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구꽃

<“늑대인간의 천적, 투구꽃!”>

1. Ethnobotany

투구꽃 뿌리 (Wikipedia)

  •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사약의 재료로써 투구꽃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치명적인 독성에도 불구하고 투구꽃을 약용으로써 사용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투구꽃의 뿌리를 이용한 오두탕(烏頭湯)과 진무탕(眞武湯) 등이 대표적인데 각각의 효능은 오두탕은 진경, 진통, 강장 효과를 보이며, 진무탕은 오한, 허약, 설사 및 불면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보통 투구꽃의 뿌리를 부자(附子)라고 하는데 이 부자를 생강, 감초, 원지, 황기, 검은콩 등과 함께 달이면 부자의 총 alkaloids 함량이 감소된다는 연구가 1998년에 보고되었다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2016).
투구꽃 (Wikipedia)

투구꽃 (Wikipedia)

2. 식물의 계통

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 투구꽃속(Aconitum)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식물속으로서 이 속에 속한 종은 1,753종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2016).

미나리아재비과 계통수(좌) 투구꽃속 식물 종류(우) (Wikipedia)

3. 식물의 생태

  • 전세계적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강원도를 중심으로 도처에 산재되어 있다. 투구꽃속에 속한 식물들은 공통적으로 강한 독성을 띄고 있으며, 이러한 독은 Aconitine계 alkaloids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4. 알려진 효능 및 성분

  • 투구꽃속에 속한 식물들은 공통적으로 강한 독성을 띄고 있으며, 이러한 독은 Aconitine계 alkaloids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Aconitine계 alkaloids 중 가장 대표적인 화합물인 aconitine은 치사량이 0.22mg/kg 정도로 매우 강한 독성을 가진다. 그러나 앞에서 서술했듯이 몇몇 특정한 약재와 같이 법제를 하면 독성이 약해지고, 오두탕이나 진무탕과 같은 약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된다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2016).

Aconitine(Wikipedia)

5. 관련 설화 또는 전설

투구꽃은 그리스 신화의 여신 ‘Hecate(헤카테)’를 상징하는 것들 중 하나이다. Hecate는 저승과 마녀의 여신이며 모습은 3개의 머리를 가진 여인이나, 개를 사역하는 여인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지옥의 문지기 Cerberus(케르베로스) 또한 Hecate의 화신으로 알려져 있다. 투구꽃의 유래는 CerberusHercules(헤라클레스) 신화와 연관이 있다. Hercules의 12 과제 중 지옥의 Cerberus를 지상으로 끌고 나오는 것이 있는데, HerculesCerberus의 3 개의 머리 중 목 하나를 팔뚝으로 비틀면서 끌고 나오는 장면이 있다. 이때 Cerberus가 컥컥거리며 비틀려진 머리로부터 하얀 침을 뱉는데, 그 침에서 자라난 식물이 투구꽃이라고 한다 (Aconite Mythology, Magic and Folklore).

투구꽃의 영어명은 wolfsbane이며 또는 monkshood라고도 불린다. wolfsbane의 뜻은 직역하면 ‘늑대의 죽음’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식물이 강력한 독을 가지고 있음을 내포한다. 다른 이름인 monkshood는 꽃의 모양을 그대로 이름에 붙인 것으로, ‘수도승의 후드’라는 뜻이다. 이러한 이름들은 서양의 문화와 사고방식이 식물에게 있어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를 엿볼 수 있게 한다. Wolfsbane이라는 이름은 실제로 늑대를 사냥할 때 사냥꾼들이 창이나 화살 촉에 투구꽃 즙을 바르는 풍습에서 기인한다. 때문에 서양 문화권의 미디어에서 늑대인간은 투구꽃과 매우 연관성이 깊게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해리포터 영화 중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라는 작품을 예시로 들어보겠다. 이 작품에서 등장하는 루핀 교수는 늑대인간으로, 보름달이 뜨는 밤이 되면 늑대인간의 본능을 억제할 수 없어 괴물로 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를 방지하고자 1달에 2번 스네이프 교수로부터 비약을 받아 이러한 본능을 억제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 비약의 이름은 ‘wolf’s bane’이며 작중 설명으로는 재료로써 투구꽃이 들어간다는 묘사가 있으며 그 효능은 늑대인간의 본능을 억제하는 것이다.

(좌)헤라클레스, 케르베로스, 헤카테 (http://www.antike-am-koenigsplatz.mwn.de/)

(우)헤카테 (Wikipedia)

6. 참고문헌

“Aconite Mythology, Magic and Folklore”, <Pflanzenkunst>, https://pflanzenkunst.wordpress.com/ethnobotany/aconite-myth/, 2019.03.20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16). “투구꽃 분포도”.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38104#txt.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저. (2016). 생약학: 제 2판. 동명사. pp 151-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