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2021WTP
  • 홈
  • WTP 소개
  • 공지사항
  • 성경읽기표(신구약통독)
  • 성경읽기표(구약통독)
  • 성경읽기표(신약통독)
  • 성경개관
    • 창세기 개관
    • 출애굽기 개관
    • 레위기 개관
    • 민수기 개관
    • 신명기 개관
    • 여호수아 개관
    • 사사기 개관
    • 룻기 개관
    • 사무엘상 개관
    • 사무엘하 개관
    • 열왕기상 개관
    • 열왕기하 개관
    • 역대상 개관
    • 역대하 개관
    • 에스라 개관
    • 느헤미야 개관
    • 에스더 개관
    • 욥기 개관
    • 시편 개관
    • 잠언 개관
    • 전도서 개관
    • 아가 개관
    • 이사야 개관
    • 예레미야 개관
    • 예리매야애가 개관
    • 에스겔 개관
    • 다니엘 개관
    • 호세아 개관
    • 요엘 개관
    • 아모스 개관
    • 오바댜 개관
    • 요나 개관
    • 미가 개관
    • 나훔 개관
    • 하박국 개관
    • 스바냐 개관
    • 학개 개관
    • 스가랴 개관
    • 말라기 개관
    • 마태복음 개관
    • 마가복음 개관
    • 누가복음 개관
    • 요한복음 개관
    • 사도행전 개관
    • 로마서 개관
    • 고린도전서 개관
    • 고린도후서 개관
    • 갈라디아서 개관
    • 에베소서 개관
    • 빌립보서 개관
    • 골로새서 개관
    • 데살로니가전서 개관
    • 데살로니가후서 개관
    • 디모데전서 개관
    • 디모데후서 개관
    • 디도서 개관
    • 빌레몬서 개관
    • 히브리서 개관
    • 야고보서 개관
    • 베드로전서 개관
    • 베드로후서 개관
    • 요한일서 개관
    • 요한이서 개관
    • 요한삼서 개관
    • 유다서 개관
    • 요한계시록 개관
  • 성경지도
  • 성경과 5대제국
  • 자유게시판
2021WTP

고린도후서 개관


고린도후서 소개

사도바울은 3차 선교여행 도중 마게도냐에서 고린도후서를 씁니다. 내용으로 보아 고린도전서와 시간차가 크지 않을 때 쓰여졌을 것입니다. 사도 바울은 편지에서 원래 그들을 방문하고자 하는 계획을 세웠었다고 밝힙니다. 그러나 방문이 성사되지 않았고, 대신 디도를 통해 그들에게 편지를 써서 보냅니다. 편지에서 제시한 해결책이나 요구 사항들을 교회가 기쁘게 받아들였다는 소식을 디도로부터 전해 받은 사도바울은 기쁨을 전함과 동시에 자신이 교회에 대해 안도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 고린도후서를 쓰게 됩니다(1-7장). 또한 예루살렘의 유대 기독교인들을 돕기 위한 모금 참여를 독려하며(8-9장) 자신을 ‘대적하는’ 소수의 무리를 향해 자신의 사도적 권위를 변호하기 위한 목적도 포함되어 있습니다(10-13장).

고린도후서는 서신 자체가 독특함은 서신의 수준을 뛰어넘어 마음을 진솔하게 털어놓은 이야기로서의 독백이라 볼 수 있습니다. 고린도 교인들을 향해 자신의 마음을 희석되지 않은 언어로 토로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자신의 의도를 오해하는 그들을 향해 가슴 아픔을 표현하며, 그들 간에 다툼을 일으키는 이들을 혹평하기도 하며, 자신의 개인적 고통을 통해 경험하는 하나님의 축복과 성숙하게 하심을 찬양하기도 합니다. 그런 가운데 놀랍게도 복음의 진수를 절묘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자신이 방문하는 대신 서신을 보내기로 결정했다고 말한 후 사도바울은 자신의 상황에 대한 마음을 나누는데, 그 내용의 핵심은 자신이 새 언약의 일꾼이라는 것입니다. 구약에서 약속된 새 언약(렘 31:31-34; 겔 36:22-32)을 논하는 것이 고린도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새 언약의 핵심은 돌판에 새겨진 외적인 율법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에 새겨진 하나님의 법이며(렘 31:33), 그들 가운데 거하시는 성령입니다(겔 36:27). 그 결과 사도바울을 포함한 하나님의 일꾼들은 ‘그리스도의 향기’(2:15)가 되는 것입니다. 그는 더 이상 옛 언약은 유효하지 않다고 말하며 새 언약의 영광을 논하면서 복음에 대한 가르침을 더합니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이라는 차이가 옛 언약과 새 언약의 가장 커다란 차이일 것입니다. 지금이나 그때나 사람들은 보이는 것에 관심이 더 많습니다. 그러나 사도바울은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깐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합니다(4:18). 그러나 고린도 교인들은 외적인 것을 주장하는 일에 마음이 쏠려 있었으며, 10-12장에서 언급된 ‘큰 사도들’의 가르침에 현혹되어 있었습니다. 이들의 잘못은 단순히 사도로서 사도바울의 권위에 도전한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가 전해준 복음의 진수를 왜곡하는 것이 더 큰 문제였던 것입니다. 그러기에 새 언약에서 새로운 마음이 그토록 중요한 개념인 것입니다.

사도바울은 사도로서의 권위를 통해 서신의 마지막까지 강하게 경고합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약하고자 함이 약함으로 이해되는 것을 원치 않았습니다. “우리도 그 안에서 약하나 너희에게 대하여 하나님의 능력으로 그와 함께 살리라”(13:4)는 것이 그가 원하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누가 옳은 자인가’가 아니라 ‘옳은 것 즉 선한 것을 행하는 것’입니다(13:7). 서신에서 그들을 향해 강한 어조로 말하고자 했던 것은 그들을 넘어뜨리기 위함이 아니라 오히려 세우기 위함이며 그것이 바울에게 주신 사도의 권한임을 분명히 합니다(13:10). 우리도 이 서신을 읽으며 새 언약 안에서 새로운 마음으로 세움을 받기를 원합니다.


Google Sites
Report abuse
Page details
Page updated
Google Sites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