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수영

1. Ethnobotany

  • 터키 : 진통제, 이뇨제
  • 미국 (인디언) : 사마귀, 타박상, 복통
  • 헝가리 : 설사, 황달, 열, 이질
  • 루마니아 : 사마귀, 멍
  • 이란 : 황달, 열

(Vasas et al., 2015)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2. 식물의 계통

(Frye & Kron, 2003)

마디풀목 - 마디풀과 - 소리쟁이속

  • 애기수영은 마디풀과 소리쟁이속에 속하며, 근연속으로는 Persicaria, Polygonum 등이 있다 (Frye & Kron, 2003).


  • 소리쟁이속의 국내 자생하는 종으로는 수영, 소리쟁이, 가는잎소리쟁이, 금소리쟁이 등이 있다 (김진석 등, 2018).

3. 식물의 생태

  • 번식력이 강해 연중 발생하며 뿌리 상태로 월동한다.


  • 봄에 부정근아(막뿌리)에서 발생하는 새싹이 자라서 개화한다.


  • 꽃은 단성화이며 풍매화이다.


  • 건조한 곳뿐 아니라 다습한 곳 등 어디서나 잘 생육한다.


  • 척박지와 산성토양의 지표식물로 알려져 있을만큼 생존력이 강하다.


  • 우리나라에는 1900년대 초에 보고되었으며, 목장의 사료 수입물량에 묻어왔거나 목초 종자를 대량으로 뿌린 곳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창기 & 길지현, 2017)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고시 [시행 2018. 1. 3.] [환경부고시 제2017-265호, 2018. 1. 3., 일부개정]

4. 알려진 효능

5. 유효 성분

  • DNA damage 와 항산화 효과에 효과가 있다.

=> 암 (Essiac) 치료에 효과

  • Urease 저해활성이 있다.

=> 위궤양 억제 효과

  • α-amylase 저해 활성이 있다.

=> 당뇨 치료에 효과


    • 부작용 : 신장결석(임산부나 모유수유중에는 복용 금지), 설사

(Vasas et al., 2015)

Emodin

  • Rheum emodi (대황속 식물)에서 유래되었다.
  • Protein tyrosine kinases 억제제이다.
  • 췌장암에 효과가 있다.

(Vasas et al., 2015)

6. 참고문헌

김진석, 김종환 & 김중현 (2018). 한국의 들꽃. 돌베게.

김창기 & 길지현 (2017). 한반도 외래식물. 자연과 생태.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소산모(小酸模) [Data set]. 특허청. https://doi.org/10.20929/KTKP.MED.0000078647.

Frye, A. S. L., & Kron, K. A. (2003). rbcL phylogeny and character evolution in Polygonaceae. Systematic Botany, 28(2), 326-333.

Vasas, A., Orbán-Gyapai, O., & Hohmann, J. (2015). The Genus Rumex: Review of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75, 198-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