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궁초

1. Ethnobotany

2. 식물의 계통

  • Native Amercan Ethnobotany
    • Blackfoot – 피부질환, 완하제(배변 촉진)
    • Cahuilla – 섬유원료
    • Cherokee – 낙태, 항류마티즘, 감기약, 피부질환, 신장질환, 폐질환, 섬유원료
    • Cree – 배변, 구토제, 피부질환
    • Iroquois – 지사제, 피를 맑게함, 구토제 등
    • California Indian – 밧줄

(Native American Ethnobotany DB)

용담목 - 협죽도과 - 협죽도속

  • 수궁초는 용담목, 협죽도과, 수궁초속에 속하는 다년초 식물이다.
  • 수궁초속의 국내 자생하는 종으로는 개정향풀, 정향풀이 있고, 자생하는 근연속 식물로는 솜아마존이 있다 (김진석 등, 2018).

3. 식물의 생태

  • 주로 그늘진 곳이나 하천 근처 등 습한 지역의 자갈이나 모래땅에서 생육한다.
  •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옥수수나 콩 같은 작물의 수확량을 감소시킨다.
  • Hemaris diffinis, Hemaris thysbe (벌새를 닮은 나방)은 수분매개자이며, 수궁초는 이 나방의 애벌레의 숙주 역할을 한다.

(Wikipedia, "Apocynum cannabinum" )

수궁초의 분포 (GBIF, Apocynum cannabinum L.)

4. 알려진 효능

  • 심장혈관허탈(부정맥, 저혈압 등 동반증상)에 효과가 있다 (Barr, 2013).



  • 향정신성 약물로서 정신병에 사용한다 (이석하, 2014).

(Barr, 2013)

(이석하, 2014)

5. 유효 성분

Apocynin

    • NADPH-oxidase 의 억제자이다.
    • NADPH-oxidase 는 ROS를 생성한다.
    • 동맥경화는 ROS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Stefanska & Pawliczak, 2008)

Apocynamarin

    • Na+/K+-ATPase 의 억제자이다.

(Liu et al., 2016)


6. 참고문헌

GBIF. Apocynum cannabinum L.. https://www.gbif.org/species/3169790

Wikipedia. Apocynum cannabinum. https://en.wikipedia.org/wiki/Apocynum_cannabinum

Liu, L., Wu, J., & Kennedy, D. J. (2016). Regulation of cardiac remodeling by cardiac Na+/K+-ATPase isoforms. Frontiers in physiology, 7, 382.

Native American Ethnobotany DB. http://naeb.brit.org/uses/search/?string=Apocynum+cannabinum

Stefanska, J., & Pawliczak, R. (2008). Apocynin: molecular aptitudes. Mediators of inflammation,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