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팔꽃

1. Ethnobotany

고도로 양식화 된 Ololiuqui와 고대의 어머니 여신과 그녀의 신관들을 나타낸 벽화

(Schultes et al., 2001 )

  • 아즈텍에서는 Morning glory에 속하는 Ololiuqui (Turbina corymbosa)와 Tlitililtzin (Ipomoea sp.)을 entheogen으로 사용하여 왔으며, 이외에도 매독과 고름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여 왔다.

(Schultes et al., 2001)

  • 국내에서는 나팔꽃(I. nill, I. purpurea)의 종자를 견우자(牽牛子)라고 부르며 사하와 이뇨에 도움이 되는 한약재로 사용하였다.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2016)

2. 식물의 계통

3. 식물의 생태

가지목 - 메꽃과 - 속

  • T.corybosaIpomoea sp. 는 가지목 메꽃과에 속하는 식물들이다.

(Stefanovic et al., 2002)

  • 문헌에 따라 Turbina sp. 와 Ipomoea sp. 을 Ipomoea sp. 로 같이 묶는 경우도 많아 계통 분류가 아직 완전하지 않거나 비교적 최근에 나뉘어진 속으로 추정된다.

메꽃과의 계통수 (Stefanovic et al., 2002)

  • I .corymbosa 는 중남미에 대부분 분포하며 일부 아프리카와 동남아 그리고 호주에서 발견되며 Ipomoea sp.의 경우 극지를 제외한 전세계에 분포한다.

(DISCOVER LIFE)

Turbina corymbosa 의 분포도 (DISCOVER LIFE)

Ipomoea sp.의 분포도 (DISCOVER LIFE)

4. 알려진 효능 및 유효성분

5. 관련 설화 및 전설

  • 몇몇 morning glory의 종자에는 강력한 환각 물질인 LSD (Lysergic Acid Diethylamide) 와 구조가 매우 유사한 LSA (Lysergic Acid Amide)가 포함되어 있어 환각작용을 불러일으킨다. LSA는 ergine이라고도 불리우며 인돌 부근의 구조가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구조가 유사하여 시냅스의 세로토닌 수용체와 결합하여 환각작용을 일으킨다. 이런 LSA는 식물 자체에서 만드는 것이 아닌 공생하는 진균류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학설이 존재한다.

(Beaulieu, 2013)

(좌) LSA (Lysergic Acid Diethyamide)와 (우) Serotonin의 구조

(Wikipedia, "Ergine", "Serotonin")

  • 자신의 정원에 있는 꽃들 사이에 앉아있는 것을 좋아하는 아름다운 공주가 있었습니다. 그녀는 매우 연약해서 날이 너무 더워지기 전에 궁전으로 항상 돌아가야 했습니다. 그래서 그녀는 모든 꽃들을 보지 못했고 그녀는 매우 슬퍼했습니다. 슬퍼진 그녀의 눈물이 땅에 닿자 어떤 씨앗으로 변하였습니다. 어느 날 그녀는 매우 아름다운 꽃이 아침에 피어난 것을 발견했고 그 꽃의 이름을 나팔꽃으로 지어주었습니다.

6. 참고문헌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2016). 생약학. (p332 ~ 334). 동명사.

Ergine, Wikipedia, 2019.03.06, https://en.wikipedia.org/wiki/Ergine, 2019.06.14

Ipomoea, DISCOVER LIFE, 2019.06.14, https://www.discoverlife.org/, 2019.06.14

Serotonin, Wikipedia, 2019.06.02, https://en.wikipedia.org/wiki/Serotonin, 2019.06.14

Turbina trymbosa, DISCOVER LIFE, 2019.06.14, https://www.discoverlife.org/, 2019.06.14

Beaulieu, W. T., Panaccione, D. G., Hazekamp, C. S., Mckee, M. C., Ryan, K. L., & Clay, K. (2013). Differential allocation of seed-borne ergot alkaloids during early ontogeny of morning glories (Convolvulaceae). Journal of chemical ecology, 39(7), 919-930.

Schultes, R. E., Hofmann, A., & Rätsch, C. (2001). Plants of the gods. (pp. 170-175). Rochester, VT: Healing Arts Press.

Stefanović, S., Krueger, L., & Olmstead, R. G. (2002). Monophyly of the Convolvulaceae and circumscription of their major lineages based on DNA sequences of multiple chloroplast loci. American Journal of Botany, 89(9), 1510-1522.

Wink M. & Van Wyk, B. E. (2008). 세계의 독성식물. (p. 10, 22-23, 150, 230). 김지웅, 성상현, 오원근 공역. 신일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