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학생들을 위해 남긴 조언>>
=====================================
1. 수강신청 전의 고민
음……. 뭐 아실 분은 다 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빡셉니다. 사회학과 이중전공을 하면서 사회학입문을 듣고 이상하게 사조입, 사조연, 사회통계학과 같은 필수 과목을 안 듣고 4000단위부터 먼저 들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졸업을 압두고 위의 세 과목을 남기게 되었고, 이번 학기에 사회통계학을 듣게 되었습니다. 사실 제 학번에서는 통계학입문을 들으면 사회통계학을 듣지 않아도 되지만, 통계학 입문을 넣는 것이 워낙 어려웠고, 그렇다고 내년 2학기에 사회통계학을 듣자니 초과 학기에 듣기엔 부담이 커서 매도 먼저 맞는 게 낫다는 심정으로 넣게 되었습니다(그래도 늦게 맞긴 했네요. 4학년 1학기에 들었으니). 서두가 너무 길었는데, 저는 18학점에 본전공 9학점, 사회학과 9학점을 들었습니다. 18학점 들으실 생각이라면, 각오를 단단히 하셔야 할 것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여러 가지들을 포기하게 되었습니다. 동아리, 마구마구, 술……. 아 담배는 많이 늘었군요. 자신이 정말 근성이 있고, 영어도 잘하고, 수학적(교수님께서는 수학과 관련이 없다고는 하시지만)인 감각이 뛰어나다면 정말 좋은 수업입니다. 저는 이와 정반대였기 때문에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특히나 성실해야 됩니다. 한 학기 학교 다니면서 집에서는 제가 통계학 수업만 듣는 줄 아셨습니다. 매주 조교 보강에 시험, 예습까지 하다보면 일주일 정말 빨리 갑니다. 그리고 꼬박꼬박 복습해야 합니다. 기말고사 앞두고 다시 보려니 막막합니다. 근성이 있으신 분이라면 추천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냥 졸업을 늦추세요. 이제 수강 후기를 쓸 생각을 하니 마치 군대에서 제대를 앞둔 기분이 듭니다.
2. 수강신청 후
의료사회학 수업이 아닌 전공필수 수업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많은 인원(그래봐야 30명 안되지만)이 첫 날에 들어왔습니다. 교수님께서는 들어오시자마자 수강후기를 무기로 학생들을 걸러내십니다. 그래서 결국 지금까지 남은 사람은 16명입니다. 그래도 전공필수니까 이 정도 남은 것 같습니다. 이 수업만 주당 많으면 6~7시간 이상 조모임을 하고, 거기에 매주 시험 대비하고 예습, 복습 하면 시간 잘 갑니다. 대신 많이 힘듭니다. 그리고 주위의 많은 걸 정리하시길 바랍니다. 한 마디로 그냥 마음의 준비를 하시길 바랍니다. 어차피 이 글만 읽으실 건 아닐 테니 더 길게 쓰지는 않겠습니다.
3. 학기 중
그냥 힘듭니다. 사실 힘들단 생각이 안 들 정도입니다. 무념무상입니다……. 입학 이후, 처음으로 금요일 수업이 없는 주4를 실현했는데, 금요일엔 잠만 잤습니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다른 과목 과제를 최대한 빨리하고, 통계에 매달렸습니다. 그래도 매주 성적은……. 이 수업을 들으면서 Outlier 개념은 확실히 알았습니다. 항상 성적이 거기에 위치했으니……. 사람이 노력을 하면 안 되는 것이 없다고들 하는데, 가끔은 있습니다. 제 노력이 부족한 탓도 있겠지만, 솔직히 가장 싫어하는 영어와 수학의 조합만으로도 힘듭니다. 그렇다고 모든 분들이 다 저 같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정말 이것이 대학 수업이구나 하는 느낌도 듭니다. 수강 인원도 적고, 단순히 교수님의 말을 듣는 것이 아니라 대화하면서 기존의 다른 수업들과는 다른 느낌을 들게 합니다. 물론 힘듭니다. 그만큼 예습, 복습 철저히 해야 합니다. 대학을 날로 다녀서 그런지 쉽지 않았습니다. 후기를 쓰신 많은 분들이 학기 중을 세분화해서 설명하시는데, 저에게는 그냥 다 똑같았습니다. 아, 한 초반 2~3주는 그래도 수학의 정석을 봐도 나오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 때는 조금 아주 조금 여유가 있습니다. 그 다음부터는 한 번 놓치면, 그냥 멍 때릴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어 수업이지만 거의 영어 수업이라고 봐야 합니다. 시험도 영어로 나오고, 수업 시간에 조사 정도 빼면 다 영어입니다. 영어 잘하시는 분 추천합니다. intercept가 절편인거 처음 알았습니다. 가로채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냥 통계학 입문이나 다른 수업을 들으시길 바랍니다. 물론 계속 말씀드리지만, 정말 통계 잘하고 싶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다른 수업 말고 이거 들으세요. 이거 하나면 됩니다.
4. 끝을 바라보면서
기말고사가 코앞이고, 기말고사 다음 수업이 휴강임에도 과제를 내주셨습니다. 그 과제를 하기 전에 그동안의 수업을 정리해볼 생각으로 후기를 썼습니다. 무슨 군대를 제대하는 느낌이 드네요. 이 수업 중간에 철회 안하고, 성적이 바닥임에도 버틸 수 있었던 건 전공필수라는 가장 큰 암초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사실 철회를 한다는 것이 제 자신이 허락지 않아서 바닥을 치더라도 열심히 해보자라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버틴 것 같습니다. 마지막 수업을 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군대 선임을 떠나보내는 느낌? 많은 과제와 수업 양에 힘들고 지치고, 나는 어떤 존재인가라는 생각이 들게 했습니다. 통계학 수업이 아니라 저 혼자 철학 수업 듣는 기분이었습니다. 성적이 어떻게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크게 기대는 안합니다. 다만 그래도 진정한 대학 수업이라는 것이 이런 거구나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통계학 입문 수업 듣는 후배들에게 설명할 정도로는 배우게 되었습니다. 80~90명 듣는 수업을 듣다가 넓은 강의실에 16명과 교수님이 아이 컨택트를 할 수 있고, 확실히 배우는 것이 많은 수업입니다. 계속 반복하는 얘기지만 근성이 있고, 통계 제대로 배우고 싶다면 수강하셔도 됩니다. 3학점 수업으로 10학점 이상의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다만 그만큼 기회비용도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길 바랍니다.
=====================================
1. 이렇게 수강했어요
학기 초에는 의욕이 넘치다 못해 아주 흘렀습니다. 늘 그렇죠. 어떤 수업을 만나도 노력하면 안 되는 게 없어, 나는 잘할 수 있다고 스스로 자기 주문을 거는 시기입니다. 항상 새 학기가 시작하면 마음이 설레지 않습니까. 교수님께서 ‘내 수업은 다른 수업과 병행하기 어렵다’고 아무리 강조를 해주셔도 이 시기에는 쉽게 와 닿지 않았습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교수님 말씀대로 수학을 잘하든 못하든 통계 잘할 수 있다 생각합니다. 그러나 기왕이면 수학을 잘하는 편이 좋아요. 그리고 기왕이면 영어도 잘하는 편이 좋아요. 통계에 대한 지식화가 미진하기 때문에 쉽게 읽히지 않는다는 교수님 말씀에도 공감합니다. 하지만, 영어를 잘하면 잘할수록 조금은 더 편안할 거예요. 교재를 빠른 속도로 읽어나가고 싶지만 영어로 된 본문을 독해를 하며 읽어야 하니까요. 지문의 난이도가 크게 높은 건 아니지만, 속도에서 다소 능률이 떨어지는 건 사실. 그리고 이 수업은 매주 알찬 루틴이 이어집니다. 매주 수업한 범위 별 주중 시험을 보고, 조별로 교재에 실린 문제 칠판 풀이를 합니다. 풀이를 하는 조원은 그 자리에서 랜덤하게 뽑히기 때문에 ‘이번 주는 피곤하니까 난 묻어가야지’라고 생각해선 안 됩니다. 확실히 공언한 대로, 다른 수업과 비교해 일상적인 긴장감이 높은 수업입니다. 혹시 이번 학기에 사회통계학 외에 한 학기를 바탕으로 하여 그려놓은 일이 있나요? 웬만하면 접기를 권합니다. 아니면 사회통계학을 고이 접든 선택하셔야 합니다. 안 그러면 이번 학기 힘들 거예요.
처음에는 저런 과정에 답답함을 느꼈지만, 좀 익숙해지자 해볼만 하다는 착각도 하게 되었습니다. 네, 그런 착각이 수업을 드랍할 기회를 놓치고 나중에 후회하게 만드는 거죠. 매 학기마다 후회하면서도 또 그런 착각을 했어요. 말하자면, 중간고사 전은 본격적인 과제 수행을 위해 통계적 상식을 갖추는 시기입니다. 역량에 따라 점수는 안 나올 수 있지만, 교수님께서 하라는 공부만이라도 한다면 아주 어렵진 않을 거예요. 그러나 중간고사 이후 연구가 시작되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중간고사 후에는 배운 통계를 직접 활용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컴퓨터 패키지 사용법도 배웁니다. 사실 배운다기보다는, 지정된 책을 스스로 읽고 수업 시간 외에 따로 주어진 시간에 해보아야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배운 통계와 패키지에 관련한 지식을 이용하여, 학기 말까지 조별 연구보고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쯤 되면 조모임이 몹시 활성화됩니다. 그 이전부터 매주 칠판 풀이라는 조별 과제가 있었기 때문에 조모임은 거의 매주 했었는데 중간고사 이후부터는 1주일에 3번씩 만나게 되었습니다. 이렇다보니 부모님이 ‘통계 조모임이랑 연애하니’라고 물어보시기도 합니다. 그만큼 조별 과제가 모든 과정을 통틀어서 가장 중요합니다. 조별 연구보고서가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도 이전까지 해왔던 루틴은 계속됩니다. 컴퓨터 패키지를 잘 써야 연구가 원활히 진행되기 때문에 가끔 재택 시험도 봅니다. 이렇게 되니까 다른 수업을 병행하는 것도 다소 힘들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시험의 난이도를 떠나서 스스로 통계 공부에 시간을 투자하지 않으면 안 되는 루틴의 압박이 큽니다.
그래도 이런 과정을 모두 마친 뒤에 느끼는 보람은 몇 배로 큽니다. 이 수업이 아니면 통계를 배우고도 활용하지 않아 지식이 되지 못한 채로 버려두었을 겁니다. 그리고 공부를 통해 어려움을 해결해나가는 즐거움을 오랜만에 느꼈습니다. 교수님께서 기대한 것만큼 잘하지는 못했지만, 개인적으로는 가장 실제적이고 얻은 게 많은 수업이었다고 생각합니다.
2. 이런 점에서 추천합니다
의문이 날 때 바로 질문을 하면 교수님께서 정말 자세히 답변해주시기 때문에 처음에는 질문하는 것이 다소 껄끄러워도 나중 가면 편안해집니다. 그리고 어려운 수업이라 학점이 잘 안 나올까 걱정되시는 분, 수업에 대해 본인이 몰입하면 학점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입니다. 다른 과목에 비하여 통계는 공부하지 않으면 문제를 풀 수조차 없기 때문에, 공부한 보람이 분명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게다가 교수님이 시험을 볼 때마다 시험 점수를 바로 바로 피드백 해주시기 때문에 매주 동기부여가 됩니다. 또, 조별 과제가 많다보니 조모임 조원들과 매우 친근해집니다. 조원들뿐만 아니라 수업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대체로 서로 잘 알게 됩니다. 아마 수업의 어려움에서 기원한 동병상련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통계 자체가 주는 매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실에 접목시켜서 배운 지식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좋습니다. 그 과정에서 많은 노동을 해야 하기는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 모든 것이 다 유의미한 시간들이었습니다.
3. 이런 점에서 비추천합니다
최종 연구보고서를 쓰는 단계까지는 어떻게든 나아가야 하는 수업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학생이 겪을 고충에 대한 배려는 상대적으로 적어보입니다. 무조건 나쁘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저 사회통계학에 맞춰 일정을 조정하다보면 이번 학기에 하려던 계획들을 전부 수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거죠. 그리고 조모임도 꾸준히 해야 하기 때문에 그룹 활동이 정말 안 맞으시는 분은 힘드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Dear future student,
영어 엄청 많다고 해서 겁먹지 마시고 읽어 보세요^^
First off, I am writing this overview of the class in English because in order to survive in this class, you need to be profoundly well in English. The reason is, the textbooks the professor uses are all in English. So if you are having a hard time understanding my writing, then I recommend that you DON’T take the class. Trust me, the probability that the vocabulary and the wording of the two textbooks that you are going to use in the class are approximately 20 times harder than my writing is 100%.
Don’t get me wrong, even if you are fluent in English, this course if going to be very hard. I am a fluent-speaker, but that alone did not help me in this course. I would say that English is a foundation, more to say, the basis needed for this course. As you will learn throughout the course, you need to learn to think with a statistical mi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s in the books.
As far as tests go, there are weekly-exams based on each chapter of the books. They can be just one chapter per week, or sometimes when the professor speeds up his lectures, 2, 3, or even 4 chapters per week. These exams are usually independent, with the exception of group-shared exams. But most of the time, they are usually independent, meaning the score of the exam is yours only and not shared by other group members. There are also black-board exams each week, and this score is shared by your group members. What the black-board exam is, one person will be randomly selected within your group to go up to the blackboard and solve a randomly selected problem from that chapter’s problems. There are both midterm and a final, and the final is cumulative. There are also STATA exams. These exam are done on a computer using the program STATA, which you will also learn how to use.
The following are some suggestions in order to survive the course without hardships.
