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올바른 분리배출 및 분리수거

선정 이유

  • 재활용을 위해선 올바른 분리배출 및 분리수거가 기본이 된다. 따라서 각 폐기물 별로 다른 분리배출 방법을 숙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파급 효과

  • 우리나라의 생활 폐기물 재활용 비율은 약60% (‘19년)로 상당히 높지만, 폐기물의 종류가 다양한만큼 그 기준도 달라 제대로 분리수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일상에서 주로 이용하는 물품들에 대한 분리배출 및 분리수거 규정을 지속적으로 익히고, 실천한다면 실제 재활용할 수 있는 비율 증가에 도움을 줄 것이다.

  1. 비닐

  • 종량제 봉투에 그냥 버려지는 쓰레기 중에는 분리수거가 가능한 품목이 많다. 그 중 80%가 비닐류라고 알려져 있다. 비닐은 그냥 버려 지기에는 아까운 재활용 가능 품목이다. 비닐 포장돼 판매되고 있는 제품에도 PP, LDPE, OTHER 등 재활용 마크가 새겨져 있다. 비닐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비닐의 상태가 가장 중요하다. 비닐이 깨끗하면 물질재활용으로 이용되지만, 이물질이 있을 경우 태워서 열회수에 이용된다.

  • 재활용 가능 비닐 품목

비닐봉투 (검정, 유색, 투명), 라면봉지, 과자봉지, 개별 포장봉지, 비닐 포장재, 에어캡, 가정용 랩, 페트병 라벨

  • 재활용 불가능 비닐 품목

테이프, 송장, 아이스팩, 오염된 비닐 (음식물, 이물질 등)

신문지

  • 물기에 젖지 않도록 하고 반듯하게 펴서 차곡차곡 쌓은 후 30㎝ 정도의 높이로 끈으로 묶어 배출

  • 비닐 코팅된 광고지, 비닐 류, 기타 오물이 섞이지 않도록 함

문책자, 노트, 종이쇼핑백, 달력, 포장지

  • 비닐로 코팅된 표지, 공책의 스프링 등은 재활용이 되지 않음

우유팩, 음료수 팩, 종이컵

  • 내용물을 비운 뒤 물로 한번 헹군 후 압축하여 봉투에 넣거나 다른 팩에 5∼6개씩 넣거나 펴서 말린 후 배출

상자 류

(과자, 포장상자, 기타 골판지상자 등)
  • 상자에 붙어있는 테이프, 철 핀 등을 제거한 후 압착하여 배출

2. 종이

  • 종이 1톤을 재활용했을 경우 대기오염 74%, 수질오염 35%, 공업용수 58%의 환경 오염물질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30년생 나무 17그루, 석유 1,500ℓ(7.5드럼) 또는 전기 4,200㎾, 물 28톤(30가구 1일 사용량), 쓰레기 매립지 1.7㎡ 만큼의 자원절약 효과가 있다. 종이 분리 배출 시 물에 젖지 않도록 하고 비닐,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사 등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주로 사용하는 종이 제품들은 코팅이 되어있는 경우(종이컵, 포장재 등)가 많아 재활용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바이오 플라스틱이나 생분해, 퇴비화 가능 플라스틱으로 코팅하였다고 해도 이는 종이 재활용과 큰 관련이 없다. 때문에 종이 제품을 소비한 소비자가 재활용을 할 수 있도록 분류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재활용 가능한 종이를 구분

2. 음식물쓰레기

  • 음식물 쓰레기를 원천적으로 남기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아무리 계획적인 식재료 구입과 최소한의 식재료만 구입하여도 음식물 쓰레기는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올바르게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음식물 쓰레기로 생각하는 것 들 중에는 실제로 음식물 쓰레기가 아닌 경우가 많다. 이를 잘 숙지하고 올바르게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면, 염분을 제거한 후에 미생물이나 지렁이를 이용하여 퇴비화 하는 것에 일조할 수 있다.

  1. 분리배출 요령

    • 이물질을 철저히 제거한다. (쇠붙이, 1회용컵, 종이, 이쑤시개 통 등)

    • 음식찌꺼기의 수분을 최소화한다.

  2. 주의사항

    • 이물질은 사료화 및 퇴비화에 장애물이므로 철저히 분리한다.

    • 음식찌꺼기와 조리 전의 쓰레기를 각각 분리 및 처리한다.

3.

