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의 조건 문으로서의 전형적인 용법을 보여줍니다. 저는 If의 용법을 두 가지로 봅니다. 물론 자잘하고 복합적인 것까지 다 따지면 더 있습니다만, 근본적으로는 단순한 조건문으로서의 If와 가정법으로서의 If, 두 가지로 봅니다. 조건 문으로서의 If는 단순한 추측과 늘 항상 그런 일반적인 사실을 이야기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반면 가정법으로서의 If는 사실이 아닌 - 또는 사실과 반대 - 것을 가정할 때 사용합니다.
1. If I do ...
일반적으로 단순한 추측을 할 때 If I do ...를 사용합니다:
Sue가 시계를 잃어버렸는데, Ann의 집에 두고 온 것 같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Sue:
Ann:
I think I left my watch at your house. Have you seen it?
No, but I'll look when I get home. If I find it, I'll tell you.
위 예문에서 Ann은 그녀가 시계를 발견할 가능성이 있다고 단순히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단순한 추측에는 "If I find ... , I'll .. "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2. If I did ...
실현 가능하지 않은 상황을 상상할 때 - 사실과 반대의 상황을 가정할 때 - If I did...를 사용합니다. 아래 예문을 보지요:
If I found a wallet in the street, I'd take it to the police.
여기에서 주인공은 실현 가능성을 생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상황을 상상하긴 했지만 길에서 지갑을 주울 거라고 기대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If I found ... , I'd (= I would) ... "라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If I find ... , I'll ... "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어떤 상황을 상상할 때 if + 과거 형 (if I found / if you were / if we didn't, 등.)을 사용합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여기에 사용된 과거 형 동사의 의미는 과거가 아닌 현재입니다:
What would you do if you won a million dollars?
I don't really want to go to their party, but I probably will go. They'd be hurt if I didn't go.
Sarah has decided not to apply for the job. Sarah isn't really qualified for it, so she probably wouldn't get it if she applied.
이상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말도 이런 가정법에는 과거 시제를 사용합니다. "나 돈 좀 많이 벌어봤으면 좋겠어." 돈을 많이 벌고 싶다는 이야기인데, ‘벌어봤으면'이라는 과거 시제를 사용합니다. 잘 생각해보면 우리가 평소에 이런 표현에 과거 시제를 쓴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영어도 우리말처럼 이런 표현에 과거 시제를 사용합니다.
보통 if절에는 would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I'd be very frightened if somebody pointed a gun at me. (not if somebody would point)
If I didn't go to their party, they'd be hurt. (not if I wouldn't go)
if절은 상황을 가정합니다. 그래서 if절에는 명확한 행위나 사건이 등장해야 합니다. 그런데 would를 사용하면 가정 자체가 명확해지지 않는 문제가 생깁니다. 그래서 would를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if문의 주절에는 would와 wouldn't을 많이 사용합니다:
If you got more exercise, you'd (= you would) probably feel better.
Would you mind if I used your phone?
I'm not tired enough to go to bed yet. I wouldn't sleep (if I went to bed now).
if문에서 주절은 주인공이 진짜로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는 절입니다. 사실 if절보다 더 중요한 것이 주절입니다. 주절은 가정에 대한 내 의견을 말하는 절이므로 그 표현을 다양하게 가져갈 수 있어야 합니다. 그냥 will로 끝나면 재미가 없겠지요. 그래서 주절에는 would와 wouldn't을 많이 사용합니다. 제가 볼 때 "If I did ..., I would ..."가 99%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could와 might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f you got more exercise, you might feel better. (= it is possible that you would feel better)
If it stopped raining, we could go out. (= we would be able to go out)
기본적으로 주절에 사용하는 조동사는 표현하고자 하는 말의 느낌을 표현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조동사는 문법적으로 써도 되고 안되고를 따지는 것보다는 어떤 느낌을 표현할 것인가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러나 아래와 같은 조건 문에서는 when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They would be hurt if we didn't accept their invitation. (not when we didn't)
What would you do if you were bitten by a snake? (not when you were bitten)
if의 의미가 "어떤 때"일 때는 when과 혼용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는 혼용할 수 없습니다.
For if and when, see unit 24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