1. Group Meetings
The course of this class revolves around the concept of “groups.” The group that you are assign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is the group that you will become VERY close with in the end.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good relationship with your group members because you are going to see them at least 3~4 times per week. The materials of each chapter taught by the professor go by very quickly, so often times, your group will ne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help each other in term of solving problems and understanding concepts. Even though this class is 상대평과, and you are probably used to “independent learning,” I recommend that you help out your group members. Some of the weekly test-scores are shared with you group members, which is another reason why excellent group establishment is recommended.
2. Pre-reading
It is CRUCIAL to read the chapters of the textbook before you come to class. And by reading, I don’t mean skimming through but thoroughly reading MULTIPLE times.
3. During Class
Even though the professor may seem scary at first, and you may be afraid to ASK QUESTIONS, please do so anyways. He actually loves questions asked by students, and also loves to answer them as well. Always be tentative to what he is saying, because EVERYTHING he teaches will be on the exams.
4. Final Research Paper
Yes, on top of all the weekly exams, black-board exams, and group meetings, you will have to write a research paper with your group. It is advised that you start thinking about the topic and read a lot of prior-existing papers by professional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in order to block overdue work.
5. STATA
It is important to learn how to use STATA, a statistical program which calculates almost everything for you in an instance. This is important not just because of STATA exams, but also for your research paper as well, since you will be doing chi-square tests and regressions.
Overall, this is a very high-level course which requires minimum of 10 hours per week just on this course. If you are taking 18-credit this semester, it IS possible to do well in this class, but it will be very hard. Up to now, I only talked about how hard this course is, but I never said it wasn’t worth taking. If you are sincere about gaining knowledge and not just earning good grades, this is a course that I would definitely recommend.
결론적으로, 정말 열심히 하실 분만 이 수업을 추천합니다.
=====================================
첫 수업시간에 교수님께서 ''''자랑스럽게'''' 교수님 홈페이지의 ''''수업''''을 보여주셨던 기억이 납니다. 자, 이 글을 읽는 바로 이 순간이 여러분의 한학기를 좌지우지할 결정의 순간입니다. 어물쩍 ''''통계 들어야 하니까~'''' ''''학점 남았으니까~''''하고 수강을 결정했다간 큰 코 다칠지도 모릅니다. 교수님께서 이미 ''''준비가 안돼 있으면 나가라~ 내 수업에 대해 알고 왔느냐~'''' 하는 말씀 많이 하셨을 거라 믿습니다. 흘려듣지 말고 교수님 말씀을 잘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ㅋㅋ) 정말로 마음을 단단히 먹고 들어야 하는 수업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좀 두서없지만 tips and advice를 나름대로 드려보겠습니다.
* 수업에 관하여
보통 염교수님 수업은 3학점이 아니고 9학점이다 뭐 여러가지 이야기가 많습니다. 정말 ''''죽을정도''''는 아니지만, 매주 감당해낼 생각만 하면 가슴이 답답해지는 진도가 나가고, 매주 시험이 있으며, 매주 (혹은 한주에도 몇번씩) 조모임을 할 각오를 해야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조원들과 사이가 좋아서 조모임 하는 것이 즐거웠지만, 만약 조원들이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힘들 수도 있겠군요. 하지만 ''''무슨 조모임을 이렇게 많이 하나'''' 불평하진 마십시오. 교수님께 배울 수 있는 것 못지 않은 많은 것들을 조원들과 토의하고 같이 머리 맞대고 고민하며 얻을 수 있습니다.
수업시간에는 교수님께 완전집.중. 해야 합니다. 휴대폰을 만지작거리거나 딴짓하면 안됩니다. 어찌보면 너무나 당연한 것인데, 우리는 대학에 와서 ''''집중하는 법''''을 잊어버린 것 같습니다. ''''필기금지''''의 행복한(?) 지침 아래 교수님의 수업 내용에만 집중하면 됩니다. 처음엔 좀 어색하겠지만 시간이 좀 지나고 나면 익숙해집니다.
매주 보는 시험에는, 뭐 꾸준히 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저도 시험을 잘 친 편은 아닌 것 같아서 여기에 대해선 뭐라 드릴 말씀이 없지만... 그래도 끝까지 ''''포기는 하지 않을거야'''' 하는 마음으로 임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참 잘한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교수님이 원하시는 만큼 따라가진 못했을지 몰라도, 넋놓고 포기하거나 수업을 드롭하는 것보다는 훨씬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어렵다고 중도포기 하지마시고, 조금만 더 인내를 가지고 끝까지 배우시면, 그래도 어느정도 혜안을 가지게 된 자신을 발견하고 나름대로의 뿌듯함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학점도 중요하지만ㅠㅠ 학점이 다는 아니니까요. 배우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교수님에 대하여
저는 소문만 듣고 교수님이 무슨 괴물(?) 혹은 악인(?)인 줄 알았습니다. 학생들을 힘들게 하니 악명 높을 수밖에 없겠지만...(ㅎㅎ) 다른 이유로 힘들게 하는 것이 아니라 많이 배우게 하려고 힘들게 하시는 것이니 미워하진 마세요. 수업에 매우 열정적으로 임하시며, ''''다 똑같은 방식으로 공부하는'''' 한국식 교육에 대해 비판적이십니다. 능동적 배움을 익히고 싶다면 염교수님 수업을 한번 들어보는 것이 아주 좋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저는 수업시간에 교수님께서 이름을 많이 불러주시지 않아서 개인적으로 좀 섭섭했지만(ㅋㅋ) 학생들 이름을 거의 다 외우시고 자주 불러주시는 자상하신 교수님이십니다. 종강 후에는 회식도 했는데, 음. 이 부분은 이제 막 교수님 수업을 수강하려고 하시는 여러분의 상상 속에 맡겨두겠습니다. 딱 한마디 하자면, 절대로 여러분을 진짜로 괴롭히고 싶어하는(?) 분은 아니며, 학생들이 자신의 꿈을 찾아 적극적으로 나아가기를 진심으로 바라시는 분이시다는 느낌을 저는 받았습니다.
여러분, 신중한 선택하시고^^;
수강하기로 선택하셨다면, 부디 건승하시길!
=====================================
여름에 사회학 이중을 받고 보내는 첫 학기인데...
소화해내기 어려운 사회학에서
유독 수업따라가는 것만으로도 힘이든 과목이었습니다.
예습이 선행되지 않으면, 수업시간은 사실상 무용지물되는 수업이었습니다.
또한 한학기동안 진행되는 진도가
양이 저에게 무척이나 방대함을 느끼고, 따라가기 벅차서
결국 나중에 다른 과목들의 조모임과 과제로 시간이 촉박해지면서
결국 진도의 페이스를 잃기도 하였습니다.
다음 수강하시는 분들에게 꼭 드리고 싶은 말 한마디는
꼭 선행학습으로 통계관련 과목을 듣고 나서
들으시면 더욱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처음 듣는 생소한 통계용어나 개념을
원서로 보자니
영어실력이 그닥 훌륭하지 않은 저로서는 굉장히 고생하였다는.....
중간,중간 그냥 포기해버리고 싶은 순간이 너무 많았지만
어떻게든 완주했다는데 큰 의의를 두고싶습니다.ㅜㅠ
=====================================
모두 다 그렇겠지만, 끝나지 않을 것만 같았던 시간들이 지나고 저에게도 tip & advice 를 쓸 수 있는 영광의 시간이 왔네요 ^^
저는 여기에 있는 글들을 대부분 읽었는데, 두려운 마음과 함께 ‘정말 공부다운 공부를 하겠구나!’ 하는 의욕이 앞서서 이 수업을 듣게 되었어요.
읽었던 글 중에서 ‘학기초(충격과 공포)- 학기중반(무념무상)- 학기말(분노-체념과 환희)’라고 학기를 나누어주신 글이 있었는데 학기를 지내면서 참 적절한 설명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수능에서도 영어가 가장 취약해서 영어로 된 교재가 부담스러웠습니다. 실제로 다른 학생들보다 책을 읽는 시간이 2,3배는 되었던 것 같습니다. 중간고사 이전까지 사회통계학에만 일주일에 최소 10시간 정도는 들었으니까요. 영어가 되시는 분은 그보다는 수월하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통계 자체가 새로운 언어라고는 하지만 모르는 영어 단어와 더 생소한 통계 단어들을 찾아가면서 읽는 것은 분명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지만 제가 영어를 못해서 나타난 장점(?)은, 영어가 안돼서 여러 번 책을 읽은 것이 결국에는 영어에 수월한 사람들보다 통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저는 예습을 안 하면 수업을 하나도 못 알아들을 것을 알았기 때문에 중간고사 이전까지는 항상 예습을 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수업을 들으면, 읽으면서 이해 안 됐던 것들을 상당부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다시 녹음한 수업을 들으면서 각 단원의 주요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나면 칠판시험 및 주간 시험을 보았는데요. 시험을 볼 때까지도 어려운 부분이 있다가 시험이 끝나고 풀이까지 하고 나면 그제서야 대부분을 습득할 수 있었습니다. 제 공부법이 좀 모자란 사람처럼 보이죠? ㅋ 제 생각에도 그렇게 효율적인 방법은 아니었는데 저는 그렇게 하나하나를 힘들게 제 것으로 만든 것 같습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는 주중 시험은 평균 수준에 머물렀지만 중간고사는 벼락치기를 하지 않고서도 상당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게 문제였습니다 ㅠ 중간고사가 끝나고 새로운 교재를 하게 되었는데 첫 번째 교재와는 달리 예습을 하지 않고 수업을 들어도 어느 정도 이해가 되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텍스트 읽기를 소홀하게 됐고, 그 결과 기말고사를 보기까지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아직 기말고사 결과가 나오지 않아서 이 부분은 자세히 말씀 드리기가 어렵겠네요.
정리를 하면, 염유식 교수님이 하시는 수업이 무엇이든지 그 과목을 제대로 공부하고 싶은 열정과 의욕이 가득하다면 우선 시작하셔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지금까지 자신이 남들보다 부족하다고 생각됐거나 영어 혹은 숫자에 약하더라도 적어도 3주 이상만 포기하지 않고, 남들과 비교하지 않고 시간 투자를 열심히 하면 그 다음은 매주 시험의 결과들이 당신을 격려하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겁니다. 그리고 중간고사 이후로는 제 경험으로는 체력적으로도, 심적으로도 많이 지치고 다른 과목들도 많은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어려운데요. 제가 다시 돌아간다면, 중간고사 전처럼은 하지 못하더라도 하루에 최소한 30분이라든지, 매일 매일 조금씩이라고 좇아간다면 훨씬 수월할 것 같습니다. 그때는 이미 어느 정도 요령이 생겼을 테니까요!
다시 교수님의 수업을 들으라면 선뜻 듣겠다고 자신 있게 이야기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분명 한 번쯤은 이런 경험이 대학생활과 나의 삶에 좋은 토양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리라고 확신할 수 있습니다. 도전해보시면 좋겠네요! 정말정말 파이팅 !!!
=====================================
- 수학을 잘하시는 것은 분명 도움이 되긴 합니다. 중간고사 이후에 가면 엄청난 수식이 등장을 하게 되고, 간간이 미적분도 등장하고 그러거든요. 하지만 미적분 같은 경우는 이것이 뭘 뜻하지만 알면 크게 문제되는 부분이 아니고, 나머지는 아무리 수학 잘하는 사람에게도 다들 생소한 부분일 것이라 별로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그렇다고 쉬울 거란 이야기는 아니에요, 모두에게 평등하게 어려울 거란 뜻입니다ㅋㅋㅋ). 하지만 특별히 수식 울렁증이 있는 분들은 각오를 단단히 하시는 게 좋을 겁니다. 말씀드렸듯이 중간고사 이후에는 선형회귀를 수학적으로 깊게 파고들기 때문에, 여러 수식들을 가지고 머릿속에서 이리저리 돌려보는 맞춰보는 공부가 중요해지거든요. 반대로 수학적 증명 하나에도 날아갈 듯한 행복과 성취감을 느끼시는 분들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즐거운 수업 시간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조별 연구를 하실 때 너무 거대한 목표를 세우지는 마세요. 여러분이 살면서 궁금했던 것들이나, 사회적으로 중요하다 생각했던 점들, 혹은 이러한 것들은 꼭 연구해보아야 하지 않나 고민해왔던 것들, 그 중에서 가장 간단하고 쉬운 걸로 고르세요. 아무리 쉽고 간단해보여도 막상 연구를 진행하고 나면 그 어느 하나 만만한 것들이 없습니다. 뭔가 주목할 만한 결과를 얻을 때까지는 아 이 주제를 버려야하나 그냥 해야 하나 수백 번도 더 왔다 갔다 하실 겁니다. 그래서 조모임이 매우 중요합니다. 헛소리라도 몇 시간 떠들고 토론하고 나면, 그것이 쌓이고 쌓여서 연구 주제가 계속 좁혀지고 간단해집니다. 그래서 연구가 끝나갈 즈음에는 아주 지긋지긋하고 친근한 주제가 되어서 여러분 머릿속에 간단 명확하게 정리될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저는 제가 뭘 하고 싶은가 정리되는 데까지만 반 학기가 걸렸어요, 보고서 제출을 앞둔 아직도 오락가락하긴 하네요). 그래도 주제가 도저히 안 좁혀진다 싶으시면 과감하게 버리고 새로 시작하세요. 이미 한 번의 실패했던 경험이 여러분의 새 연구를 진행하는데 엄청난 도움이 될 거거든요. 그래도 끈기 있게 한 주제에 매달려보는 것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아무리 거지같은 데이터에도 분명 뽑아낼 것이 한두 가지는 있을 겁니다. 거기에 목숨 걸고 매달리세요, 고생한 만큼 복이 옵니다.