  • 철 캔은 자연에서 분해되기까지 약 100년, 알루미늄 캔은 약 500년 이상이 걸린다. 특히, 알루미늄의 경우 분해 과정에서 토양 오염을 일으키고 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식품의 장기 보관을 위해 코팅제가 입혀져 있는 캔의 경우 bisphenol A가 배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캔을 안전하게 재활용하기 위해서 올바른 분리배출이 중요하다. 분리 배출하여 재활용하면 캔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을 아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 분리배출요령: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물로 한 번 헹군 후 발로 밟아 납작하게 하여 배출한다.

    • 에어로졸, 부탄가스통, 살충제통 등은 가급적 캔 몸통에 구멍을 뚫어 내용물을 비운 후 배출한다.

  2. 주의사항

    • 캔 속에 담배꽁초나 휴지 등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과자나, 사탕, 깡통의 속뚜껑과 겉뚜껑으로 쓰이는 알루미늄박이나 플라스틱을 제거하고 배출한다.

폐플라스틱 가정 속에서 재사용하기

선정 이유

  • 가볍고 단단하며 가공이 편리한 플라스틱은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소재 중 하나이다. 하지만 사용 이후 잘 분해되지 않아 그 처리가 어렵다. 따라서 플라스틱의 절대적인 사용량을 줄이는 노력과 함께 사용 후 다양한 방법으로 재사용하는 방법들이 필요하다. 이 중 일상에서 폐플라스틱을 단순히 버리는 것이 아닌 재사용의 일환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파급 효과

  • 폐플라스틱을 올바른 분리수거를 통해 재활용 및 재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일상에 필요한 물품으로 만들 수 있다면 그것 또한 재사용이 될 수 있다. 위에서 제시된 어댑터 보호기, 스마트폰 거치대, 우산 꽂이는 별다른 가공 없이 가정에서 쉽게 만들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실천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1. 페트병으로 어댑터 보호하기

  • 플라스틱 아랫부분을 자르고, 가운데 부분을 잘라서 벌어진 틈 사이로 어댑터를 끼워 넣어 어댑터를 보호할 수 있다.

2. 페트병으로 스마트폰 충전대 만들기

  • 페트병을 밑부분부터 몸통 부분까지 길게 자른다. 그리고 충전할 콘센트의 모양을 중간 부분에 양옆으로 나열해서 그린 후 중간을 자르기만 하면 스마트폰 충전대가 완성된다.

3. 페트병으로 우산꽂이 만들기

  • 페트병 윗부분부터 몸통 부분까지 자르고 양옆에 구멍을 뚫어서 끈으로 고정하면 우산꽂이가 완성된다.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이용

  • 인터넷ㆍ모바일(www.15990903.or.kr), 전화(1599-0903)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예약 한번으로 폐가전제품을 배출하고 적정한 재활용을 할 수 있다.

선정 이유

  • 폐가전제품 중에서도 TV,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등의 대형 폐기물은 일반적인 폐기물과 다른 배출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동사무소 및 구청에서 별도의 배출 스티커를 받아야만 폐기가 가능하다. 이러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인터넷 및 모바일을 통해 가정에 직접 방문하여 무상으로 수거하는 서비스를 정부에서 시행 중이며 이를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선정하게 되었다.

파급 효과

  • 폐가전제품 배출 수수료가 면제이기 때문에 배출에 대한 부담을 줄여준다. 또한 폐냉장고 및 에어컨에 함유된 냉매는 적정한 방법으로 처리되지 않고 대기로 방출되면 지구온난화에 큰 악영향을 끼치지만, 이를 친환경적으로 회수함으로써 온실가스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자체 폐건전지 회수 사업 동참

선정 이유

  • 다 쓴 건전지 속에는 아연, 이산화망간, 흑연, 염화암모늄, 니켈, 카드뮴 등등 많은 화학물질이 남아 있다. 폐건전지를 분리수거 하지 않고 아무 생각 없이 쓰레기통에 버릴 경우 건전지가 쓰레기와 함께 땅에 묻히게 되고, 건전지 속에 남아 있는 화학물질과 중금속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가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땅을 황폐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폐건전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수거가 필요하다.

파급 효과

  • 폐건전지는 제대로 수거만 하면 100%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오산시의 경우 시민들의 적극적인 폐건전지 수거 동참을 위해 다 쓴 건전지를 종량제 봉투로 교환해주는 <폐건전지 종량제 봉투로 충전하기> 사업을 실행 중이다. 이렇듯 각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재활용 사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폐건전지 재활용에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폐가전제품 재활용 포인트 및 포인트몰 운영

  • 선정이유: 폐가전제품은 분리배출이 어렵고, 제대로 폐기하지 않으면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중금속들로 인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른 폐가전제품 재활용을 위하여 ‘폐가전제품 재활용 포인트 및 포인트몰’을 운영한다면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운영방법:

  • 폐가전제품을 종류별로 분류한 분류표를 만들고, 폐가전제품을 올바르게 폐기한 것을 인증(ex. 폐가전제품 수거 서비스 이용내역)하면 해당 가전제품 구매 가격에 0.1% 적립한다.

