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취

1. Ethnobotany

생약명

    • 일지황화(一枝黃花, 1개의 가 지에 노란 꽃을 피우는 모습에서 유래)
    • 그 외, 대패독(大敗毒), 만산황(滿山黃), 야황국(野黃菊), 황화자(黃花仔)로 불린다.


효능 및 용법

    • 꽃이 피어 있을 때 지상부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물에 달여 복용한다.

=> 감기로 인한 두통과 인후염, 편도선염, 기관지염

    • 달인 물로 세척하거나 생풀을 짓찧어서 붙인다.

=> 종기, 감염 및 염증성 질환

(이정희 등, 2015)

    • 전초 50g에 물 1ℓ를 넣고 30분 동안 달여서 환부를 씻는다.

=> 버짐균을 없애는 작용

    • 전초를 하루 15∼30g씩 물에 달여 2∼3번에 나누어 먹는다.

=> 여러 가지 화농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여 화농성질병(편도선염 등)에 쓴다.

=> 외상, 기관지염, 버짐 등의 치료에도 쓴다.

(농천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항염증, 항균, 이뇨제, 수축제, 소화불량, 방광염, 요도염, 후두염, 인두염 등에 사용했다 (Nair et al., 2008).

항염증, 이뇨제로 사용했다 (Pawlaczyk et al., 2009).

2. 식물의 계통

(Jansen et al., 1991)

국화목 - 국화과 - 미역취속

  • 미역취는 국화과 미역취속에 속하며, 근연속으로는 Aster, Erigeron 등이 있다 (Jansen et al., 1991).


  • 미역취속의 국내 자생하는 종으로는 미역취, 울릉미역취, 미국미역취, 양미역취 등이 있다 (김진석 등, 2018).

3. 식물의 생태

4. 유효 성분 및 효능

•꽃은 7~10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전국의 산이나 들에서 발견되며, 햇볕이 잘 드는 곳이나 밝은 숲 속에서 자란다.

(GBIF, Solidago virgaurea;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유효성분으로 Rutin 과 Quercetrin 이 있으며 항산화 효과가 있다.

(Pietta et al., 1991)

5. 관련 설화 또는 전설

사냥터를 놓고 싸우는 체로키 인디언 두 부족은 언덕을 넘어 골짜기를 내려가 개울을 건너 마을로 들어가 전쟁을 벌였다. 숲 속에 숨어 있던 두 자매를 제외하고는 마을 사람들이 모두 살해되었다. 두 사람 모두 도킨 드레스를 입었고, 한 사람은 테두리가 있는 라벤더블루, 다른 한 사람은 밝은 노란색이었다. 그 자매들은 다른 계곡에서 산 너머에 살고 있는 허브 우먼을 찾아냈다. 이 여자는 낮에는 약초를 모으고 밤에는 신들이 준 선물인 마법의 술을 만들었다. 자매들이 그날 밤 별들 밑에서 잠을 자면서 허브 우먼은 미래를 들여다보았고 이 어린 소녀들이 적에게 쫓길 것을 보았다. 그래서 그녀는 그들에게 마법의 술을 뿌리고 나뭇잎으로 덮었다. 아침에 자매들이 있었던 곳에 꽃이 두 송이 피었다. 하나는 라벤더블루 별이었는데, 드레스의 테두리가 별의 바깥쪽 꽃 꽃잎(과꽃)으로 변해 있었다. 다른 꽃은 노란 황금빛(미역취)이었다 (ASTERS AND GOLDENROD: THE MYTHOLOGY).

(위키백과, "눈물의 길")

6. 참고문헌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http://www.nihhs.go.kr/usr/persnal/Remedies_view.do.

위키백과. "눈물의 길". https://ko.wikipedia.org/wiki/%EB%88%88%EB%AC%BC%EC%9D%98_%EA%B8%B8.

ASTERS AND GOLDENROD: THE MYTHOLOGY. http://www.uvm.edu/pss/ppp/articles/asters.html.

GBIF. Solidago virgaurea L.. https://www.gbif.org/species/6446462.

김진석, 김종환 & 김중현 (2018). 한국의 들꽃. 돌베게.

이정희 등, 2015, 약용식물원 길잡이1 – 폐,기관지에 좋은 약용식물, 국립수목원 전시원 식물 안내서, 국립수목원.

Jansen, R. K., Michaels, H. J., & Palmer, J. D. (1991). Phylogeny and character evolution in the Asteraceae based on chloroplast DNA restriction site mapping. Systematic Botany, 98-115.

Nair, R., Kalariya, T., & Chanda, S. (2008). Antibacterial activity of some plant extracts used in folk medicine. Journal of Herbal Pharmacotherapy, 7(3-4), 191-201.

Pawlaczyk, I., Czerchawski, L., Pilecki, W., Lamer-Zarawska, E., & Gancarz, R. (2009). Polyphenolic-polysaccharide compounds from selected medicinal plants of Asteraceae and Rosaceae families: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blood anticoagulant activity. Carbohydrate Polymers, 77(3), 568-575.

Pietta, P., Gardana, C., Mauri, P., & Zecca, L. (1991).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flavonol glycosides of Solidago virgaurea. Journal of Chromatography A, 558(1), 296-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