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ve something done"은 어떤 일을 하기 위해 누군가를 시켰을 때 사용합니다:
Lisa repaired the roof. (= she repaired it herself)
Lisa had the roof repaired. (= she arranged for somebody else to repair it)
처음에 이 구조를 보고 무슨 의미일까 궁금했었습니다. 잘 이해가 안되었었거든요. 제가 맞는지 틀리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여기 나오는 have를 사역동사(~을 하게 하다)로 봤습니다. 그랬더니 의미 전달이 분명해지더군요.
첫 번째 문장은 "Lisa가 지붕을 고쳤다"라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는 Lisa가 스스로 지붕을 고친 것입니다. 두 번째 문장은 "Lisa가 지붕을 고쳐지게 했다"라는 의미입니다. 지붕을 고쳐지게 했으니 스스로 고친 게 아니라 누군가로 하여금 고치게 한 것입니다.
예문을 몇 개 더 살펴 보지요:
Did Ann make the cake herself, or did she have it repaired?
"Are you going to repair the car yourself?" "No, I'm going to have it repaired."
이 구조는 어순에 주의해야 합니다. 과거 분사는 목적어 다음에 옵니다:
"have something done" 대신 "get something don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When are you going to get the roof repaired? (= have the roof repaired)
I think you should get your hair cut.
get도 have와 마찬가지로 사역동사로 활용됩니다. 그리고 get에는 "~하게 되다"라는 의미가 있으므로 이 구조에 사용해도 어색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get something done"은 문어체 보다는 구어체에 많이 사용됩니다.
경우에 따라 "have something done"은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됩니다. 아래 예문을 살펴 보지요:
Lisa and Eric had all their money stolen while they were on vacation.
여기서는 돈을 누군가로부터 도둑맞기로 계획된 것이 아니고 누군가에 의해 가진 돈을 다 도둑맞은 것입니다.
"have something done"은 이렇게 누군가에게 또는 누군가의 소유물에게 어떤 일이 일어난 일을 이야기할 때 사용합니다:
James had his nose broken in a fight.
Have you ever had your passport stol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