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맹e 크리티카 성경 주석 시리즈
고린도전서 & 고린도후서
C. K. 바레트
알맹e 크리티카 성경 주석 시리즈
C. K. 바레트
고린도전서 주석: 고린토전서 성경 주석 (BNTC)
고린도후서 주석: 고린토후서 성경 주석 (BNTC)
시리즈명: 알맹e 크리티카 성경 주석
Who?
C. K. 바레트 & 한국신학연구소 번역실
원서정보
전서 원서명: A Commentary on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전서 원서명: A Commentary on the Second Epistle to the Corinthians
원서 시리즈: BNTC, Black New Testament Commentaries
원서출간연도: 전서: 1968, 1971; 후서: 1973
원서 출판사: Adam & Charles Black, London, UK
출간 정보
발행일: 2025년 9월 22일
펴낸곳: 알맹e
쪽수: 482+460
판형: 신국판152mm x 225mm
전자책
각권 정가: 11,000원 (세트가 별도로 없음)
종이책
각권 정가: 31,500원 (세트가 55000원; 한시적으로만 판매할 예정임; 품절 이후에는 낱권으로만 판매할 예정임.)
이전판 출간 정보 (종이책 기준)
발행일: 전서: 1985; 후서: 1986
옮긴이: 한국신학연구소 번역실
펴낸곳: 한국신학연구소
PDF 전자책 (고린도전서)
리디북스: https://ridibooks.com/books/3057000074
Yes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4590952
교보: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11992903
PDF 전자책 (고린도후서)
리디북스: https://ridibooks.com/books/3057000075
Yes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4590953
교보: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11993024
종이책 (고린도전서)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4573359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614172
갓피플몰: https://mall.godpeople.com/?G=9791191822854
종이책 (고린도후서)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4581256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614199
갓피플몰: https://mall.godpeople.com/?G=9791191822861
종이책 (고린도전서/후서 세트)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4580268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614208
갓피플몰: https://mall.godpeople.com/?G=9791191822847
알맹e책 서점 도매 문의는 아바서원으로, 교회나 학교 교재/단체 주문 문의는 알맹e로 하시면 됩니다.
고린도 서신은 다른 어떤 바울 서신보다도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모습과 그 공동체가 속한 세상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서신이다. 저명한 신약학자이자 목사인 바레트는 고린도 전후서를 주석하면서 원래의 역사적 맥락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삶을 생생하게 되살려낸다. 바레트의 논변은 가장 노련한 학자들조차도 이 서신에 담긴 수많은 논쟁적인 구절들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재고하도록 도전할 것이다.
이 한국어판은 이전에 한국신학연구소에서 나온 기존의 한국어판을 그대로 다시 복간하면서, 원서 쪽수 정보를 매 페이지 삽입하고, 이전에 없던 색인 부분을 뒷부분에 추가했다.
알맹e 크리티카 성경 주석 시리즈에서는 기초적인 성경 원어 능력과 성서학 배경지식을 갖춘 사람이 성경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데 꼭 필요한 중요한 주석들을 한 권씩 출간하고 있다.
“확고하고 간결하며 통찰력을 갖춘 권위 있는 자료다. 서론은 고린도전서가 나오게 된 배경으로서 고린도인과 바울의 관계에 대한 역사 및 고린도 교회에 대한 유익한 개요를 제시한다. 바레트는 본문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정보와 주석을 충분하고 넉넉하게 활용하는 탁월한 학자다. 본서는 때때로 중요한 신학적 사색을 제공한다. 저자는 오늘날 의미에 대해서는 분명한 언급을 거의 하지 않지만, 바울의 신학적 주장과 그가 다룬 실제적인 문제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독자가 오늘날의 상황과 연계 할 수 있게 한다.” 데이비드 바우어
