 팀쪼끼를 넣어 꼬리를 만든다.
선생님이 시작을 알리면 맨 앞의 친구(대장)을 따라 움직인다.
대장은 상대편의 꼬리를 먼저 잡으면 이긴다.
tip: 꼬리따기 놀이에 익숙해지면 학생들이 쉽게 부를 수 있는 노래나 좋아하는 노래를 부르며 꼬리따기를 할 수도 있다.
준비물: 수건 또는 수건대용 팀조끼 등
술래 없는 버전
한 줄로 서로 어깨를 잡고 쭉 이어선다. 이 때 줄의 마지막 학생의 허리춤에 수건 또는 팀쪼기를 넣어 꼬리를 만든다.
맨 앞의 학생이 맨 뒤의 학생의 꼬리를 잡는다.
꼬리가 잡히면 맨 앞의 학생이 맨 뒤로가 꼬리가 되고 두번째 서있던 친구가 대장이 되어 놀이를 계속한다.
술래 있는 버전
한 줄로 서로 어깨를 잡고 쭉 이어선다. 이 때 줄의 마지막 학생의 허리춤에 수건 또는 팀쪼기를 넣어 꼬리를 만든다.
한 명의 술래가 긴 줄의 꼬리를 잡으러 다니고 긴 줄은 술래를 피해 꼬리를 숨긴다.
꼬리가 잡히면 술래는 꼬리를 차고 줄에 들어가고 맨 앞의 친구가 술래가 된어 놀이를 계속한다.
정리 운동하기: 관절과 근육을 중심으로 몸을 이완시키는 정리 운동을 한다.
꼬리따기 놀이를 하면서 느낀 점 발표하기: 놀이를 하면서 재미있었던 점과 아쉬운 점을 이야기한다.
예)내 꼬리가 잡힐까봐 조마조마 했어요. 친구 어깨를 자꾸 놓쳐서 속상했어요.
재미있는 놀이를 위해 함께 지켜야 할 규칙이 무엇인지 되돌아본다.
예)이기고 지는 것 보다 모두 다치지 않고 즐겁게 놀이에 참여해요. 준비 운동과 정리 운동도 열심히 참여해요.
열심히 놀이에 참여한 친구들과 자신에게 함께 박수를 치며 칭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