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군인들의 기본 장비, 담배!”>

1. Ethnobotany

  • 전통 의약적으로 담배의 이용은 다음과 같다. 중국에서는 개정향풀과 담배를 같이 법제함으로써 nicotine을 해독하는 약을 처방했다는 기록이 있고, 미국에서는 피로나 정신적인 질병, 그리고 어떤 일에 대한 공포에 대해 담배를 처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1] 미국의 담배 소비량 추이에서 보면 전쟁 혹은 거대한 세계 대전이 일어날 때 담배소비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은 이러한 공포를 극복하는 의미로 담배를 이용하지 않았을까라는 가설을 조심스럽게 제시해본다. 실제로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 담배회사 Camel의 선전문구는 “군인의 기본장비 Camel”이었다.


[1] Yun-Peng Zhao et al. Molecular, chromosom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reveal a new diploid species in the Smilax china complex (Smilacaceae), 2015.

2. 식물의 계통

목 - 가지과 - 담배속

  • 담배는 가지과의 담배속에 속한 식물로 우리가 흔히 소비하는 담배는 재배담배(Nicotiana tabacum)이다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2016)

청미래덩굴과 계통수 (Olmstead et al., 2008)

3. 식물의 생태

4. 알려진 효능 및 성분

  •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세계적으로 담배를 재배하고 있다. 담배의 생육조건은 20-30 ℃, 80-85%의 공중습도, 그리고 땅에는 질소원이 풍부해야 한다 (Wikipedia, "Nicotiana tabacum”)
  • 담배에 의한 신체의 생리적인 변화는 대부분 nicotine이라는 alkaloid에서 기인한다. nicotine에 의한 작용으로는 중추신경계 작용으로 인한 진전(tremor), 항이노호르몬의 유리 등을 일으키고, 심혈관계과 호흡계에서는 교감신경을 활성 시켜 심장박동을 빠르게 하거나 호흡을 촉진시킨다. 하지만 nicotine은 사실 치사량이 20-160mg 정도의 맹독성 alkaloid이며, 1mg만 체내에 흡수되어도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증독증상으로는 오심, 현기증, 구토, 두통, 냉한, 소화장애, 부정맥, 시력장애 등 다양한 증상을 야기하며, 적정량에서는 중추신경계나 심혈관계 그리고 호흡계에 대한 촉진작용이 중독량에서는 오히려 마비된다.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2016).

Nicotine (Wikipedia)

5. 관련 설화 또는 전설

담배에 대한 전설은 주로 아메리카대륙의 원주민들의 이야기들이 대표적이다. 그 중에서 평화를 기원한 한 족장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한다. 과거 아메리카 대륙에는 수많은 원주민 부족들이 있었고, 이들은 자신의 부족이외에 다른 부족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Nipmuc 부족의 평화를 사랑한 한 족장이 있었다. 그는 다른 부족장들을 모두 소집하여 자신은 정신세계로 곧 여행을 떠나야 한다(수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하며 평화를 위한 대회를 열게 된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이 평화를 사랑하는 족장은 세상을 떠나게 되는데, 이 족장의 무덤에서 자라난 풀을 평화의 상징으로 삼아 의식이나 행사를 진행할 때 이 풀을 태워 그 연기를 쐬는 관습이 생긴다. 이 풀이 바로 담배이다 (Columbia university, 1992).

6. 참고문헌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2016).생약학: 제 2판. 동명사. pp 552-553.

Columbia university. (1992). Anthology of traditional tobacco stories. New York.

Olmstead, R. G., Bohs, L., Migid, H. A., Santiago-Valentin, E., Garcia, V. F., & Collier, S. M. (2008).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Solanaceae. Taxon, 57(4), 1159-1181.

Nicotiana tabacum”.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Nicotiana_tabacum#Habitat_and_e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