- 이 수업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부해야할 양이 매우 많습니다. 여러 사람들의 소문처럼 정말 친구 만날 시간이 쉽게 나지 않습니다. 사회학과 친구들은 말 안 해도 너무나 잘 이해하는데, 다른 과 친구들은 비싼 척 한다고 욕도 하고 그럽니다. 그럴 때는 그냥 친구 만날 때 책 들고 가서 함께 공부를 하세요. 처음에는 친구들이 황당해하겠지만 나중에는 책 보면서 공감도 해주고 함께 공부도 하면서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조모임은 친구만날 때처럼 일상적이고 편안하게 자주 하시는 게 좋아요. 어짜피 공부해야할 양은 한도 끝도 없습니다. 난 이것을 완벽하게 소화하리라 마음먹고 중도에서 공부하려면 절간 틀어박힌 스님처럼 될지도 몰라요. 그것보다는 항상 책을 달고 다니면서 쉬지 않고 생각하고 고민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방대한 공부 양과 삶의 균형을 어떻게든 자기 나름대로 찾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 이 수업이 응용통계학과의 입문 수업보다 훨씬 재미있는 부분은 사회학 연구와 연결해서 통계학을 배울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그렇기 때문에 수업 내내 통계학 이상의 무언가를 계속해서 필요로 한다는 점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사회학을 공부하는 누군가에게 왜 통계학이 필요할까, 나는 왜 사회학과에 왔고, 나는 왜 여기 있는가. 끊임없이 질문하고 성찰하는 즐거운 한 학기가 되시길 바랍니다ㅋㅋㅋ ^0^
=====================================
1. 어차피 염유식 교수님 수업에 대해서 사회학과 친구가 주변에 있다면 그 명성을 들어보기는 다 들어보셨을겁니다. 명확하게 말할 수 있는건, 이 수업이 약 9학점에 해당할 정도의 압도적인 공부량과 노력을 요구한다는 것입니다.
1-1. 따라서 일반적인 대학생활을 생각하시고 이 수업을 들을 생각을 하시면 안 됩니다. 교수님께서 열성적이게 가르쳐주실 뿐더러 강의의 퀄리티 역시 매우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넉넉할 때 교수님과 조교님의 열정적인 강의를 듣는 것과, 18학점 21학점 채운 상태에서 그런 열정적인 강의를 듣는 것과는 차이가 많이 있습니다. 학기동안 널널한 수업들이 많거나, 개인 취미활동이나 동아리 활동 연애 등을 포기할 생각이 있거나, 한 학기 학점을 12~15학점 정도로 억제하실 수 있는 조건이 되신다면 이 수업을 수강하셔도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1-1-1. 구체적으로 부연하자면, 일주일에 적어도 이틀 정도는 조모임과 조별과제에 투자하셔야 합니다.
2. 이 수업이 다루고 있는 내용은 이론적으로는 통계학입문에서 다루는 내용 전반과 수리통계학의 일부분이고 사회조사연습 시간에 하는 활동들 역시 커버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될 경우 위에서 강하게 경고하고 들어간 수업 준비의 어려움을 극복하실 수 있습니다.
2-1. 수학적인 재능이 있고, 통계학이 아니더라도 평소 수학에 자신이 있는 분이라면 좋습니다. 통계학은 고도로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분야이며, 자신의 사고 자체를 그러한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프레임에 쉽게 맞출 수 있다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2-2. 영어에 능숙하신 분이라면 역시 편합니다. 물론 영어가 된다고 해서 능사는 아니지만, 텍스트북과 강의 진행 과정에서 영어가 다수 활용되기 때문에 영어에 친숙할 경우 수업 따라갈 때 여러모로 용이한 편입니다.
2-3. 사조연과 같은 수업을 수강하셔서 논문 쓰는 작업과 연구에 익숙하시다면 여러모로 편할겁니다. 이 수업의 경우 이론적으로 아주 높은 수준의 공부를 하는 동시에 조별 연구에도 매우 높은 수준의 결과물을 요구합니다. 사회학과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학술적 논문쓰기에 익숙하지 않을 경우에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3. 이 수업을 모두 소화할 경우 굉장히 많은 지적 성장을 하게 됩니다. 최소한 양적 방법론에 있어서는 사회학과 학부 수준에서 배울 수 있는 최고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통계학적인 사고가 무엇이며, 사회과학에서 어떤 형태로 과학적 탐구가 이뤄지는지 통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시각을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4.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아주 강한 텐션이 가해집니다. 수업계획서에도 잘 나와있지만, 학생들에게 다양한 쪽지시험과 칠판 시험, 과제 등으로 지속적으로 강한 압박이 주어집니다. 이러한 압박을 견뎌내실 수 있다면 수강신청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1. 처음
사실 처음에 염교수님 수업을 듣는다고 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말렸다. 매우 빡센 수업이다, 사회통계학이라는 과목 자체도 어려운데 왜 굳이 힘든 수업을 들으려고 하느냐, 등등. 하지만 전필이었고 2000단위였고 뭔가 2학년이 끝나기 전에 힘든 과목은 좀 들어놓자, 라는 마음이 있었기 때문에 결국엔 듣기로 결정했다. 약간의 도전의식이 있었던 것 같다. 대학생이 되었으니 이제 공부다운 공부를 해보고 싶다는 의지도 강했다. 어쩌다 보니 사회학과 10학번들 중에서 유일하게 이번에 사회통계학을 들은 학생이 되었다.
2. 중간
사실 통계학이 수학과 연관이 많이 되는 과목인 줄 알았다. 그래서 처음에는 겁이 많이 났다. 교수님께서 통계는 하나의 외국어라고 여러 번 강조하셨지만, 사실 온갖 수식과 숫자들 앞에서 나는 통계=수학이라는 공식을 쉽사리 부정할 수 없었다. 하지만 점점 수업을 들을수록 통계=외국어라는 공식이 이해되었다. Sampling distribution, 중심극한정리, P-value, Odds-ratio, Chi-square, Simpl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등등을 배우면서 통계가 수학보다는 그 자체의 원리로써 이해되어야 하는 학문임을 깨닫게 된 것이다. 이 모든 내용을 흡수하는데 있어서는 교수님 강의 자체뿐만 아니라, 플러스 알파의 요인들이 더 뒷받침됐어야 했다. 그 요인들은 바로 조모임 사람들과 조교님이었다. 그 분들이 있었기에 모르는 부분들, 헷갈리는 부분들을 많이 해결할 수 있었고, 심적으로 너무 힘들고 지칠 때에도 크게 의지할 수 있었다. 사회통계학은 3학점 짜리 수업이지만 사실상 6학점 짜리, 아니 그 이상의 수업일지도 모른다. 매주 조교세션이 있고, 그때 시험을 보고 질문을 받는 등의 본 수업 때 다 처리할 수 없는 부분들을 다루기 때문이다. 우리는 화요일, 목요일에 본 수업이 있었고, 월요일 오후 7시부터 조교세션을 가졌다. 조교세션 때는 통계 프로그램인 Stata를 배우기도 했다. 본 수업, 조교 세션뿐만 아니라 조모임에 할애해야 할 시간도 많다. 매주 해야 되는 숙제들의 해답을 맞추기 위해서도 조모임이 필요하고, 학기말까지 완성해야 하는 실증 논문을 하기 위해서도 조모임이 필요하다. 조모임은 온라인, 오프라인을 가리지 않고 이뤄졌다. 일주일에 두 번 정도는 항상 만났던 것 같고, 학기말에 가까워서는 논문 작성 때문에 서너 번은 만났던 것 같다. 그냥 한마디로 말하자면 시간이 많이 드는 수업이다. 그래도 열심히 하면 결과는 만족할 만큼인지는 몰라도 나쁘지 않게 나오리라 확신한다. 하지만 이 과목에 시간을 쏟다 보면 어느새 다른 과목들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고, 특히 학기말이 되면 다른 과목들도 소화해야 할 분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그야말로 Hell, 아노미, 멘탈붕괴의 상태에 직면하게 된다. 나 역시도 기말고사를 앞둔 1-2주에는 완전히 밤낮이 바뀐 채 생활했다. 새벽에 공부를 하고 아침 7시에 잔 적도 여러 번이다. 영어 텍스트와 과제, 조모임, 시험, 그리고 통계라는 것 그 자체에 대한 부담감이 나의 수면시간을 앗아갔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밤도 새봤다. 지금 생각해보면 참 어떻게 감내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나만 힘든 것이 아니고, 그래도 이왕 시작한 거 소정의 결과라도 얻어야 되지 않겠는가, 라는 마음 때문에 힘들어도 참고 꾸준히 해나갈 수 있었던 것 같다. 지금 수업 때 다루었던 영어 텍스트 3권을 쭉 훑어보고 있자면 마음이 뿌듯하다. 처음에 읽었을 때는 잘 몰랐는데 두어 번 더 읽으면서 이해됐던 순간들도 지금 생각하면 참 뿌듯하다. 나중에 후회하지 말자, 절대 재수강하지 말자, 이런 생각들로 말미암아 그래도 매 고비마다 힘을 내서 지금까지 따라올 수 있었던 것 같다.
3. 끝
나는 이번에 16학점을 들었다. 그래도 힘들었다. 수업이 힘들고 안 힘들고는 상대적인 문제지만 그래도 이번 학기에 공부 말고 다른 중요한 일들을 계획하고 있다면 안 듣는 걸 추천한다. 통계학 입문 들었다고 딱히 더 잘한다는 보장이 없는 수업이다. 노력과 인내, 끈기, 이런 것들이 훨씬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과목이다. 끝나면 모든 힘든 순간들이 미화되는 경향이 있다. 나 역시도 어제 기말고사를 보고 회식을 해서 그런지 상당 부분의 과거가 미화되기 시작했다. 지금 최대한 객관적으로 말하자면, 이 수업은 분명히 빡세지만 본인이 얼마나 시간을 투자하는지에 따라서 학기말에 웃을지 안웃을지가 결정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소규모 강의라서 그런지 사람들도 참 편하고 좋았다. 앞으로 실증 논문 마무리를 위해서 조금 더 힘써야 겠다.
=====================================
1. 수업을 왜 들어야 하는지 먼저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 필수과목이라, 졸업학점 때문에 등등 자기 의지와는 상관없이들어야 하는 분들은.. 그냥 들으세요. 방법이 없습니다.
- 하지만 그 외 다른 이유들이 있다면.. 한 번 더 고민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수업은 반드시 수업 준비를 철저히 해왔을 때만 교수님의 설명을 들을 수 있고 그 다음 과제를 할 수 있는.. 상당히 연계적인 수업입니다. 그냥 수업에 들어와 앉아있으면 되겠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있죠? 그런데 안됐거든요.. 그러니까 다시 한 번 생각해보세요. !!!
2. 수업을 듣기로 결정하셨다면 , 그리고 조가 짜졌다면 이젠 충실하게 수업 들으셔야 해요. 방법이 없어요~~
지나고 보니까 배운게 결국 큰 줄기 하나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요. 처음 접했을 땐 어렵고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는 생각 하실텐데.. 그거 당연한거에요. 그런 생각 안들면 그게 아웃라이어 (곧 배우실 듯^^) 입니다.
3. 포기하지 않고 , 전 가끔 포기했지만 ㅋㅋ, 수업 그래도 따라오다보면 배우는 게 있고 , 아 이런 거구나..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그때쯤엔 이미 종강입니다 ^^
4. 수업 듣고 보니 뭐 별거 있나 싶기도 하고, 선생님께서 첨에 겁주셨던 만큼은 아니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
듣기로 결정하셨다면 열심히 들으시길 바랍니다.
** 가장 중요한 팁! 내용 이해는 꼭 원서로 교재로 하세요. 제 아무리 한글 교재가 좋고, 조원이 설명을 잘해줘도 결국 원서로 이해한 그것만이 계속 머리에 남더라고요. 중간,기말 고사 엄청 공부 할 필요도 없고요.^^ 꼭 교재로만 공부하시길 강추드릴게요.
=====================================
우선 이 수업을 들으시는 학우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이 수업을 추천한다는 것입니다. 다만 이 수업을 듣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각오가 필요할 뿐이지요.
추천의 구체적인 이유를 적어보자면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통계에 대해서 사회학과 어떤 수업보다 가장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② 학부 때!, 그것도 2천 단위 수업에서! 논문을 써본다.
③ 수업을 듣는 모든 학우들과 친해질 수 있다.
④ 대학 생활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추억을 가지고 갈 수 있다!
이 4가지 이유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① 통계에 대해서 사회학과 어떤 수업보다 가장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위의 말과 같습니다. 염유식 교수님의 사회통계학 수업을 들으면, 통계에 대해서 정말 많이 알게 됩니다. 교수님께서 수업 시간에 대학원생도 2학기에 나눠서 듣는 내용을 가르쳐 준다고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그러니 당연히 많이 배울 수밖에 없지요.
교재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자면요, 저희가 본 교재는 총 3권입니다. 첫 번째가 Agresti의 Statistical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이고요, 두 번째가 Wooldridge의 Introductory Econometrics a Modern Approach이고요, 세 번째가 Kohler의 Data Analysis Using Stata입니다. 세 권 다 보시다시피 영어로 된 원서입니다. 염 교수님의 사회통계학을 들으신다면, 마치 마트의 1+1 행사처럼 통계를 배움과 동시에 영어 실력도 늘게 될 것입니다.
혹시, 영어로 배우게 되면 이해하지 못할까봐 걱정되신다고요? 걱정하지 마십시오. 어차피 미국 애들도 통계라 이해 못 합니다. 염 교수님께서 미국 시카고에서 강의하신 경험에 따르면, 우리가 이해 못하는 것은 영어이기 때문이 아니라 통계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애들도 이해 못하니 위안을 가지시고 이 강의를 들으십시오.