  • 해당 포인트를 이용하여 재활용 (Reuse, Recycling, Upcyling) 가전제품 5~10%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운영한다. (5% 할인은 대기업 제품, 10%할인은 중소기업 제품)

  • 기대효과:

  • 1. 5% 할인은 대기업 제품, 10%할인은 중소기업 제품으로 하여, 경제 활성화 순기능 역할 기대.

  • 2. 폐가전제품 재활용 비율을 높여 환경 문제 발생률 감소 기대.

  • 3. 소비자의 올바른 재활용 생활 문화 활성화 기대.

  • 홍보 방법: 일반 대중과 밀접한 온라인 매체(유튜브, 블로그, 드라마 등)을 이용하여 홍보한다.

  • 사후 보완: 정기적으로 해당 정책이 순기능을 하고 있는지 평가하여,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며 운영한다.

종이영수증 대신 스마트영수증 발급받기

  • 신용카드 결제 내역을 문자로 제공받는 수준을 넘어, 결제 한 가맹점 정보· 상세 구매 내역· 현금 영수증 발급 여부 등 실제 종이영수증에서 제공되는 결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영수증은 위에서 말했듯이 자원절약과 환경보호를 실천하고, 동시에 개인정보까지 지킬 수 있다. 대형 유통사는 물론, 전통시장과 1인 사업자까지도 전자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고자 한다. 정부는 종이영수증을 전자영수증으로 완전히 대체하게 된다면, ‘30년산 원목 33여 만 그루 산림 보전 · 원유 3,300만 리터 절감· 연간 55,066톤 CO2 감축 · 15억 7천만 리터 물 절약 · 22,507톤 쓰레기 발생량 감소’ 등의 다양한환경자원 보전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선정 이유

  • 우리나라에서 발급되는 종이 영수증은 2012년에 약 310억 건을 넘어서기도 했는데, 이것들을 전부 연결하면 지구의 62.6바퀴에 달하는 규모이며,10톤 대형트럭 1340대의 분량이다. 심지어 종이 영수증을 만드는데 연간 30년된 나무 약 3만 3000그루가 필요하며 물은 15억 7000만L가 쓰인다. 경제적으로 종이영수증에는 약 2500억원의 발급 비용이 투입된다. 게다가 종이 영수증은 명확한 가독성을 위해 종이 표면에 화학성분이 묻어 있는 감열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코딩 된 약품 (bisphenol A)의 유해성에 대한 우려의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또, 이러한 발색 촉매제때문에 재활용이 불가하고, 폐기 과정에서 약 5만 5000톤의 온실가스가 유발되어 심각한 환경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파급 효과

  • 정부는 종이영수증의 발행에 따른 자원 낭비, 처리 비용 증가, 개인 정보 유출, 환경 호르몬 노출 등의 다양한 폐단을 막기 위해 전자영수증을 그 대안으로 내세우고 있다. 전자영수증은 모바일 영수증이라고도 불리며 인증서를 기반으로 전자 서명을 첨부해 발급하는 영수증을 일컫는데, 스마트폰 App을 통해 발급받거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쉽게 말해 전자영수증은 모바일이나 PC를 통해 종이영수증과 똑같은 결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3805&cid=62802&categoryId=62802

  • https://m.blog.naver.com/osan_si/221562058815

  • https://blog.naver.com/mesns/222029766515

  • https://www.woowarhanclean.com/honeyinfo/?idx=5930996&bmode=view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mesns&logNo=222143056499&proxyReferer=https:%2F%2Fm.search.naver.com%2Fsearch.naver%3Fwhere%3Dm%26sm%3Dmtb_jum%26query%3D%25EC%2583%259D%25ED%2599%259C%2B%25EC%2586%258D%2B%25ED%2594%258C%25EB%259D%25BC%25EC%258A%25A4%25ED%258B%25B1%2B%25EC%259E%25AC%25ED%2599%259C%25EC%259A%25A9

  • http://www.15990903.or.kr/user/index.do

  • https://www.facebook.com/photo/?fbid=2746249545427552&set=a.177977328921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