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캔 뚜껑을 캔 안으로 넣어서 배출하기

캔 뚜껑은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수송과정에서 종종 분실된다. 분실된 캔 뚜껑은 땅속에 묻힌 후 분해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500년이나 되기 때문에 토양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캔 뚜껑 또한 재활용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캔 뚜껑을 캔 안으로 넣어서 배출한다면 재활용률이 증가할 수 있고 이는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알루미늄을 재활용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원석으로부터 알루미늄을 얻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1/26로 에너지 절약효과도 더할 수 있다.

플라스틱이나 고무가 포함된 일회용 면도기 사용 줄이기

플라스틱이나 고무가 포함된 일회용 면도기의 경우 금속이 포함되어 있지만 재활용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금속들은 결국 매립되거나 소각되기 때문에 토양오염이나 대기오염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함께 첨가된 플라스틱이나 고무도 재활용이 되지 않고 버려지기 때문에 이들에 의한 환경문제도 함께 동반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으로만 이루어진 면도기를 사용한다면 면도기를 더욱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

무색의 페트병 구매 및 사용하기

유색의 페트병보다 무색의 페트병의 재활용 등급이 더 높게 측정되며 가공될 수 있는 제품이 더 다양해진다. 따라서 무색의 페트병을 구매하면 재활용 등급 상승과 더불어 재활용율 증가하여 더 많은 제품으로 가공 가능해진다. 그렇다면, 새로운 제품 생산을 위한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다 많은 재활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소각이나 매립 등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하여 온실기체 발생 및 대기오염 문제, 미세플라스틱 문제 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수입 재활용 페트병 양 감소와 수입 운송으로 인한 온실기체 발생량도 감축시켜 지구온난화의 가속화도 늦춰주게 할 것이다.

페트병 속 이물질 제거하여 배출하기

재활용 공정의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물 오염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 등급 상승하게 됨에 따라 재활용이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외 의존적으로 수입하는 좋은 등급의 재활용 페트병 양을 줄이고 자급적 사용을 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수입 운송으로 인한 온실기체 발생량도 감축시킬 것이다. 이는 지구온난화의 가속화를 늦춰주게 함을 기대할 수 있다. 만일, 플라스틱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되면 오랫동안 썩지 못하고 그대로 남아있게 되며 소각 시엔 완전연소가 어려우며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며 소각 후에도 중금속 잔재가 남을 수 있는데, 재활용율을 늘림으로써 이러한 문제점도 해결 가능하다.

페트병 병뚜껑 제거하여 배출하기

병뚜껑을 제거한 것이 그렇지 않은 것 보다 압축이 쉬우며 이는 부피 감소로 이어진다. 결국 분리배출 후 지자체의 수거와 재활용 공정 시의 운송과정에서 부피감소로 인한 운송비 절감 및 화석연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재활용 공정의 압축과정에서의 에너지 사용양도 감소시킬 수 있다. 더불어 재활용 공정의 선별작업에서의 효율과 재활용 등급을 높여 재활용율을 증가시키고 더 많은 제품으로 가공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많은 재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수입 재활용 페트병 양을 줄일 수 있으며, 결국 수입 운송으로 인한 온실기체 발생량도 감축시켜 지구온난화의 가속화도 늦춰주게 할 것이다.

헌 옷 리폼하기 및 공예하기

헌 옷을 다양하게 가공하여 집에서 직접 리폼 하여 새로운 옷의 형태로 만들거나 가구 등에도 공예 하는 방법이다. 그러면 불필요한 의류 소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의류 소비가 감소함에 따라 운송, 파쇄 등의 폐기 비용도 줄일 수 있을 것이고, 헌 옷의 소각으로 발생하는 유해가스로 인한 대기오염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며, 옷의 매립이 줄어듦으로써 메탄가스 발생(CO2의 21배)이 줄어들어 온난화 방지에도 큰 효과가 있다. 옷 생산율도 줄어들어 생산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자원 요구(예시: 1개의 t셔츠 생산에 요구되는 물은 2720L)와 옷의 합성원료로 인한 미세플라스틱 등의 수질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산할 때 발생되는 온실기체를 생산율을 줄이면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미국환경보건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3년 미국 섬유 폐기물 중 약 230만 톤을 재활용하였고, 이는 1년 동안 120만 대 자동차에서 나오는 양의 온실가스를 감소시킨 것과 같은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그리고 생산이 줄어듦에 따라 원료인 솜의 요구도 적어질 것이고 이는 땅의 다양한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헌 옷 의류수거함에 넣기

의류수거함에 들어간 헌 옷들은 다양한 재활용 공장으로 들어가 부직포나 인형, 완구류 등의 충전재로 사용되기도 하고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건축자재, 차량의 흡음재, 원료 물질로의 환원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파급효과로는 앞서 언급했던 폐기 비용 자체도 절약할 수 있고, 매립 비율도 낮아져서 온실가스 발생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양환 활용이 되기 때문에 활용되는 물품들의 원료들도 굳이 사지 않아도 되기에 생산 비용도 절약이 된다.

종이에는 종이만 배출하기

종이박스와 공책에 사용된 테이프와 비닐 코팅된 표지는 플라스틱이며 철심과 스프링은 금속이다. 따라서 제거하지 않고 같이 배출하면 추가 선별을 위한 인력과 비용이 들기에 수거 업체에서 재활용하기 어렵고 재활용 효율 또한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배출시에 테이프와 철심, 스프링은 가급적 제거하여 재활용률을 높인다면 새로운 종이를 만들 때 그만큼 벌목하는 나무의 수가 줄어 여러 생물들의 서식지인 숲을 파괴하지 않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생물다양성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

종이컵과 우유팩은 따로 모아서 배출하기

종이컵은 천연펄프로 만들어졌지만 물이 세는 것을 막기위해 안쪽에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폴리에틸렌으로 코팅되어 있다. 이 폴리에틸렌 코팅 때문에 다른 종이류와 함께 배출하게 되면 선별을 위한 비용이 추가로 들기 때문에 재활용이 어렵다. 그리고 종이컵과 종이팩은 천연펄프로 만들어진 유용한 자원으로 펄프로 만드는 과정에서 종이가 풀어지는 시간에 종이류와 차이가 있어 일반 종이류와 함께 배출하면 재활용되지 못한다. 따라서 종이컵과 종이팩은 다른 종이류와 분리해서 배출해야 한다. 종이컵과 종이팩류를 따로 분리하여 배출함으로써 천연펄프를 다시 회수하여 벌목하는 나무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벌목을 줄여 숲이 파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생물다양성의 감소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