통계와 같은 수업을 이야기할 때, 여태껏 다른 수업들이 통계를 이론으로만 배워서 남는 게 많이 없으셨던 기억이 많으실 것입니다. 그래서 특별히 염 교수님은 이 통계를 수업 중에 저희가 사용할 수 있게 여러 기회를 열어주셨습니다. ②에서도 이야기 하겠지만, 이 수업에서는 한 학기 동안 배웠던 통계를 가지고 학기 말에 논문을 씁니다. 설문지를 돌려서 통계 자료를 모으기도 하고, 기존에 나와 있는 자료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기 말이 다가오면, 통계가 내 삶 속에 들어와 있는 것을 체험하시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학부생이 논문을 만드느냐? 걱정하지 마십시오. 그래서 염 교수님은 조교님을 우리에게 붙여주십니다. 저희 같은 경우에는 화목 정규 수업 시간 외에 매주 월요일 7~9시에 조교님의 TA 시간을 따로 가졌었는데요, 이 시간에 부족한 통계를 보충하고, 자신이 얼마나 잘 따라 오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시험도 봤답니다. 저희가 한 학기 동안 사회통계학에서 본 시험이 총 10번이었습니다. 이 정도면, 자신이 지금 얼마나 쫓아오고 있는지 충분히 확인 가능합니다.
염 교수님의 사회통계학 시간에는 통계학 이론뿐만이 아니라, 통계 프로그램도 가르쳐줍니다. 저희 같은 경우 STATA 라는 프로그램을 배웠는데요, 이 프로그램은 현재 사용되는 통계 프로그램 중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 기존 SPSS와 R을 곧 뛰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실제로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님들과 대학원생들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이 프로그램을 배운 저는 사회통계학뿐이 아닌 각종 다른 수업에서 STATA를 통해서 조모임을 원활하게 진행했었습니다.
물론 이 프로그램 배우는 데도 꽤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조교님의 놀라운 실력으로 학생들이 논문을 쓰는데 충분한 도움이 될 만한 STATA 실력을 갖추게 해줍니다.
이와 같이 사회통계학을 들으면, 통계에 대해서 이론뿐이 아닌 실전 경험, 그리고 프로그램 다루는 능력까지 배우게 됩니다.
② 학부 때!, 그것도 2천 단위 수업에서! 논문을 써본다.
저도 처음에 믿기지 않았습니다. 학부생 때 논문을 써본다는 것이 처음에는 거짓말로 들렸습니다. 하지만 중간고사가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논문 계획을 제출하라는 교수님의 말을 듣고, 논문 계획을 발표하자 논문을 쓴다는 것이 현실로 느껴졌습니다.
기존 수업들이 통계를 그저 이론으로만 배웠기에, 배우고 난 뒤에 남는 게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 수업에서는 직접 논문을 써보기 때문에, 배웠던 모든 것이 저절로 남게 될 것입니다.
저희 조 같은 경우에는 논문을 쓰기 위해 ‘월드밸류서베이’의 자료를 참고하고 있습니다. 이 자료 같은 경우에 총 65000개에 달하는 자료인데요, 이 자료를 내가 STATA를 가지고 돌리고 있고, 여기에서 의의를 찾아내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습니다.
아직 논문을 완성하기 전인데요, 논문을 완성하고 나면 어떤 기분일지 상상이 안 됩니다. 정말 학부 때 논문을 쓴다는 것이 지금에 와서도 믿기지 않습니다.
③ 수업을 듣는 모든 학우들과 친해질 수 있다.
제가 사회통계학을 들을 때, 총 17명 중 한 명이 드랍해서 16명이었는데요, 이 16과는 캠퍼스를 돌아다니다가 만나면, 다 인사를 하고요, 대부분의 학우들과 친합니다. 학생 수가 적은 것도 그 이유 중 하나일 텐데요, 제가 들었던 다른 수업에 대한 기억에 따르면 학생 수가 20명에 달하는 적은 수여도 서로 친하다는 생각을 해본 적 없고요, 인사도 하지 않습니다.
이 수업이 유독 같이 듣는 학우들과 친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보통 염유식 교수님 수업을 들으면 학기 말에 한 두 커플이 생긴다고 하는데요(저희 수업에서는 생기지 않았습니다), 제 나름대로 그 이유를 분석해봤습니다.
저는 염유식 교수님 수업에서 유독 학우들이 친해지는 이유가 적대집단의 형성으로 인한 내부 집단의 결속력 강화라고 생각합니다. 내집단은 평화로운 상태에서는 서로 균열이 일어나지만, 이 내집단 외부에 적대집단이 생긴다면 내집단 사이에 결속력이 강화가 됩니다.
실제로 사회통계학을 듣는 모든 학우들이 서로 통계라는 같은 적대집단을 갖게 되자, 급속하게 친해졌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다른 수업과는 이 수업에서 만나는 학우들은 백양로에서 마주쳐도 어색하지 않더군요. 마치 전우애와도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④ 대학 생활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추억을 가지고 갈 수 있다!
정말 제가 경험했던 대학 생활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학기를 뽑으라고 한다면, 단 일초도 고민하지 않고 이번 학기를 고르겠습니다. 유독 많이 고생한 학기였고, 동시에 많이 공부한 학기였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리고 정말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제가 경험한 이 소중한 추억들을 다른 분들도 같이 경험하길 바랍니다. 그래서 저는 이 수업을 추천합니다.
단, 이 수업을 수강하시기 전에 주의하셔야 할 점이 있습니다.
① 학점을 너무 많이 신청하지 마십시오.
② 통계 외엔 다른 것이 망가질 수 있습니다.
① 학점을 너무 많이 신청하지 마십시오.
저의 경우에는 사회통계학을 듣는 학기 때 18학점을 수강했습니다. 학기 초에 주변에서 말렸지만, 젊은 날의 패기로 과감히 밀고 나갔죠. 그리고 학기 말이 되자 점점 후회하기 시작했습니다. 도저히 따라갈 수가 없더군요.
그래서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15학점 밑으로 하시길 추천합니다. 특히, 조모임 많은 수업은 피하세요. 저는 총 5개의 조모임을 진행했는데요, 정말 힘듭니다. 11월에는 하루에 거의 2개씩 조모임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렇다 보니 어떤 조모임에서 무슨 말을 했는지 기억이 잘 안날 지경이더라고요.
② 통계 외엔 다른 것을 잃을 수 있습니다.
이 수업이 요구하는 바가 많습니다. 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시간을 많이 쏟게 되고 스트레스도 많이 받게 됩니다. 그래서 누군가에겐 사회통계학을 들으면서 잃게 되는 것이 건강일 수 있겠고, 누군가에게는 인간관계일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수업을 들으면서, 주변 학우들이 종종 아픈 모습을 보았습니다. 다만 다행인 것은 학기를 다 마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아팠던 점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주변 인간관계가 안 좋아지더라고요. 사회통계학에 시간을 많이 쏟다 보니 평소에 만나던 사람들을 많이 못 만나게 되었습니다. 이 점 유의해서 들으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래도 저는 이 수업을 추천합니다.
정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죠.
다만, 각오를 하고 들으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
이 홈페이지를 명예의 전당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수업시간에 조교님이 해주신 말씀인데, 조교님이 학부때 이 수업을 들을 때는 이 홈페이지에 글 올리려고 끝까지 수업에 남은 학생이 있었다는 풍문도.. 저도 홈페이지에 글을 쓰게 되어 영광입니다.^^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통계 수업을 들어보려고 고민하시는 분들께 이 수업을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그 이유는 통계수업을 이 정도로 구체적이고 논리적으로 배워갈 수 있는 수업이 드물 거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교재들이 영어고, 내용도 정말 많아서 도서관에서 한국어로 된 교재들을 사서 읽어보았는데요, 그러다보니 선생님이 왜 학생들이 영어 때문에 고생을 할 걸 알면서도 이 교재들을 선택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수업에서 쓴 아그래스티나 우드리지 교재들처럼 상세하게 차근차근 통계의 개념을 설명한 책을 저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수업시간에 선생님이 강조하시겠지만, 통계는 새로운 언어이기 때문에 그냥 공식만 외우거나 대강의 이해만으로 만족하며 공부하면 나중에 실제로 활용하기에 큰 무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매우 논리적인 흐름이고 다 이유가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설겁게 넘어가면, 통계를 도구로 활용하지 못하는 중대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기말보고서를 쓰면서 가설을 통계로 어떻게 검증하는지에 대해 실제로 경험하게 되시겠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통계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대강의 이해만 해서는 나중에 보고서를 쓸 때, 나아가 논문을 쓸 때 내 가설을 어떤 변수들의 조합을 통해 통계적으로 어떻게 검증해야할지 감을 잡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배우겠다고 마음먹으셨다면, 내용이 많고 버겁더라도 일단 열심히 따라가려는 노력을 하시라고 조언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사실 중간고사 이후에는 수업을 거의 따라가지 못하는, 완전 좌절의 상태였습니다. 수업시간에 선생님이 하시는 말씀을 거의 90프로 정도 이해하지 못했었는데요(모든 사람들이 이런 것은 아닙니다. 저는 배우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 사람 중 하나입니다), 사실 어느날은 숙제를 하다가 갑자기 억울한 감정이 쓰나미로 몰려와 어머니께 전화해 펑펑 울기도 했습니다. 확실히 통계적 머리가 있어서 남들보다 쉽게 이해하고, 시간을 덜 들여도 잘 이해하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주변의 친구들은 한 시간만에 풀기도 하던데, 나는 왜 같은 문제를 여섯 시간동안 들여다보고 있어도 모르겠는지, 스스로가 한심해서 서러운 마음이 들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수업이 점점 더 막바지로 갈수록, ‘이 수업은 이미 수학이나 통계에 대한 감각이 있는 아이들을 위한 수업’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저같은 학생은 중요한 부분을 짚어주는 것보다 처음부터 하나하나, 왜 이런 공식이 도출되었는지, 왜 이런 통계적 방법을 쓰는지 설명해주는 수업을 들었어야했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하지만 통계를 이해하는 방법은 개인마다 매우 큰 차이가 있습니다. 같은 책을 보고 공부했어도, 선생님이 설명하시는 거나, 조교님, 저희 조원, 제가 이해하고 설명하는 방식은 매우 다릅니다. 이는 결국 같은 결론에 도달하지만 그에 다다르는 과정은 개인이 극복해야할 문제라는 점입니다. 먼저 스스로 책을 읽어보고, 문제도 스스로 풀어보고, 혼자서 시간과 공을 들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 이후에는 조모임, 조교세션, 수업을 통해 점점 더 이해가 향상될 것입니다. 이 수업은 그래서 조활동이 발표나 보고서를 위한 것에 그치지 않고, 서로 함께 공부하고 모르는 것을 묻고 가르쳐주는 학문 공동체의 느낌이 강합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을 다른 조원들한테 물어 도움을 매우 많이 받았고, 저 역시 다른 조원에게 설명을 해주면서 제 자신의 이해를 공고히 할 수도 있었습니다. 남들에게 가르친다는 것은 확실히 스스로에게 더 배움이 큰 것 같습니다.
통계 수업에 관한 또 하나의 팁을 드리면 잦은 시험에 스트레스를 받지 마시라는 점입니다. 저는 절대 이 시험의 목적이 평가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통계는 시험을 통해 더 빨리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잦은 시험들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칠판시험, 한 챕터가 끝날 때마다 있는 페이퍼 시험, 컴퓨터 시험.. 정말 많은 시험들이 자주 있는데 이 시험들을 내가 성적을 받기 위해 아등바등 해야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시험을 위해 일단 ‘공부’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저는 시험을 치는 과정에서 문제를 풀려고 고민하고, 그걸 나중에 조교세션 풀이를 통해 조금씩 알아과는 과정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매우 많이 되었습니다. 성적 조금 못받고, 공부해도 성적이 안나온다고 슬퍼하지 마시고, 그냥 꾸준히 해가시면 됩니다. 전혀 몰랐던 게 어느정도 알게되고, 어느정도 알게되던게 더 잘 알게 되는 과정에서 오는 즐거움이 매우 크고, 그 단계 사이에 존재하는 게 시험들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통계는 확실히 다른 사회학 수업과 매우 다릅니다. 말랑말랑하고 개인의 생각의 여지가 매우 열려있는 일반적인 수업들과는 달리, 통계는 답이 정해져있고 이 답이 근거한 문리 역시 오랜 시간동안 여러 학자들의 논증과 검증을 거쳐 정해진 것이 있습니다.
첫 시간에 선생님께서 통계는 새로운 언어이기 때문에 배우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 거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언어를 얻어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창이 열리게 될거라고요. 그 때는 ‘선생님, 왜 통계가 새로운 언어입니까?’라는 질문을 하고 싶어서 입이 근질근질했었는데, 역시 그러한 질문은 내가 배워봐야 알 수 있나봅니다. 수업시간에 다른 친구들의 발표를 보더라도 ‘이건 conditional distribution을 봐놓고 모집단 전체에 대한 distribution을 봤다고 주장하고 있다’거나 친구의 보고서에 대한 조언을 해줄 때도 ‘이러 이러한 변수를 써서 리그레션을 돌려보면 이렇게 나올거니까..’이런 통계적인 사고를 조금은 자연스럽게 하게 됩니다.
