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그늘 재배 커피를 소비하자

선정 이유

  • 단일 종만을 생산하는 플랜테이션(plantation) 방식으로 재배되는 커피생산은 생태적으로는 토양유실과 산림파괴,종 다양성 감소 등 여러 가지 피해가 구조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종 다양성 감소와 토양훼손은 단일경작이 지속되는 한 동반될 수밖에 없는 계속적 작용이다. 또한 삼림파괴로 인해 새들의 서식지가 사라져 해충이 급증하여 살충제의 사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천 지침을 선정하였다.

파급 효과

  • 베트남 달랏의 커피 그늘 재배의 예로, 주변에서 날아든 새들이 커피나무에 해로운 곤충을 잡아먹어 살충제의 사용량을 줄였다. 또한 주변나무의 낙엽이 땅에 떨어지면서 토양을 비옥하게 하며, 건기에는 땅이 마르는 것까지 돕는다. 그리고 단일 종만을 생산하는 플랜테이션 방식의 커피생산보다는 그늘재배에서의 커피생산 방식은 종 다양성이 높기 때문에 가뭄에 대한 피해가 1/3로 적었다.

육식을 줄이자

선정 이유

  • 축산은 인류에게 아주 중요한 영양소인 단백질을 공급해주지만, 대신 지구 환경을 더럽히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 온실가스를 배출해 기후 변화를 유발하고, 숲을 파괴하며, 식량과 물 부족을 부르고, 수질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육식을 적게 하는 실천지침을 선정하였다.

파급 효과

  • 식량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온실가스는 인류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3분의 1~ 4분의 1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약 80%가 축산에서 나온다. 특히, 소고기를 생산하는 데는 같은 칼로리의 곡물을 생산할 때보다 160배 더 넓은 땅이 필요하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축산 부문에서의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지구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육식을 적게 하는 식습관은 온실가스의 배출과 토양 이용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연관 지침

  • 육류의 섭취는 자연 환경의 낭비가 심하다. 따라서 야채 토티야(밀가루 전병에 야채를 싸먹는 멕시코 음식)와 같이 채식 식단을 찾아 먹을 필요가 있다.

지역 농산물을 소비하자

선정 이유

  • 생산지부터 소비지까지 유통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식품의 신선도는 떨어진다. 물론 식품을 운반하는 선박과 비행기로 인한 탄소배출량도 늘어날 수 밖에 없다. 또한 글로벌 푸드는 단일 품종을 대규모로 재배해 많이 수확하는 것이 목적이라 생태계 다양성을 위협하기 때문에 이러한 실천 지침을 선정하였다.

파급 효과

  • 생산지에서 운송, 유통 단계를 거쳐 소비자 식탁에 오르는 과정에서 소요된 거리를 지표화 한 것을 ‘푸드 마일리지’라고 한다. 1인당 푸드 마일리지 역시 한국 7,085t•km, 일본 5,484t•km, 영국 2,337t•km, 프랑스 739t•km로 우리나라는 가장 낮은 프랑스에 비해 약 10배나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즉, 로컬 푸드를 사용하면 푸드 마일리지 만큼의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로컬 푸드는 다양한 품종, 토종 작물을 심어서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환경을 지키는 힘이 될 수 있다.

연관 지침

  • 지역농산물인 감자는 권장하지만, 패스트푸드점에서 파는 감자튀김은 지양해야 한다. 감자튀김은 오존층을 파괴하는 cfc를 대체한 수산화불화탄소를 냉매로 사용하여 얼리게 된다. 그 과정에서 일부 냉매가 공장에서 유출되어 빠져나가게 된다. 수산화불화탄소는 오존층 파괴를 일으키지 않으나 성층권에 도달하여 온실효과에 영향을 준다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를 실천하자

선정 이유

  • 우리나라의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2015년 기준 15,340톤이다. 그 중 70%가 가정/소형 음식점으로부터 발생된다고 하는데, 예로부터 푸짐한 상차림과 국물음식을 즐기는 우리나라 음식문화 그리고 최근 생활수준 향상 등의 이유로 배출량은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를 실천지침으로 선정하였다.

파급 효과

  • 우리나라의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2015년 기준 15,340톤이다. 또한 4인 가정이 1년간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영향을 살펴보면 온실가스인 CO2가724kg 배출이 되고, 연간 가정 소비전력량의 20%나 되는 에너지인 718kwh가 낭비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실천으로 자신이 배출한 음식물쓰레기의 양에 맞게 비용을 지불하면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줄이고 환경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줄 수 있다.