“이 주석의 원서는 ‘중급’ 수준을 지향하는 블랙 신약 주석 시리즈(미국에서는 한 때 ‘하퍼’라는 이름으로 출간되기도 함)를 통해서 출간되었는데, 시리즈의 다른 주석과는 달리 저자는 늘 그렇듯이 거의 모든 내용을 간략하게 다루지 않는다. 비록 영어 번역본에 대한 주석이 주를 이루지만, 종종 그리스어가 등장하며, 독일어 주석이 산재해 있다(한국어판에서는 물론 한국어로 번역이 되어있다).” 윌리엄 베어드
“설교자들은 이 주석이 종종 신학적으로 깊이 있고 설득력 있게 쓰인 점을 높이 평가할 것이다. ...이 간결한 주석은 여전히 현명한 선택이다. 특히 “큰 책은 큰 악이다”라는 고대 그리스 격언에 동의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존 에반스
“하느님의 면전에서 남자의 영광을 제거하는 것을 상징하는 너울(head-covering)은 여자에게 부여된 권위(ἐξουσία)의 표징도 된다. 즉 여자의 너울은 이전에 그녀에게 허용되지 않았던 일들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섭리 아래서 여자에게 부여된 새로운 권위를 상징하는 것이다.” (『전서』, 297-298쪽)
“그러나 ‘합당하지 않게’ 먹고 마시는 일은 (앞서 지적한 의미에서 볼 때) 그리스도가 자신을 내어준 목적과 행한 정신에 위배되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그런 일을 행하는 사람은 믿음으로써 믿음의 결실을 얻는 사람들에게 속하는 것이 아니라 십자가처형에 대해 책임이 있었던 사람들에 속하게 된다.” (『전서』, 317쪽)
“무아경에서 하는 말의 방식이 아니라 그 내용이 말의 진정성을 결 정한다.” (『전서』, 324쪽)
“바울로는 교회가 사랑을 실천하지 않고 방언을 말하는 것은 무의미한 현상이라고 주장한다. 심지어 방언은 이교적인 관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전서』, 346-347쪽)
이것은 그리스도의 죽음이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니라 하느님에 의해 계획되고 결정된 것임을 의미하며 또한 그것이 하느님의 영원한 목적의 완성의 일부를 이룬 것, 즉 현세대와 오는 세대—하느님의 목적이 완성되는—의 경계에 놓인 종말론적인 사건들 중의 하나였음을 의미한다. (『전서』, 387쪽)
“주의 영광을 들여다보고 그에 대한 지식을 받는 것이 변화되는 것이다.” (『후서』, 169쪽)
“바울로는 —정확히 맞는 말이 아니기 때문에— 그리스도가 하느님의 율법을 범함으로써 죄인이 되었다고 말하지 않는다. 또한 그는 모든 신자들이 즉시 자동적으로 도덕적으로 의롭게, 하느님처럼 선하게 되었다고 말하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고린토에서의 경험은 물론이고) 그의 모든 경험들과 모순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는 그리스도가 죄가 되었다고 말한다. 즉 그는 일반적으로 죄를 지은 결과로 발생하는 하느님과의 관계에 들어가게 되었으며, 하느님으로부터 소외되고, 그의 분노의 대상이 되었다. 바흐만은 여기서 ‘죄’(ἁμαρτία)가 결코 ‘속죄제’를 의미하지 않으며 ….” (『후서』, 233-234쪽)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느님의 사랑의 행위를 통해서 ‘의’라는 말로 서술할 수 있는 하느님과의 관계에 들어가게 되었다. 즉 우리는 그의 법정에서 무죄선언을 받았으며 의롭게 되고 화해했다. 우리는 이제 재판에서 그의 원수가 아니라 찬구이다. 갈라디아서 3장 13-14절의 비슷한 선언과 비교하라: ‘그리스도는 우리를 위하여 저주받은 자가 되심으로 [바울로는 자신의 인용문과는 달리 ‘저주받았다’라고 말하지 않는다]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읍니다.’ ‘나무에 달린 사람은 모두가 저주받았다’ 라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아브라함에게 주신 복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방 사람들에게
미치게 하려는 것이었읍니다.” (『후서』, 234쪽)
지은이 C. K. 바레트 Charles Kingsley Barrett (1917-2011)
저자는 영국 잉글랜드의 북서쪽에 위치하는 랭카셔주(현 그레이터맨체스터주)의 작은 도시인 솔퍼드에서 감리교 목사 가정에서 1917년에 태어났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감리교 목사로 달링턴에서 잠시 섬기다가 더럼 대학교에서 교수(1945-1982)로 있었다. 1973년 신약학회(SNTS) 회장이 되었으며, 학계에서 200세기 후반부의 대표적인 영국 신약학자로 평가받는다. 사도행전(ICC)과 로마서를 비롯한 주요 바울 서신 주석을 집필하였으며, 20세기 영국의 대표적인 신약학자로 평가받는다. 한국어로는 한국신학연구소에서 『요한복음』, 『고린토전서』, 『고린토후서』가 번역 출간되었다. 이 주석서들은 알맹e를 통해서 모두 복간되었다.
옮긴이 한국신학연구소 번역실
『고린도전서 주석』 한국어판(색인 제외)은 안병무(책임 감수), 김필진(본서 초역), 박재형, 박경미(이상 번역진), 강맑실(편집 교열)로 이루어진 한국신학연구소 번역실에서 만들었다.
『고린도후서 주석』 한국어판(색인 제외)은 안병무(책임 감수), 이강실(본서 초역), 강원돈, 이재원(이상 번역진), 강맑실(편집 교열)로 이루어진 한국신학연구소 번역실에서 만들었다.