이 통계 언어의 가장 큰 장점은 내가 생각하는 현실을 매우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기에 매우 유용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요즘 읽으려고 생각중인 책이 야성의 사랑학이라는 책이 있는데, 그 책에서 저자의 질문은 저자가 몇 년만에 한국에 돌아오니 길거리에서 헌팅이 사라졌다는 질문입니다. 이러한 질문을 주변에 대한 관찰과 이론들을 통해 자신만의 답을 찾아가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통계를 활용한다면, 비교적 더 실재에 가깝게 현실을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직접 사람들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헌팅이 사라진 이유가 무엇인지 여러 변수를 설정하여 통계를 돌려보면 내가 생각했던 가설이 맞을 수도 있고, 다른 변수가 결정적으로 영향을 주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설문지 마지막에 참여자들의 연령, 성별, 소득 등을 물은 데모그라피를 통해서도 연령 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헌팅에 대한 생각 등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물론 통계 결과가 무조건 사실이라고 담보할 수는 없지만 리서치 디자인을 처음부터 섬세하고 정확하게 했다면, 매우 믿을만하고, 이 부분에서 사회‘과학’으로서의 과학적으로 사회적 실재를 보여주는 역할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지금 기말 보고서를 쓰기 위해 스타타 프로그램을 돌리고 있는데 무언가를 하나 발견할 때 마다 예상치 못한 짜릿함이 있습니다. 저희조는 월드밸류 서베이 자료를 돌리고 있는데, sum edu if thailand 이런 식으로 명령어만 하나 치면 태국인의 평균적인 교육수준을 확인해 볼 수 있고, 다른 나라들과 비교가 가능하다는게 정말 감동입니다. 월드밸류서베이 데이터를 돌리면서 이런 자료들 덕분에 알고싶은 것을 프로그램만 돌려서도 알 수 있는 게 고맙고 데이터가 참 소중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여러 변수들을 설정해서 어떤 것이 종속변수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지 돌려보는 과정도 재밌습니다. 통계 수업을 듣기 전에는 통계를 알아야한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재밌겠다는 생각은 없었는데, 하시다시다보면 통계를 돌리면서 발견하게 되는 여러 세상살이 모습에 큰 재미를 느끼실 것입니다. 물론 이에 대한 해석은 질적으로 해야겠지만요.
통계 과목이 매우 신기했던게, 어떻게 이렇게 처음부터 전혀 알아듣지 못하고 모를 수 있나하는 점이었습니다. 다른 사회학 과목들은 그래도 책을 한 번 정도 읽으면 알 것 같고, 이해도가 떨어질 수는 있어도 완전히 이해가 안 가지는 않은데 통계는 아예 이해가 되지 않을 때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이해도가 거의 0에 가깝고, 책을 읽어도 거의 이해가 가지 않았던 것이 문제를 풀어보고, 조교세션을 하고, 시험을 치면서 어느순간 좀 더 알고, 책을 좀 더 읽다보면 이해도가 많이 높아지는 걸 느꼈습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조언은 책을 읽었는데 이해가 가지 않는다거나, 수업을 들어도 모르겠다고 절대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마시라는 점입니다. 조금만 더 하시면 어느순간 ‘탁’ 깨닫고 풀리는 지점이 있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통계수업을 듣는 게 절에서 수행하는 것과 비슷한 면이 있다고 느꼈었는데, 선생님과 조교님이 설법을 하시고, 학생들은 그 깨달음을 나도 얻기 위해 열심히 정진하고 수행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통계를 위한 수행은 불교에서의 수행만큼 오래 걸리지 않으니 겁먹을 필요없습니다. 저는 한 달 정도이면 모르던 챕터 하나도 어느정도 이해가 갔습니다. 책을 읽고 공부를 하면 바로 알 것 같은 게 아니라 어느정도 숙성기간과 독에 물을 더 채우는 과정이 필요하지만, 그리 길지는 않은 기간입니다. 너무 마음 조급하게 먹거나 못한다는 생각에 기죽지 마시고 꾸준히 수업을 따라가다보면 통계라는 새 언어와 새 프레임을 얻으실 것입니다.
저는 이 수업처럼 경쟁심 없이 함께 공부하고, 미안해하거나 싫어할까봐 쭈삣거리지 않으며 모르는 것을 물었던 적이 없습니다. 다들 통계에 대한 서로의 이해를 도우려고 노력하고, 바쁘다고 내가 이해가 되면 다른 사람은 어떻든 상관이 없다는 식의 태도를 보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저녁 늦은 시간에도 두세시간 씩 강의하고, 시험지 채점에 일일이 틀린 부분을 체크해주는 조교님도 있고, 어려울 때는 언제든지 조원들이나 선생님께 도움을 청하면 됩니다. 스스로 텍스트를 읽고 생각해보는 과정이 핵심이고 혼자 앉아서 책을 정독하면서 생각해보는 과정은 나 혼자 해결해야하는 싸움입니다. 하지만 그 과정을 이끌어주고 더 빠른 이해에 도달하게 수업 학생, 조교님, 선생님 모두가 도와줄 것입니다. 해볼만한 수업이고, 해서 남는게 정말 많은 수업입니다. 여러분의 건투를 빕니다.
=====================================
수강신청 전에 이 글을 보고 계신다면,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이 곳에 적힌 글들은 각자의 주관적 관점에 따라 쓰인 글이긴 하나, 꽤나 객관적인 사실과 경험에 따른 것이니 약 95%신뢰도를 가진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학점 채우기 위해, TO가 남는 수업이라서, 그것도 아니면 친구따라 이 수업을 들으려 하십니까? 정중히 조언해드립니다. 이 수업은 이런 정도의 동기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1한기 내내 자신을 채찍질 할 수 있는 따끔하고 강력한 자신만의 수업동기를 찾아내시기 바랍니다.
혹여나, 수업 첫 날 이 글을 읽고 계신분이 있다면 그래도 늦지 않았습니다. 수강변경이 있으니깐요. 애매한 마음가짐으로 강의실에 앉아계신가요? 그렇게 애매한 상태로 몇 주간을 버티다가 중간에 철회해서 여러 사람 피해주시지 마시고 지금 딱 정하세요. 이 수업에서 애매한 건, 용납되지 않습니다.
여러분보다 먼저 수업 들은 사람치고는 너무 겁을 준 건 아닌가 싶습니다만, 그래도 이렇게라도 적어서 여러분들의 수강신청 결정을 위한 판단에 도움을 드리고 싶은 마음입니다. 저도 여러분처럼 수강신청 전에, 그리고 수업 첫날에 이 글을 찬찬히 읽으면서 마인드컨트롤를 여러번 심각하게 했던 사람 중 하나입니다. 뭐 이런 수업이 다 있나 싶다가도 겁 주는 것에 괜한 오기도 발동하기도 했고, 대학 졸업 전에 이런 수업 하나쯤은 들어봐야 하지 않겠나 하는 마음이었습니다. 죽이되든 밥이되든 어떻게든 해보자는 다소 강단있는 자세로 시작했지만, 한주한주를 정신없이 보내다보니 이 홈페이지에 적혀있던 선배 수강생들의 무수한 글귀들이 머리를 스치기 시작하더군요. 그러던 어느 샌가 저도 이렇게 이런 글을 쓸 수 있게 되다니 기분이 묘합니다. 아무튼 요지는, 이 글들이 지금 선택의 기로에 서있는 여러분들에게 다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는 겁니다.
이제부턴 수업을 듣기로 결심하신 분들을 위한 조언을 드리겠습니다.
이 수업은 집중도가 매우 요구되는 수업입니다. 혹시 18학점을 꽉꽉 채워들으신다면 (설마 21학점 들으시는 분은 안 계시죠?;;) 시간표 수정을 약간 해두시는 편이 나으실겁니다. 나머지 5개 수업이 오직 수업과 시험만 있다 할지라도, 다시 생각해보세요. (제가 들었던 수업에서 여러 사람들이 철회기간이 지나자 시간표들이 헐렁해졌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혹시 학과 수업외에 다른 잡다한 외부활동 많이 하시는 분도 학생으로서의 본분에 맞춘 생활리듬을 본의아니게 찾게 되실 겁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다른 것들을 놔버리게 되는 상태를 경험하게 하는 수업입니다. 이 수업은.
아니, 그렇게 힘들면 이 수업을 놔버리면 되는 거 아닌가 생각 드시죠? 이 수업의 치명적인 매력은 바로 '협업'에 있습니다. 다시 말해, 조모임이야말로 이 수업의 작동원리라고 할 수 있는데요.(피상적인 조모임에 신물나신 분들 환영합니다. 가족같은 분위기의 조모임을 맛보실 수 있을 겁니다.) 매주 진행되는 칠판시험은 그날의 엑셀 돌리기로 뽑힌 조원이 문제를 풀게되는데 그 조원의 점수를 나머지 조원들이 다 받게 됩니다.(저희 때는 중간고사 part.I 문제들은 팀 평균 점수를 매기기 위해 따로 마련된 문항들이었습니다.) '자기의 일은 알아서하자 알아서 척척척 스스로' 공부하시던 분들에게는 아주 색다른 수업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매주 보기 되는 weekly 시험은 혼자 알아서 다 하실 수 없을 겁니다. 매주 한 chapter(저희 마지막 수업때 40분동안 2chpater 나간 적도 있습니다;;)를 이해하기 위해 함께 머리를 맞대고 모르는 것 물어가며 또 가르쳐주며 고난과 역경을 함께 이겨내셔야 합니다. 함께하면 기쁨도 배, 슬픔은 반으로를 몸소 체험할 수 있는 조모임을 만들어나가시기 바랍니다.
수업진도는 앞서 언급한 것 그대로입니다. 1시간 수업에서는 칠판시험이 주가 되고 2시간 수업에서 거의 한 주 진도를 다 나가게 됩니다. 교재는 총 3권이었고 모두 다 원서입니다. 통계도 공부하기도 벅찬데 영어공부도 절로 됩니다. 신이 납니다. 수업 말미에 가면 그나마 수월해질 거라는 기대감은 애초에 접으십시오. 공부와 과제가 하면 할수록 배가 됩니다. 흥이 납니다. 정말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은 수업이라는 것 명심하세요.
수업 스타일 대해서도 팁을 드리겠습니다. 이 수업은 절대적으로 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치는 수업입니다.(방법마저도 자신이 터득하셔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까지 우리들은 모두 고기를 잡아서 소금간으로 적당히 구워 살까지 발라 떠먹여주는 수업을 들었었지요. 자신있게 말씀드립니다. 이 수업에서 여러분은 어부가 되어서 고기를 잡고 요리사가 되어서 소금간을 하시고 손님이 되어 맛나게 스스로가 먹어 소화하셔야 합니다. 이 수업은 단지 어디에 가면 싱싱하고 좋은 고기들이 많이 있다 정도를 알려줄 뿐입니다. 교수님의 교수법을 사물에 비유하자면 그물과도 같습니다. 수업은 그물줄에 해당됩니다. 수업을 듣다보면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많을 겁니다. 그 빈 공간들을 채우는 건 여러분 몫입니다. 여력이 되신다면 철저히 예습을 해가시고, 힘이 부치신다면 한 주가 다가오기 전에 복습을 하세요. 수업에서 이해되지 않고, 알아듣지 못하던 부분을 기어코 찾아내어 깨달으세요. 자신의 그물망을 촘촘하게 만드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촘촘한 그물망으로 대어를 낚는 자신만의 공부요령을 터득하세요. 동영상으로 다시 강의를 들어보고, 책도 꼼꼼히 읽다보면 어느샌가 '아'하며 바보 도 터지는 소리를 남발하게 되실 겁니다. 이 수업의 묘미는 바로 이맛에 있습니다.
여러 가지 의미에서 이 수업은 정말로 남다릅니다. 전 이미 이 수업이 대학시절 가장 ~한 수업 ranking의 상위권을 차지해 버렸습니다. (가장 빡센/가장 힘든/시간을 가장 많이 바친/가장 많이 배운/제대로 공부 해본/가장 남는 것 많은 등등) 대학와서 막상 배우는 거 없이 학점만 채우고 있는 자신에게, 그리고 대학에게 화나 분노같은 것을 느껴본 적 있으신 분이라면 이 수업을 두말않고 추천해드립니다. 많이 배우실 겁니다. 그렇지만 그 배움에 도달하기 까지는 피땀흘리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 역시 배우실 겁니다. 배움과 깨달음으로 한 학기를 아낌없이 불태우실 분들, 염유식 교수님의 수업 들으실 기본 자격을 갖추신 겁니다. 여러분의 한 학기, 건투를 빕니다.
