쐐기풀

1. Ethnobotany

2. 식물의 계통

쐐기풀 세밀화. Otto Wilhelm Thomé, 1885

  • 서양에서는 잎을 식용으로도 사용한다.

(Dorota et al., 2018)

  • 한방에서는 담마(蕁麻)라고 부르며 전초는 뱀독을 해독하거나 풍진을 치료하고 거풍습에 사용된다.

- 본초강목 -

장미목 - 쐐기풀과 - 쐐기풀속

  • 장미목 쐐기풀과 쐐기풀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 국내에는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가는잎쐐기풀(Urtica angustifolia) 등이 자생하고 있다.

쐐기풀과의 계통수 (Wu et al., 2013)

3. 식물의 생태

4. 알려진 효능 및 유효성분

  • 쐐기풀(Urtica thunbergiana)은 여러해살이풀로 산야나 임지에서 발견된다.
  • 잎에 자모가 있으며 이 자모에서는 포름산을 분비하여 초식동물들의 초식에 저항한다.
  • 애벌레 단계에서 쐐기풀을 초식하는 나비나 나방의 애벌레가 있는 쐐기풀의 경우는 사슴과 같은 초식자에 비해 자모를 적게 만든다.

(Iwamoto et al., 2014)

  • 과거부터 쐐기풀은 이뇨제, 근육통 및 관절통, 통풍 그리고 빈혈 치료 등에 사용되어왔다. 정확히 어떤 성분이 이러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밝혀진 바가 없지만 연구가 계속 진행 중이고 최근에는 앞서 언급한 효능들 외에도 전립선 비대증과 같은 질병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들이 발표되어오고 있다.

(Dorota et al., 2018)

5. 관련 설화 또는 전설

옛날 어느 왕국에 11명의 왕자와 엘리사라는 이름의 공주가 살았습니다. 어느 날 왕비가 사망하면서 새로운 왕비가 국왕과 재혼하게 되는데 새로운 왕비는 사실 마녀였기에 왕자와 엘리사를 괴롭혔습니다. 어느 날 마녀는 왕자들을 백조로 변신시키고 엘리사를 궁 밖으로 쫒아냈습니다.

엘리사는 왕자들을 원래 모습으로 돌려달라고 하느님에게 기도하였습니다. 이 때 천사가 내려와 엘리사에게 “쐐기풀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고 왕자들에게 그 옷을 입히면 그들 모두가 원래 모습으로 돌아올 것이다. 단, 옷을 짜는 동안에는 어떠한 말도 해서는 안 된다.”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어느 날 사냥 중이던 다른 나라의 왕이 지나가던 엘리사를 보고 자신의 왕비로 삼기 위해 엘리사를 궁으로 데리고 왔습니다. 엘리사는 궁에서도 계속해서 쐐기풀로 옷을 짜기 시작했습니다.

옷을 만들던 중 쐐기풀이 떨어지자 엘리사는 한밤중에 무덤가에 쐐기풀을 캐러 갔는데 이 모습을 본 왕의 신하는 엘리사가 마녀라고 왕에게 보고하였고 엘리사는 화형을 선고받게 되었습니다. 천사의 지시를 받은 엘리사는 아무런 말도 하지 못했고 화형장으로 끌려가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화형장으로 향하는 마차에서도 엘리사는 포기하지 않고 쐐기풀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고 화형 직전 11개쨰의 옷을 전부 완성한 엘리사는 옷들을 주변에 몰려든 백조들에게 던져주었고 저주가 풀린 왕자들의 변호로 인해 엘리사의 마녀 혐의는 풀리게되었답니다.

- 안데르센 동화 -


6. 참고문헌

이시진. (1596). 본초강목.

Urtica. Wikipedia. 2019.06.04. https://en.wikipedia.org/wiki/Urtica. 2019.06.18

Iwamoto, M., Horikawa, C., Shikata, M., Wasaka, N., Kato, T., & Sato, H.(2014). Stinging hairs on the Japanese nettle Urtica thunbergiana have a defensive function against mammalian but not insect herbivores. Ecological research, 29(3), 455-462.

Kregiel, D., Pawlikowska, E., & Antolak, H. (2018). Urtica spp.: Ordinary Plants with Extraordinary Properties. Molecules, 23(7), 1664.

Wu, Z. Y., Monro, A. K., Milne, R. I., Wang, H., Yi, T. S., Liu, J., & Li, D. Z. (2013). Molecular phylogeny of the nettle family (Urticaceae) inferred from multiple loci of three genomes and extensive generic sampling.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69(3), 814-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