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2021WTP
  • 홈
  • WTP 소개
  • 공지사항
  • 성경읽기표(신구약통독)
  • 성경읽기표(구약통독)
  • 성경읽기표(신약통독)
  • 성경개관
    • 창세기 개관
    • 출애굽기 개관
    • 레위기 개관
    • 민수기 개관
    • 신명기 개관
    • 여호수아 개관
    • 사사기 개관
    • 룻기 개관
    • 사무엘상 개관
    • 사무엘하 개관
    • 열왕기상 개관
    • 열왕기하 개관
    • 역대상 개관
    • 역대하 개관
    • 에스라 개관
    • 느헤미야 개관
    • 에스더 개관
    • 욥기 개관
    • 시편 개관
    • 잠언 개관
    • 전도서 개관
    • 아가 개관
    • 이사야 개관
    • 예레미야 개관
    • 예리매야애가 개관
    • 에스겔 개관
    • 다니엘 개관
    • 호세아 개관
    • 요엘 개관
    • 아모스 개관
    • 오바댜 개관
    • 요나 개관
    • 미가 개관
    • 나훔 개관
    • 하박국 개관
    • 스바냐 개관
    • 학개 개관
    • 스가랴 개관
    • 말라기 개관
    • 마태복음 개관
    • 마가복음 개관
    • 누가복음 개관
    • 요한복음 개관
    • 사도행전 개관
    • 로마서 개관
    • 고린도전서 개관
    • 고린도후서 개관
    • 갈라디아서 개관
    • 에베소서 개관
    • 빌립보서 개관
    • 골로새서 개관
    • 데살로니가전서 개관
    • 데살로니가후서 개관
    • 디모데전서 개관
    • 디모데후서 개관
    • 디도서 개관
    • 빌레몬서 개관
    • 히브리서 개관
    • 야고보서 개관
    • 베드로전서 개관
    • 베드로후서 개관
    • 요한일서 개관
    • 요한이서 개관
    • 요한삼서 개관
    • 유다서 개관
    • 요한계시록 개관
  • 성경지도
  • 성경과 5대제국
  • 자유게시판
2021WTP

역대상 개관

1. 주제

다윗 왕국과 주님의 통치


2. 개요

왕국 시대의 이스라엘 역사를 소개한 본서는 다윗 왕국을 긍정적 시각에서 평가하는 저자의 주관적 제사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즉, 제사장의 관점에서 성전을 중심으로 기록된 본서는 다윗이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의 왕으로서 무슨 일을 했고, 또한 그가 어떻게 하나님을 더욱 잘 섬기기 위해 예루살렘 성전의 예배 제도를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정비했는지를 집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3. 저자와 기록연대

저자는 제사장이며 율법학자인 '에스라'이다. 에스라서의 기록 연대인 BC 5세기 중반 이후(BC 450년경)로 보아야 할 것이다.


4. 기록 목적

본서는 하나님의 언약에 근거한 다윗 왕국의 번영과 영화를 재조명함으로써, 바벨론 포로 생활에서 귀환한 언약 백성에게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새로운 긍지와 소망을 심어주기 위해 쓰여졌다. 또한 성전과 예배 중심의 기록을 통해 하나님 중심의 삶이야말로 축복의 열쇠라는 교훈을 일깨워주기 위해 기록되었다.


5. 내용구성

1) 아담에서 사울까지의 족보 (1-9장)

2) 다윗 왕국 (10-21장)

3) 성전 건축 준비 (22-27장)

4) 솔로몬의 즉위, 다윗의 죽음 (28-29장)



6. 구약의 마태복음


역대기서는 열왕기서와는 사뭇 다른 초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일한 이스라엘을 기록하면서도 열왕기서는 사건중심의 기록으로 열왕들의 사적들을 객관적으로 기술한 반면, 역대기서는 처음 시작부터 이스라엘의 족보를 장황하게 기록함으로 시작됩니다. 이것은 마치 마태복음의 시작이 족보로 시작되는 것과 흡사합니다. 역대상의 족보와 마태복음의 족보는 다윗왕의 탄생과 예수그리스도의 탄생을 중심으로 메시야적 계보를 선택적으로 기록했다는 점에서 일관성있는 구속사적 흐름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한 역대기서가 기술된 시점이 바벨론 포로시기임을 감안할 때 마태복음이 기술된 시점 역시 로마의 식민치하에 있다는 것은 매우 의미심장한 연관성을 시사해 줍니다. 즉, 전혀 다른 두 시대에서 동일하게 메시야왕국의 도래를 갈급하게 기다리고 있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역대기상은 포로로 잡혀간 이스라엘 백성들을 위로하고 그들에게 잃어버린 다윗왕국의 회복에 대한 소망을 심어주기 위해 쓰여졌다고 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역대기상은 '희망'을 노래합니다. 아담부터 시작하여 포로에서 돌아온 사람들까지 기록된 족보가 장장 아홉장에 이르는 분량으로 기록된 것은, 선민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의 흔적들입니다. 그들 한명한명의 이름을 기억하며 결코 언약을 잊지 않으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말해 줍니다.


또한 이후에 전개되는 다윗왕국의 찬란한 승리의 역사는 장차 우리 눈 앞에 현실로서 펼쳐지게 될 메시야 왕국, 즉 천년왕국의 실제적 도래를 암시하고 있습니다. 역대기상을 읽으면서 우리는 다윗의 자손으로 오실 예수그리스도의 초림과 다윗의 보좌를 회복하실 예수그리스도의 재림을 동시에 바라볼 수 있어야 합니다. 언제나 성경은 초지일관 예수그리스도께서 주인공이심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Google Sites
Report abuse
Page details
Page updated
Google Sites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