=====================================
-수업을 듣기 전에 가장 고민해봐야 될 것은 과연 내가 이 수업에 지속적으로 시간을 투자할 만한 여유가 있냐는 문제이다. 계속해서 시험, 조모임이 지속적으로 압박해 오기 때문에 절대 벼락치기는 불가능 하다 (일주일에 한번씩 시험이 있고, 절대 몰아서 공부할 수 있을 만큼 배우는 게 적지 않다). 하지만 시간을 투자할 여유가 있다면, 공부하는 것 자체는 상당히 흥미로운 과목이다. 수학이나 통계에 특별한 관심이 없다고 하더라도, 사회통계학을 배우다 보면 가끔 ‘어떻게 인간의 머리로 이런걸 생각해냈지?’ 하는 감탄이 들 때가 있었다. 특히 이론적인 수학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나중에 직접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실질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느껴지는 성취감도 있다. 그런데 심적인 여유가 없는 학기에 이 수업을 들었을 경우에는 상당히 벅찰 수 있겠다. 이는 단순히 수업 자체가 너무 할게 많아서라기 보다는, 바쁠 때는 할 일이 약간만 늘어도 상대적으로 너무 벅차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수학을 싫어한다면 상당히 힘들 수 있는 수업이다. 이는 수업시간에 수학적인 내용을 많이 다루기 때문이 아니라, 수학을 싫어할 경우 자신이 수학을 못해서 수업이 어렵다고 착각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수학을 좋아하건 말건 처음에 책을 읽었을 때 이해가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 라는 생각이 든다. 딱히 수학을 잘하고 말고는 수업을 따라가는데 큰 요인을 아니지만, 심적으로 느끼는 것이 다르다. 즉 수학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의 경우는 일단 사회통계학이 ‘수학’이라는 생각을 좀 버리는 것이 좋겠다
- 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의 경우 일주일마다 보는 시험에 너무 집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대충 보라는 것은 절대 아니다. 사실 진도에 맞춰서 그때그때 이해를 하고 넘어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시험 점수에 너무 연연해하면, 주중시험을 너무 못 쳤을 때는 그냥 그 내용조차 거들떠 보기 싫은 경우가 많다. 그런데 그러지 말고 조교시간 문제풀이도 잘 듣고 시험은 못 쳤지만 그래도 알고나 가자 라는 생각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 어차피 모든 단원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를 모르면 둘을 알 수가 없다. 그냥 다른 사람들과 너무 비교하지 말고, 내가 뭘 알고 넘어가는지에 더 관심을 두길 바란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마지막 논문을 통해 성취감을 맛보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경제학을 전공하면서 항상 느껴졌던 회의감은, 4년 동안 위대한 경제학자들의 이론을 배우는 것으로 대학생활이 끝난다는 점이었다(위대한 경제학자들의 생각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내겐 벅차구나). 그리고 내가 어떤 경제학적인 이론을 만들어낸다거나 현상을 밝히는 것이 굉장히 넌센스라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마지막 논문을 쓰는 과정에서 나름 대학생으로써 아주 조그마한 학문적 업적을 세웠다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
이 수업과 염유식 교수님에 대한 명성이 여러가지 의미에서(?) 자자한 것으로 압니다. 저도 그에 대해 익히 알고 있었기에 기대도 컸지만 그만큼 많이 망설여지기도 했습니다. 드디어 대장정을 마친 지금, 결과적으로 포기하지 않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대학을 4년째 다니면서 들었던 수업들 대부분은 배운 내용들에 대해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잘 기억했나를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한 학기를 마무리짓곤 했습니다. 배운 내용을 도구로 활용해서 실제로 하나의 의미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수업은 이 수업이 처음이었습니다. 자칫하면 몇 달간 끊임없이 이어지는 퀴즈들과 조별 활동들에서 -그것들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익숙해져 있는 평가 방식이기에- 괜찮은 점수를 받는 것에만 매몰되기 쉽지만, 이 수업의 정수는 학기말에 제출하는 논문입니다. 교재에서 평면적으로 익힌 통계기법들을 생동하는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란 정말이지 쉽지 않다는 것을, 논문을 써 보지 않았다면 학부 수준에서는 절대 알지 못하고 졸업했을 겁니다. 학부생들이 얼마나 질 좋은 논문을 써낼 수 있겠냐마는, 어느 지난 수강생이 후기에 남겨놓았듯이 스스로 주제를 정해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해내어 그것을 정확한 형식으로 표현하고자 노력해보는 일은 학부에서 쉽게 경험하기 힘든 창조적인 작업이기에 결과물의 질을 떠나 뜻깊은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학기 내내 쏟아지는 공부량, 그래서 수업에서 다 다뤄지지 못했거나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혼자 기를 쓰고 쫓아가야 했던 시간들은 대학생이 시험기간 외에도 이렇게까지 공부할 수 있구나, 하고 스스로의 한계를 재정립하는 기회를 제공해주었습니다. 물론 좋은 의미입니다.
- 이런 학생들에게 추천합니다.
1. 한 학기 내내 매일 도서관에 올 자신이 있는 학생
2. 통계학입문을 들은 학생: 학부제 시절에 입학한 사회대 학생은 모두 통계학입문을 필수과목으로 들었을 텐데, 학과제 학생들은 듣지 않은 학생들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계량경제 들어가고 나면 통입을 들었든 아니든 모두 카오스지만, 그 전까지는 통입 들은 게 굉장히 유용합니다.
3. 영어를 그래도 좀.. 하는 학생: 교재가 전부 영어 원서입니다. 독해력이 아주 많이 부족하다면 사회통계학(9학점쯤)과 더불어 영어독해(6학점어치는 될듯) 과목을 같이 듣는 셈이 될 겁니다.
4. 뒷심이 좋은 학생: 저도 처음엔 넘치는 열정으로 교재를 다 나름대로 번역해서 정리하고 쪽지시험들에도 최선을 다하고 그랬는데, 나중으로 갈수록 체력과 정신력이 바닥을 드러내면서 작은 슬럼프가 오기까지 했습니다. 다른 과목들도 그렇지만 이 과목은 특히 뒷심이 중요하니 끝까지 끈기있게 들러붙을 수 있는 자세가 필수입니다.
5. 이 과목을 최우선에 올려놓을 수 있는 학생: 꼭 엄청엄청 잘 해야 하는 전공과목이 있다(특히 타과생 경우), 일생일대의 프로젝트를 이번 학기 동안 진행해야 한다..하는 학생은 이 수업을 수강하지 않기를 권합니다. 활동의 절대량이 많을 뿐더러 대부분 조별활동이며 평가도 연좌제(?) 방식이기 때문에 이 과목을 최우선에 올려놓지 않기란 어렵습니다. 한 학기의 큰 화두를 이미 둘 이상 가지고 있는 학생은 시간과 체력도 그렇지만 정신적으로 정말 큰 고통을 겪을 겁니다.
=====================================
공식 평가 (주관식)
[만족도]
힘들었던 만큼 남는 것도 많은 수업입니다.
학생이 모자란 점을 알아서 메꾸게끔 설계되있다는 점이 좋았다. 무엇이 모자란지도 알 수 있었고.
모두 좋았음
제대로 된 대학수업을 비로소 받은 느낌입니다.
학생인 제가 더욱 주인이 되어서 주도적으로 공부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없음
소규모 강의였고 교수님의 열정이 느껴졌고 조교님의 열정도 느껴졌고 빡센 수업이었지만 교수님 나름의 일관된 철학이 있어서 그것을 믿고 계속 열심히 할 수 있었다. 결과에 상관없이 나 자신의 한계에 도전하게 하는 수업이라 색다르고 좋았다.
수업시간에 교수님께서 학생들에게 지나치게 과중한 과제를 강요하셨고, 일주일에 서너 번 이상 조원들끼리 모여서 스터디와 과제를 해야 하는 등 정상적인 학업이 불가능할 정도였음. 18학점을 듣게 되는 현 대학 시스템상 도저히 커버가 불가능할 정도의 수업량을 강요하는 수업.
유독 학습량이 많은 수업인데, 학기 말엔 다른 수업도 덩달아 많아지는 점을 고려해, 학기 초에 조금 더 많이 나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학점을 떠나서 정말 통계에서 중요한 계념을 깨달안거 같아서 좋았다.
.
커리큘럼이 빽빽해서 겪을 때는 힘들었지만 지나고 나니 오히려 적은 시간에 많은 걸 배울 수 있어 유익하게 느껴졌다.
학생들을 고려한 수업이 진행되었으면 한다
주기적으로 시험을 치고, 숙제를 하는 것이 통계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
채점하여 피드백을 주는 것이 무척 좋았다.
통계의 기본원리부터 배웠다는 점이 앞으로 계속해서 도움이 될 것 같다.
다만 분량이 너무 많다.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가 유도 되었다.
[피드백]
교수님처럼 최대한 권위의식 없이 학생들 하나하나의 질문에 성심성의껏 대답해주시는 교수님도 드물 것이다.
학생들이 무슨 질문을 하든, 좋은 질문이나 나쁜 질문이나 다 동등한 정성으로 대답해주시는 모습이 감동이었다.
학생들에게 매번 질문해 주시고, 매주 시험을 보는데 이 점이 학생들의 성취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 것 같습니다.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강요'하는 수업이었을 정도.
[기타]
한 학기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통계과목은 배운 후 바로 이해가 되지 않고, 배운 내용이 어느정도 축적이 되야 이해가 더 잘되었습니다.
그래서 기말 고사 전에는 동영상 강의를 보며 매우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통계과목에느 ㄴ꼭 동영상 강의가 지속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중간시험 범위까지 교재를 한번 보고 연습문제를 풀어본 후에 수업 수강의 목적과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이 수업에 들어오는 것이 좋음 아니면 재고하길.
하지만 어떻게든 통계를 배워야 하는 통계의 사각지대 학과라면 그냥 와서 경험하는 것도 공부가 될 것임 이런 하드 트레이닝은 다른 곳에서 경험하기 힘들 것임
- 문제 중심으로 공부를 하면서 이론을 봐야 시험 준비를 시간내에 할 수 있음 원래는 이렇게 하는 것이 공부 방법 상 옳지 않지만, 학부 때 통계수업을 듣지 않은 학생은 이렇게 하지 않으면 이 통계수업에서 problem-solution 기반의 사고 방식을 빠르게 형성하기 어렵고 앞서 배운 이론 중 중요하다는 것을 체계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어렵다. 결국 반의 경쟁에서 뒤떨어짐...;
- 상급 이상의 영어수준이 필요함 그렇지 않다면, 수업 내용은 어렵지 않으나 조원과 문제 풀이의 속도를 따라가기 어려울 것임
- 다른 수업 중 부담되는 것이 2과목 이상이며 과외활동을 하고 있고 체력이 평균 이하라면 성적에 있어서 대단히 곤란한 상황에 봉착할 수 있음 어깨를 가볍게 하고 들어오길 바람
- 조원과는 일주일에 한번 오프라인에서 만나고 나머지 시간동안은 sns로 연락하는 것이 성적을 위해 좋고 다른 조원과도 안면을 트고 모르는 건 서로 물어보는 것이 바람직함
- 사회학과 아닌 학생들 빨리 사회학과 고유의 통계적 언어에 익숙해야져야 할 것임 안 그러면 피 봄
=====================================
저는 사회학과 학생이 아니기 때문에 교수님의 통계 강의에 대한 선후배나 동기들의 일반적인 평을 전혀 듣지 못한 상태에서 본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교수님 강의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도 없이 교수님 웹사이트에 있는 학생들의 소감과 강의 계획서에만 의존한 채로 수강을 결정한 것에는 딱 한가지 이유가 존재했습니다. “아, 통계 공부 정말 많이 하겠구나”라는 생각입니다. 이러한 생각이 제게 정말 중요했던 이유는 그 동안 통계 공부에 대해 가지고 있던 욕심에 비해 수치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제 자신이 너무나 약하다는 생각에 휩싸여, 일단 양적 방법에 대한 부담과 두려움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나약한 마음으로 통계 공부를 하다가는 언젠간 포기할 것만 같다는 생각을 했었고, 따라서 저를 push하고 공부를 많이 시켜줄 수 있는 수업(한동안 통계에 푹 빠져 살게 해줄 수업)을 너무나 절실하게 찾고 있던 제게는 “힘들지만 정말 많이 배웠다는” 이전 학생들의 수강 소감이 큰 동기를 부여해 주었습니다.
수업 진행 방식은 강의 계획서와 다른 것이 없습니다. 교수님의 강의, 조별 스터디, TA 세션, 매주 퀴즈(시험)의 형식을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일단 제가 원하고 기대한 만큼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만 하는 수업이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만족도는 굉장히 높습니다.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은 개인의 욕심만큼 그 차이가 나는 것 같지만 그룹 스터디는 정말 흐트러짐 없이 꾸준히 하시기를 꼭 추천하는 바입니다. 저희 조는 학기 초부터 학기가 끝나는 주까지 빠짐 없이 매주 스터디를 했는데, 제게는 너무나 가치 있는 시간들이었습니다. 항상 도움을 받기만 하지 말고 제 자신도 다른 조원들에게 기여하는 바가 있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갖게 해주었기 때문에 혼자서도 꾸준히 예습과 복습을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룹 스터디는 정말 신비한 매력을 가진 것 같습니다! 모두가 어렵고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각자 조용히 교재만 읽고 또 읽고 있는 침묵의 시간이 가끔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러다가도 어느 순간 한 명의 조원이 “아, 저 이해했어요!”라며 다른 조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는 감동적인 순간들이 많습니다. 혼자서 하는 공부는 그 나름의 의미가 있지만, 함께 하는 공부가 정말 큰 의미를 가지는 수업인 것 같습니다.