『고린도전서 주석』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약기표
서론
I. 고린토
II. 서신
III. 고린토전서의 공헌
가. 신학의 발전
나. 초대교회
본문과 주석
I. 서언 1:1-9
1. 인사말 1:1-3
2. 감사말 1:4-9
II. 고린토에서 온 소식들 1:10-6:20
가. 지혜와 고린토교회의 분열 1:10-4:21
3. 고린토교회의 파당들 1:10-17
4. 십자가의 말씀 1:18-31
5. 단순한 증거 2:1-5
6. 지혜, 거짓과 참 2:6-16
7. 참된 지혜조차 어린 아이에게는 부적합하다 3:1-4
8. 바울로와 아폴로 3:5-17
9. 바울로, 아폴로, 게바, 그리고 그리스도 3:18-23
10. 그리스도의 종들과 그들의 직분 4:1-5
11. 고린토 교인들과 그들의 사도들 4:6-13
12. 고린토 교인들과 사도들 및 바울로의 계획들 4:14-21
나. 음행 5:1-13
13. 교회 안팎의 음행 5:1-13
다. 소송 6:1-11
14. 소송이나 소송의 이유를 제기하지 말라 6:1-11
라. 분쟁한 근거 6:12-20
15. 분쟁의 근거 6:12-20
III. 고린토로부터 온 편지 7:1-16:4
가. 결혼과 관련된 문제들 7:1-40
16. 결혼생활에 관하여 7:1-7
17. 그리스도교인과 믿지 않는 사람과의 결혼, 노예상태와 자유 7:8-24
18. 처녀들에 대하여 7:25-40
나. 우상에게 바친 제물 8:1-11:1
19. 다툼의 원인 - 사랑보다 지식을 앞세움 8:1-13
20. 사도일지라도 복음을 위해 자기 권리를 포기할 것이다 9:1-27
21. 세례받은 교인일지라도 안전하지 못하다 10:1-13
22. 우상숭배와 일치할 수 없는 그리스도교 10:14-22
23. 그리스도교적 자유의 성격과 범위 및 제한들 10:23-11:1
다. 그리스도교인들의 집회 11:2-34
24. 남자와 여자 11:2-16
25. 만찬 11:17-34
라. 성령의 은사들 12:1-14:40
26. 기본적인 시험(1): 예수는 주이시다 12:1-3
27. 한 몸 안에서의 은사의 다양성 12:4-31
28. 기본적인 시험(2): 사랑 13:1-13
29. 방언과 예언의 판단 기준 14:1-40
마. 부활 15:1-58
30. 공통적으로 전해진 복음 15:1-11
31. 복음의 의미들 15:12-22
32. 그리스도교의 묵시(1) 15:23-28
33. 부활을 지지하는 주장 15:29-34
34. 옛 사람과 새 사람 15:35-49
35. 그리스도교의 묵시(2) 15:50-58
바. 헌금 16:1-4
36. 헌금에 관한 지시와 계획 16:1-4
IV. 결론 16:5-24
37. 바울로의 계획들의 배경 16:5-12
38. 고린토교회에 대한 마지막 부탁과 인사 16:13-24
색인
인명 및 주제 색인
그리스어 색인
고대 자료 색인
구약
신약
요세푸스
필론
사해문서
외경(제2정경)
구약 위경
미쉬나와 기타 유대 문헌
그리스-로마 문헌
초기 기독교 문헌
『고린도후서 주석』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약기표
서론
1. 고린토
2. 고린토전서 이후의 고린토
3. 특수한 문제들
4. 고린토교회의 신학
본문과 주석
I. 서언 1:1-11
1. 인사말1:1-2
2. 감사말 1:3-11
II. 바울로의 고린토 방문 계획 1:12-2:13
3. 바울로의 자랑 1:12-22
4. 바울로의 계획은 바뀔 수도 있지만 그의 목적은 바뀔 수 없다 1:23-2:13
III. 선교와 목회 활동의 목적 2:14-7:4
5. 그리스도교 선교와 하느님의 도움 2:14-3:3
6. 옛 계약과 새 계약, 옛 선교활동과 새 선교활동 3:4-18
7. 선교활동과 그것을 통해 전해지는 보물 4:1-6
8. 선교활동 - 보물이 담겨 있는 질그릇 4:7-18
9. 보물을 담고 있는 질그릇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음을 말하는 여담 5:1-10
10. 보물: 그리스도의 죽음으로부터 일어난 화해와 새로운 창조의 메시지 5:11-21
11. 하느님과 그의 사절에게 응답하라는 호소 6:1-13
12. 하느님께 대한 응답은 배타적이다 6:14-7:4
IV. 바울로의 고린토 방문 7:5-9:15
13. 다시 시작되는 이야기 (참조. 4장): 미래의 문을 여는 회개 7:5-16
14. 헌금(1) 8:1-24
15. 헌금(2) 9:1-15
V. 위협당하는 미래 10:1-13:10
16. 완전한 순종에 대한 호소 10:1-6
17. 적대자들에 대항하여 싸울 것을 선언함 10:7-18
18. 경쟁적인 사도들에 의해 위협당하는 고린토교회 11:1-15
19. 어리석은 자들에게는 그들의 어리석음에 맞게 대답한다: (ㄱ)자격 11:16-33
20. 어리석은 자들에게는 그들의 어리석음에 맞게 대답한다: (ㄴ) 계시 12:1-10
21. 반론들에 대한 답변 12:11-18
22. 사도와 교회: 진리 12:19-13:10
VI. 결론 13:11-13
23. 마지막 말과 인사 13:11-13
색인
인명 및 주제 색인
그리스어 색인
고대 자료 색인
구약
신약
요세푸스
필론
사해문서
외경(제2정경)
구약 위경
탈무드와 랍비 문헌
그리스-로마 문헌
초기 기독교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