병에 든 음식물을 소비하자

선정 이유

  • 유리병은 반복사용이 가능하며 자원절약,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적인 재질이다. 또한 고열에서 액체상태가 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모양을 손쉽고 신속하게 만들 수 있어 재활용이 용이하다. 따라서 다른 용기보다 유리병 사용이 권장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선정하였다.

파급 효과

  • 기체와 액체를 통과시키지 않으며 물과 산에 담가도 녹슨다든지 용해되지 않고 식품에 대한 독성이 없으며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안전하다. 또한 유리병은 연간 약 363천 톤이 재활용(전체 배출량의 74%)되고 있으며 재활용품의 경제 가치는 214억 원에 이르고 있다.

연관 지침

  • 가능하면 음료수를 적게 마셔야 한다. 탄산음료의 경우 옥수수로 만들어진 당도가 높은 시럽이 들어 있으며 수입 옥수수를 발효시켜 만든 이산화탄소를 포화시키기 때문에 농약에 의한 잔류 물질이 들어있기 쉬우며 GMO 작물이 포함되어 있을 높은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배달음식으로 인한 일회용기 사용을 줄이자

선정 이유

  • 배달문화가 자리잡은 시대인 만큼 배달과 함께 일회용 용기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회용 식기는 대부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성분으로 분해가 어렵고 염소성분이 함유되어 연소 시 독성, 유해 물질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일회용 식기에는 음식 찌꺼기까지 엉겨 붙어 있어서 생활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들어가 일부는 땅에 묻고, 일부는 불에 연소되어 소량만 재활용에 쓰이므로 이러한 실천 지침을 선정하였다.

파급 효과

  • 환경보호 단체의 연구 결과, 중국에서의 배달 음식 주문 1건당 소모되는 일회용 식기는 3.27개로 하루 소모되는 일회용 식기는 6000만개에 달한다. 식기 한 개에 5cm 높이로 계산하면, 에베레스트 산 339개와 맞먹는다. 따라서 직접 식사를 만들어 먹거나 매장 내 식사, 재사용 용기 포장 방법 등을 실천한다면 일회용 용기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연관 지침

  • 배달음식을 시켜먹어야 한다면 친환경 배달용기를 사용하는 업체를 이용해야 한다. 국내의 한 배달 관련 회사는 매립 시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코팅(PLA) 소재를 쓴 종이 식품 용기를 출시하였다. PLA는 기존의 플라스틱을 대신하여 종이용기를 코팅하는데 플라스틱 코팅부분의 종이는 썩지 않는 반면 PLA 코팅은 흙이나 물에 매립해도 빠른 속도로 생분해가 가능하다. 이 회사는 환경을 생각하는 외식 업소 업주들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친환경 배달용품을 만들고 판매하고 있다.

출처

1.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ovekeiti&logNo=221073744112&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2. 환경부/재활용품 분리배출 이렇게 하세요/2008/p40-p44

3. 김윤성/커피재배가 재배국 무역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상명대학교/2008/p158-p161

4.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jonsaemiro&logNo=90145032852&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5. http://realfoods.co.kr/view.php?ud=20171012000421&ret=section

6. https://news.v.daum.net/v/L29wJ9auNN?f=p

7. http://m.shanghaibang.com/shanghai/mobile/news.php?mode=view&num=53245

8. http://m.korea.kr/news/visualNewsView.do?newsId=148821696&pageIndex=null#visualNews

9. http://stat.me.go.kr/nesis/mesp/info/statPolicyRecycle2.do

10. http://climateaction.re.kr/index.php?mid=news01&document_srl=175446

11. https://ko.depositphotos.com/12078161/stock-photo-tea-plantation-farmer.html

12. https://m.blog.naver.com/jdh6766/220831227202

13. https://m.blog.naver.com/faas7777/40046521543

14.https://www.alamy.com/coffee-bushes-in-a-shade-grown-organic-coffee-plantation-on-the-western-image66289009.html-

15.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047923

16.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ovekeiti&logNo=221073744112&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17. https://www.nathab.com/blog/would-you-pay-more-for-your-coffee-if-it-helped-birds/

18. http://www.cctvnews.co.kr/atl/view.asp?a_id=15778

19. https://m.blog.naver.com/her_zoo/221041791652

20. https://www.crowdpic.net/photos/%EB%B0%A9%EB%AA%A9

21. https://ko.depositphotos.com/39959471/stock-photo-glass-bottles-in-recycling-bi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