이 수업의 치명적인 매력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더 할 수 있겠지만, 다소 객관적이지 못하다는 질타를 받을 것 같아^^; 몇 가지 고되고 힘들었던 점에 대해서도 말씀 드리겠습니다. 첫째, 이 수업에 투자하게 되는 시간과 집중이 많아질수록 다른 수업들은 꽤 지장을 받는 것이 “사실”입니다. 저처럼 이번 학기(석사 2학기)는 “통계공부만 제대로 하자”라고 마음 먹지 않으신 분들에게는 분명히 “내가 이 수업만 듣는 게 아니잖아”하는 큰 불만이 생기실 수도 있습니다. 둘째, 신체적인 피로가 쌓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많은 설명이 필요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대학 진학 이후, 시험기간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매주 주말에 자발적으로 학교에 나와 공부하기는 처음인 것 같습니다. 정말 많은 양의 커피와 홍삼으로 무사히 버텨내기는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외에 뚜렷한 불만이 없었습니다. 이번 학기는 “통계 공부만” 하기로 생각했던 것이 아무래도 여러 어려운 점들을 미리 각오하도록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리해 말하자면, 이 수업은 그 어느 강의보다도 학업에 대한 생각에 있어 교수와 학생의 “fit”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교수님께서 학생들에 대한 기대치가 높으시고 또 욕심을 가지고 가르쳐 주시기 때문에 학생 본인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바가 높고 배우고자 하는 욕심이 많다면 정말 만족스러운 한 학기를 보내실 것 같습니다. 교수님께서 생각하시는 공부 방법을 믿고 따르겠다는 태도와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자신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수업을 추천해 드리는 바이며, 한 학기를 통해 한 계단은 분명히 올라와 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
이 수업은 다른 대학원 수업과는 매우 차별화된 수업입니다. 가장 큰 특이점은 교수님과 학생간의 interaction이 항시 일어나고 또한 일어나야 하는 수업이라는 것입니다. 수업 내용만 커버하고 끝나는 수업이 아닌 학생들이 수업 시간 중에 이해를 하고 또 이해하지 못한 부분은 수업 시간 중 언제든지 질문을 할 수 있는 분위기의 수업입니다. 교수님도 학생이 잘 이해를 못하거나 모르는 것에 대해서 질책하지 않고 "이것도 모르냐" 식의 발언은 절대 하지 않으시기 때문에 좀 더 솔직한 질의응답이 이루어 질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연구방법론 수업을 예전에 다른 과에서 들은적이 있는 터라 첫 교재인 agresti를 배울 땐 기억을 상기시키며 다소 수월하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포괄적으로 연구방법론을 배웠던 학생들에게도 추천하는 수업인 이유는, 전에는 모호하게 공식만 외워가며 배웠던 정규분포, 통계검증 등이 어떤 개념을 토대로 나왔고 그것을 왜 사용하는지를 확실히 이해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좋은 논문을 쓰고 싶거나, 앞으로 계속 공부를 할 예정이라면 이 수업은 필수적으로 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석사학위논문만 쓰고 더 이상 논문을 쓸 계획이 없거나 좋은 논문을 쓰고자 하는 마음이 없다면 이 수업을 굳이 힘들게 듣는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이 수업은 한 주도 학생들을 가만히 놔두지 않는 수업입니다. 한 주도 통계학 책을 펴지 않고 지나갈 수 없도록 매주 챕터 시험이 있고 또 조원들과 점수를 공유한다는 압박 때문에 손을 놓을 수도 없게 만드는 수업입니다. 사실 저는 초반에 agresti 책을 배울때 열정을 갖고 공부하다가 wooldridge 책을 들어가면서 수많은 알아들을 수 없는 공식과 수학적 기호 때문에 후반부에 많이 마음을 비우고 공부한 사람입니다. 그 과도기에 수업에 대한 짜증이 마구 밀려올 때도 있었죠. 그만큼 한 학기동안 듣기에 힘든 수업이고 교수님이 학생들에게 거는 기대도 큰 수업인것 같습니다.
이 수업의 최대 장점은 "한 수업을 수강한다"라기보다 "어떤어떤 것을 배운다"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수업이라는 것입니다. "통계적 연구방법을 배우고 논문에 사용하는 것," 오직 그 한가지의 목적을 위해 교수님도 노력하시고 학생들도 고군분투하며 다함께 그 goal을 향해 나아가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따라서 학생들간에 전우애(?)같은 것이 생겨서 수업 분위기도 매우 좋았던것 같습니다.
이 수업의 최대 단점은 한번 놓치면 다시 따라잡거나 회복하기가 힘든 수업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후반부까지는 정신을 놓지 마시고 할 수 있는데까지 열심히 해야합니다. 한번 흐름을 놓치거나 중간에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생기면 의욕도 떨어지고 매주 나가는 진도때문에 다시 따라잡을 수있는 시간이나 힘이 부족할 것입니다.
=====================================
1. 수강 전 준비
- 수강신청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한 학기 동안 통계수업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수강신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업을 위한 준비시간이 다른 수업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른 과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예습 & 복습, 과제, 조별모임, TA시간 등)
- stata 등의 통계패키지를 다루는데 익숙해야 하므로 방학 동안 미리 연습이 필요합니다.
2. 수업 시간
- 쉬는 시간 없이 세 시간 연강이기 때문에 집중을 잘 해야 합니다. 영어수업이라 놓칠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녹음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업시간에 필기를 못하므로 반드시 예습을 한 후에, 강의시간에는 교수님 말씀을 들으면서 이해를 해가며 수업을 듣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더 많은 시간이 요구됩니다.
3. 숙제
- 개인적으로 숙제를 한 후 조원끼리 함께 의논하는 것이 도움이 많이 됩니다. 매주 숙제를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매주 숙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그것이 쌓여서 중간고사에 엄청난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중간고사 이후에는 숙제와 함께 발표가 있어서 시간이 더 부족합니다.
4. 조별 모임
- 조별 모임이 실질적으로 많은 도움이 됩니다. 매주 수업 이외의 시간에 조별로 모인다는 것이 한 학기 동안 쉽지 않지만, 확실한 효과가 있습니다.
5. 기말페이퍼 관련
- 연구주제는 가능한 빨리 잡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다면 주제는 학기초에 잡고, 데이터를 확보한 후에 주별로 진행되는 통계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틈틈히 자신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와 변수의 특성을 꾸준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논문의 완성도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수업이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 본 수업을 수강하기로 마음 먹었다면, 최대한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 학기의 일정을 정리하시고 시작하는게 좋습니다. (수강 과목수를 줄이고, 다른 일정을 줄이고)
분량과 내용에서 공부해야 하는 몫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할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조별 모임으로 도움을 받으세요.
같은 문제를 갖고 고민하는 시간이 혼자 공부하는 것 보다 오래 기억에 남는 거 같습니다. 혼자 끙끙대기 보다는 조원들과 협심하여 공부하세요. 정기적인 모임 시간을 정하는 것도 좋습니다.
3. 공부 방식으로는 예습이 안된다면, 복습을 철저하게 하세요.
텍스트를 따라가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예습과 복습 중 하나라도 열심히 하세요. 내가 하는 만큼 내것이 되는 수업입니다.
4. 내나름의 목표를 정하세요.
(사실, 교수님의 목표는 나의 목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설령 교수님의 기대치에 따라가는데 실패한다 하여도, 적어도 나의 목표가 있다면 중심을 잡고 갈 수 있을 겁니다. 물론, 이 차이를 최소화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
5. 통계를 철저하게 공부할 수 있는 기회는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주어졌을 때 최선을 다하세요..
=====================================
안녕하세요.
수강신청을 하기 전부터 통계수업은 어려울 것이라는 이야기들을 많이 듣고, 긴장을 했었는데, 역시 부딪혀 보니 이것 저것 뜻대로 되지 않아 힘들었던 수업이었습니다. 특히 페이스 조절에 실패하고, 중요한 타이밍의 내용들을 잘 따라가지 못하면 누적적으로 힘들어지는, 특히 수학이 어려운 저같은 학생에게는 어려운 수업입니다. 그렇지만, 저의 경우에 저의 페이스보다는 수업에서 최대한 제공받을 수 있는 것들을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으로 수강하는 학우들께서는 학기를 보다 통계 수업 위주로 잘 계획하셔서 투자하는 시간이 많다면 잘 해내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혹시 따라가는 것이 어렵더라도 진도를 빼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두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 한 가지는 본인의 연구 계획과, 혹은 석사 과정 중에 해야할 목표와 관련지어서 필요에 의해 수업을 따라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보다 마음을 열고 시간 투자를 많이 하셔서 좋은 결과 성취하길 바랍니다.
=====================================
꽤나 주관적이고 기본적인 팁입니다.
첫째, 열심히 하셔야 합니다.
여기서 ‘열심히’라는 것은 가능한 것 이상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는 ‘기본적’ 개념입니다. 노력 역시 양과 질 모두를 만족시켜야겠지요.
고로, 수업을 많이 듣지 않거나 혹은 다른 빡센 수업과 함께 듣지 않기를 추천합니다.
둘째, 조원과 친해지셔요.
함께 공부하면 배우는 것도, 이해하는 것도 수월해집니다.
그리고 과제, 퀴즈준비, 시험 그리고 TA세션,,, 지치실 수 있어요.
함께 머리 맞대고 고민하고 조잘조잘 떠들면서 공감할 수 있는, 어려운 시험 때문에 낙담했을 때 토닥토닥 해줄 수 있는 조원들이 학기 내내 큰 힘이 되었던 것 같아요.
좋은 조원 만나시면 수업도 더 재밌어 질 것 같습니다. 조별 활동이 많았거든요.
그러니 좋은 조를 스스로 만들어보시기를.
셋째, 통계라는 녀석이 너무나 생소하시다면-
예습만큼 좋은 것은 없겠지요? 방학 때 미리 보아둔 밑천도 없었더라면 중간고사 전에 벌써 포기했을지도 모르겠어요. 저처럼 수학 젬병에 그래프만 보면 멀미가 나신다면 자꾸자꾸 만나서 친해지시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수강 전 예습을 추천합니다. (수업 때 진도가 좀 빨라요.)
나중에는 통계를 잘 모르더라도 통계 용어로 농담 따먹기하고 계신 여러분을 발견하실 거에요.
마지막으로, 교수님께서 굉장히 열심히 수업을 진행해 주시는 만큼 설명도 잘 해주시니 (저는 벙어리라 질문을 못했지만) 열심히 예습하셔서 질문하시고 하면 많은 도움 받으실 수 있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포기하지 마시고, 꾸준히 기말고사까지 살아남으실 수 있기를- 총총
=====================================
* 열심히. 성실히. 시간분배. 체력.
열심히 하세요. 염유식 교수님의 통계1 수강을 위한 가장 중요한 tip이고 advice입니다. 제 생각에 열심히 그리고 성실하게만 하신다면 누구든지 따라가실 수 있고, 또 그만큼 만족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아마도 처음 시작은 모두들 각오를 다지고 열심히 하실텐데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지치지 않고 ‘마지막까지’ 열심히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중요한 것은 시.간.분.배와 체.력.입니다. 따라서 힘든 수업을 동시에 여러개 듣지 않으셔야 합니다.
* 조모임
조모임을 잘 활용하세요. 제 경우는 조모임이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주 정해진 시간에 만나서 각자 공부한 것을 나누고, 모르는 것은 이야기하며 채워나갔습니다. 일주일에 여러 번이 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최소한 한번은 꼭 모였고,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며 수업 내용을 복습했습니다. 이 시간을 통해 정서적 공감과 지지도 얻었고요. 조모임 덕분에 중간에 낙오하지 않고 겨우겨우 마무리까지 올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하고픈 이야기들이 많이 있지만 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긴 두 가지만 적어보았습니다. 충분히 생각하시고, 또 열심히 하겠다는 각오를 충분히 다지시고 들으세요. 16주 동안 꾸준히, full로 두뇌를 회전시키는 듯한 즐거운 경험을 하시게 될 것입니다.
=====================================
다른분들이 수업이나 교수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으니 저는 과목자체의 수강효과에 대한 정보를 나눠드리겠습니다.
이 수업에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라면 미래에 어떻게 되실지는 모르지만 일단은 학문을 하는 연구자의 길을 가려고 하신다고 생각되어집니다. 좋은 연구자는 좋은 글을 많이 쓰는 사람들이고, 좋은 글이란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거나 또는 기존이론에 새로운 발견을 더해 이론적 기여를 하는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학문적 트레이닝을 받는 대학원생들이 걸리는 두 가지 질병이 있습니다. 하나는 바로 통계에 대한 맹신병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런 학생들은 자기자신이 마치 데이터 분석가가 된 듯 열심히 통계를 돌리지만 페이퍼를 쓰면 이론과 통계가 따로 놉니다. 다행히 졸업이 다가오고 교수님들이 달라붙어서 손을봐주면 이 병은 대개 치유가 됩니다. 그리고 깨우침을 얻은 학생들은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가기 시작하죠.
또 하나 심각한 병은 바로 통계에 대한 불신입니다. "논문이란 이론에서 시작해서 이론으로 끝나는데 왜 통계가 필요할까?", "나는 통계에 대해 너무 수학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수학없이 매뉴얼대로 따라만 해서 결과를 얻고 이걸 해석만 할 줄 알면 될꺼 같아.", "중요한 건 이론이지 통계는 아니잖아.", "우리나라 조사회사 내가 좀 아는대 다 엉터리 조사야", "세상에는 세 가지 거짓말이 있는데 하나는 듣는 사람이 상처를 안받게 하려는 좋은 거짓말, 듣는 사람을 속이려는 나쁜 것말, 마지막은 통계야" 이러한 주장들은 학생들에게 어렵다는 이유와 함께 시너지 효과를 발휘, 통계와 멀어지게 만듭니다.
물론 이러한 주장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아니 정확하게는 맞는 말입니다. 통계는 이론을 서포트만 할 뿐입니다. 게다가 확실하게 논리적인 이론이라면 굳이 통계로 확인을 안해도 맞을 수밖에 없는 법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왜 통계를 공부해야 할까요? 남들이 멋있는 어려운 통계를 쓰기 때문에요? 아니면 남들이 써놓은 글을 읽고 독해해내기 위해서요? 그것도 아니라면 통계는 사실을 알아보는 유용한 도구이기 때문일까요? 셋다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과학이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더 나은 설명이 밝혀질때까지 잠정적으로 지지가 되는 가설이라는 점을 떠올려볼 필요가 있습니다. 더 나은 가설이 제시되고 그것이 증명되기 위해서는 ''탐구''와 ''논증''이 필요하죠.
먼 길을 돌아왔지만 이제 서두에서 말한 연세대 염유식 교수님의 통계1 수업의 수강효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수업은 바로 앞에서 말한 ''논증''을 제대로 하게 해줍니다. 그냥하게 해주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입니다. 각종 통계패키지를 click-click해서 필요한 숫자만 보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나오는 모든, 모든 숫자들의 의미와 과정, 필요성을 습득하게 만들어줍니다. 그 결과 전에는 봐도 들어도 배워도 공부해도 알 수없던 고급통계들이 이해가 되기 시작합니다.
물론 힘들고 어려운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 와중에 좌절하기도 하고, 누군가를 미워하게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탐구와 논증의 균형을 맞추면서 자신의 학문세계에서 지금 어떤 부분을 채워가고 있는지 잊지않고 날카로운 현실감각을 앞세워 하나씩 하나씩 차근하게 학점과는 별도로 연구를 진행하신다면 분명 만족하실만한 결과를 얻어가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
먼저 한학기가 끝나고 다음 학생들을 위한 조언을 작성하고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어떻게 한학기가 지나갔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분들이 이 내용을 읽게 될지 모르겠지만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저는 군 위탁생으로 현역 대위임을 알려드립니다.
왜 굳이 제가 군인임을 밝히는지 의아해 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 군대에서 나름 힘든 훈련과 빡빡한 교육을 받았다고 생각했던 저 조차도 입에서 감탄사가 나올 정도로 대단한(빡센?) 수업이었습니다. 물론 다른 학생들에 비해 기초가 부족했기 때문에 힘들었을 것이라는 혼자만의 위로도 해보았지만 저 뿐만 아니라 다른 학생 역시 비슷한 상황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제가 한 학기 동안 통계 수업을 느꼈던 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저 역시 남들과 같이 귀가 있어서 통계 수업에 대한 소문은 익히 접했었고, 다른 분들도 이미 염유식 교수님께서 진행하시는 통계 수업에 대한 내용을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을 것이라 판단합니다. 중간고사 이전에 절반 이상의 인원들이 중도 포기를 한다더라..... 정상적인 학생이라면 도저히 수업 내용을 따라 갈 수 없다 등 정말 많은 괴담을 접하곤 사실 저도 수업에 대한 두려움이 매우 컸던 것이 사실입니다. 아마 이런 생각을 하고 계시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통계 수업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개인에게 있어서 중요한지 그렇지 않은지는 제가 판단 할 수 없는 부분이기에 드릴 말씀은 없으나 분명히 매우 유용한 학문입니다. 통계가 사용되지 않는 분야가 없습니다. 세상이 온통 숫자 투성인데, 정작 무슨 말인지 이해조차 할 수 없는 답답함을 느끼신 적은 없는지요? 꼭 대학을 나온 지성인이기 때문은 아니지만 통계를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있는데 단순한 공포로 인해 수업을 놓치는 학생이 있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꼭 통계로 논문을 쓰고, 관련된 업무에 종사할 계획이 없더라도 무슨 말인지는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할 수 있다면 자신에게 좋은 무기가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분명히 도전해 볼 가치가 있는 수업이 확실하다고 판단됩니다. 물론 단편적으로는 통계 수업이기에 통계에 대한 진정한 기본 개념을 익힐 수 있는 좋은 기회이고, 혹시라도 자신의 본분을 망각하고 있었던 학생에게는 학생의 본분을 깨우치게 할 수 있게 해 줄 수 있는 수업인 것 같습니다. 여기서 학생의 본분은 학문에 매진하는 것입니다. 매주 실시하는 칠판시험, 쪽지시험 그리고 중간고사, 기말고사 기말페이퍼 등의 부담감이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러한 부담감이 오히려 개인적인 능력을 발전하게 해주는 원동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건 순전히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사회학을 포함한 사회계열의 학문이 공부에 대한 결과에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통계는 그렇지 않습니다. 부담되는 칠판시험, 쪽지시험이지만 매주 시험을 통해서 자신이 통계라는 학문에 점점 다가가고 있음을 느끼기에 힘들다고 하면서도 시험이 끝나고 바로 다시 통계 책을 펼치던 저를 발견 했던 것 같습니다.
참고사항
1. 최소 주당 20시간 이상 투자(많이 하면 할수록 좋다)
교수님 말씀처럼 통계는 외국어입니다. 다른 방법은 없습니다. 무조건 오랜 시간 투자를 하면 그에 대한 효과가 나타나게 되어있습니다. 너무 어려워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다고 하는 학생들에 대한 교수님의 조언 역시 동일합니다. “반복해서 보면 이해할 수 있다.”
2. 조별 활동 열심히 하고 TA시간을 활용할것
그렇지 않아도 바쁜 시간에 조별 모임, TA시간 등으로 인해 부담감을 많이 느낄 수 있습니다. 저 역시 그런 생각을 자주하였습니다. 하지만 조별 활동 및 TA시간이 정말 중요한 시간입니다. 뭐 물론 천부적인 능력을 소유하고 있는 분들도 있겠지만 혼자서 하는 공부는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분명히 내가 모르고 있는 것들은 다른 사람들은 알고 있습니다. 물론 조교님을 당연히 알고 있으니까 궁금하고 모르는 것들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해결하면 좋습니다.
3. 복습 철저히 할 것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라고 생각하지만 수업이후 복습은 반드시 해야 됩니다. 물론 예습도 하시겠지만 바쁜 일정으로 인하여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수업 이후에는 다시 기회가 없기 때문에 완벽하게 복습을 해야합니다.
4. 전략적으로 공부 할 것(집중과 절약)
앞서 주당 20시간 이상 통계에 할당할 것 을 당부 드렸는데 20시간이라는 수치는 단순히 많은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단순한 수치입니다. 도통 이해가 되지 않을 때가 다반사입니다. 통계 수업 하나의 과목만 듣는다면 저의 조언이 필요 없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고, 의지만 있다면 연세대에 다니는 학생이라는 충분히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른 수업도 있기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시간을 투자 할 수 없기 때문에 나름의 시간 계획을 갖고 한 학기를 보내야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최소한의 수업을 수강한다면 매우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미 수업을 수강하였고 이제 막 수업을 수강하게 될 여러분들에게 제가 느꼈던 내용을 100% 전달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수업에 대한 공포는 단순히 공포뿐 결국은 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확실하지도 않은 미래의 불확실성에 너무 부담갖을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생각해보시면 인생을 살아오면서 몇 번쯤은 지금의 상황이 최악이고 제발 경험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던 상황이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결국은 지나갑니다. 지나가지 말라고 해도 결국은 지나가게 될 상황이라면 자신의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도전하세요!!
=====================================
개인적으로 고등학교 확률, 통계, 미적분 파트 공부를 밀도높게 하지 않았고(문과, 고교 졸업 10년 경과), 장시간 수학과 관련된 공부와 거리가 멀었어서 수강할때 공포가 극심했었습니다. 주변 동료들에게는 뼛속까지 질방인(질적연구방법:질방)이라는 얘기를 들을 정도인 저였기에...
염유식 교수님의 통계 수업은 그런 면에서 정말 끈기와 사고력 확장을 요구하는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첫 두달이 제일 힘든 시간이었던 것 같아요.
우선은 1학기 혹은 2학기(저는 1학기때 열리지 않아, 2학기때 들었습니다만, 1학기때 들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에 비교적 힘을 쏟을 수 있을 때 수강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만큼 평소에 이 수업과 다른 수업을 병행하면서 힘조절을 잘 하셔야 한다고 생각됩니다(저는 이 힘조절을 거의 수강 세달째가 되어서야, 아...이렇게 하는게 효율적이구나...하고 느낄만큼 시행착오를 단단히 겪었습니다).
그리고 조모임을 최대한 활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적인 모임 시간, 혹은 그 외에도 각자 학습하시는 부분에서 이해안가는 부분을 언제든 묻고 답하고 이해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중요합니다.
저는 사회학과 동료들과 같은 연구실을 쓰면서 비교적 쉽게 그런 분위기가 조성되었던 것 같습니다만, 다른과(경제학과, 통계학과) 동료들에게 질문도 해보고 특별과외(?)도 받아봤지만, 결국은 어떤 모임이든 꾸준히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갖고 있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수강전 기초실력에 따라, 이해도나 이해속도가 정말 큰 차이가 난다는 점도 여러번 느꼈습니다. 하지만 교수님께서 여러번 강조하시는 것처럼, 정말로 새로운 ''언어''를 배운다고 생각하고 배우면, 저처럼 3차원, 4차원 이해는 고사하고 도대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무엇인지도 전혀 몰랐던 문외한에게 새로운 시각을 읽고, 이해하는데 즐거움을 얻게 되는 것 같습니다. 통계로서는 기본과목인데, 다른과 통계수업들과 비교해봤을때도 밀도와 강도가 높은 수업입니다.
=====================================
-들어가며-
저희는 학기 시작 전 방학동안 수강예정자들 끼리 모여서 스터디를 진행했었습니다.
학기 중에 사용할 교제를 예습하며, 조교님께 부족한 부분은 강의를 듣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었는데, 이러한 방식도 물론 좋지만 통계에 대한 기초개념을 준비하는 것으로 스터디를 진행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금 선생님의 홈페이지에 들어오셔서 수강후기를 읽으시는 분들은 ‘에이, 이 분들 엄살이 심하시네’하고 생각하실 것 같은데.. .음... 네... 각자의 의견을 존중합니다.
-통계수업 경험이 있으신 분들-
사실 저의경우 학부시절에 사회통계과목을 좋아했기 때문에 이와관련하여 통계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었었지만, 이 수업을 통해 통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지식을 접할 수 있었으며 통계의 매력을 찾을 수 있는 수업이었습니다. 양적인분석방법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좋은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실 수업을 따라가는데 힘겨운 부분이 많았습니다. 겸손한 자세로 수업에 임하시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통계수업 경험이 없거나 적으신 분들-
질적분석방법을 주로하시는 분들 혹은 학부진학이후로 수학. 산수. 통계 근처에도 가지 않으셨던 분들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준비를 단단히 하는 것이 좋으실 것입니다. 이 수업이후에 더 이상 통계수업을 안 들으실 수 있지만, 이 수업을 통해 얻는 것이 많습니다. 왜 듣고 있나 생각하시기보다는 자신의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어차피 사회학을 공부함에 있어서 내가 통계를 쓰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통계를 사용한 논문을 읽어야 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정 힘드시면 이수만을 목표로 끈질기게 버티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듯 합니다.
-영어가 부족하신 분-
사실 저는 영어가 가장 걱정되는 부분이었습니다. 통계적연구방법2를 영어강의로 수강을 한 경험이 있었지만, 한글에 익숙한 용어들을 영어로 접하게 되니 혼동이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는 예습을 통해 커버하셔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게 익숙해지시면 오히려 영어가 편하게 느껴지실 수 있을 것입니다. 다행히도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을 배려하셔서 비교적 쉬운 영어를 사용해 주시는 것 같고, 학생들이 한글로 질문 및 대답 하는 것을 허락하여 주시니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크게 부담스러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덧붙여-
같은 조의 조원들과 마음이 잘 맞다면 시너지효과가 크지만.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역효과입니다. 이에 대한 고민도 필요합니다. 팀워크를 쌓으면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별활동을 진행 하는 것도 수업에 큰 도움이 됩니다.
-나오며-
마지막으로 이 수업은 체력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학기에는 교재를 3가지를 사용했는데, 첫 교재에 집중했더니 후반부로 갈수록 집중력도 덜어졌습니다. 특히 introductory Econometrics는 수식도 많이 나오므로, 저의경우에는 눈에 쏙쏙 들어오는 책이 아니였습니다. (물론 오히려 이런 특징 때문에 이해가 더 쉬우신 분들도 있으실 것입니다)
이 수업은 철인 3종경기와 같은 수업입니다. 초반에 다른 학생들에 비해 점수가좋다고 자만하지 말고, 반대로 점수가 낮다고 포기하려고 하지 마십시오. 목표를 바라보며 끈기 있게 나아가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수업을 포함해서 4과목을 듣는 우매한 행위는 하지 않길 바랍니다. 그것은 자신의 정신적 건강, 신체적 건강, 사회적 건강을 해치는 행위입니다. 여러분은 소중합니다.
=====================================
-수업시작때 통계는 하나의 "언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새로운 언어를 배울때는 반복학습이 최고인것 같아요. 처음 시험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컨셉을 반복해서 공부하면 점점 큰 그림이 잡히는 것 같습니다
-노트필기는 확실히 필요한것 같습니다. 물론 하나하나 필기하느라 중요한것을 놓치는 일은 없어야 하겠지만 짧은 수업시간내에 매우 많은 양의 내용을 커버하므로 중요한 것(계속 반복해서 말씀하시는것)은 꼭 필기해 두는것이 필요할 듯 합니다
-그룹끼리 모여서 공부하는것은 서로에게 매우 도움이 됩니다. 되도록이면 그룹멤버와 친해지시길! 그리고 서로에게 배우고 가르쳐 주는 시간을 가지는것이 수업시간 만큼 도움이 됩니다.
-수업시간에 두뇌가 빙빙 돌아가다 못해 과부하 되는것을 매주 경험하실 겁니다. 수업시작전 두뇌회전에 도움이 되는 당분을 취향데로 준비해 가실것을 추천합니다.
-한 10학점짜리 수업 듣는다고 생각하시고 신체적/정신적 건강관리 잘 하시길....
=====================================
공식평가 (주관식)
통계적 개념을 명료하게 이해시킬 뿐 아니라 실제 연구에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 점이 좋았습니다.
수업의질
TA
.
통계적 방법론에 대해 어떤 수업보다고 깊이 고민하고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수업동료들과 서로 배우고 가르치면서 많은것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왕 배울 통계를 깊이있게 원리부터 깊이있게 배워서, 힘들었지만 이 다음 단계의 공부들에 힘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특히 좋았던 점은 선행학습, 그리고 팀웍(꼭 같은 팀원들끼리의 공부가 아니어도): 공부는 협력할때 시너지가 더 커진다는 깨달음도 컸던 수업입니다.
수업의질
지속적인 피드백 및 동기부여 학습 효과가 극대화 되었음
조교세션
교수님께서 최대한 많이 가르쳐주시려고 애쓰신 점이 좋았습니다.
꾸준한 피드백과 스터디 그룹이 매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학습조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