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드시 ~ 해야 한다"라고 외웠던 그 단어입니다. 사실 대부분 그 의미로 사용됩니다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I am hungry. I must cry." says the little girl.
이 문장을 보면 배가 고파서 울고 있는 소녀의 모습이 보입니다. 문제는 여기에 사용된 must의 정체입니다. "I must cry"에 "반드시 ~ 해야 한다"를 대입하면 말이 어색해집니다. 이제 이런 경우에 must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지 알아보겠습니다.
1. Must (not)
must는 분명한 사실 여부에 사용합니다. 그것이 확실하게 사실이냐 아니냐에 의미를 두는 것입니다. 학생 시절 열심히 외었던 "반드시 ~ 해야 한다"는 must를 해석하는 방법 중 하나 일 뿐 그것이 다는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말하는 내용이 확실히 사실이냐 아니냐 입니다.
must는 확실히 사실이라고 느낄 때 사용합니다:
You've been traveling all day. You must be tired. (Traveling is tiring and you've been traveling all day, so you are probably tired.)
"Jim is a hard worker." "Jim? A hard worker? You must be joking. He's very lazy."
첫 번째 문장의 상황이 하루 종일 여행을 한 것이니, "you must be tired"는 "너는 분명히 피곤할거야"라는 확실한 사실에 대한 단정적인 표현이 됩니다.
두 번째 문장들을 보면 Jim이 게으른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그런데 Jim을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상대방으로부터 "you must be joking"이라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분명히 사실이 아닌 이야기를 했으니 "내가 농담하는 게 틀림없다"라는 답변이 돌아온 것입니다.
must not은 확실히 사실이 아니라고 느낄 때 사용합니다:
Their car isn't outside their house. They must not be home. (= They must be out.)
Brain said he would definitely be here before 9:30. It's 10:00 now, and he's never late. He must not be coming.
They haven't lived here very long. They must not know many people.
I/you/he (etc.) must (not)
be (tired/hungry/home, 등)
be (doing/coming/joking, 등)
do/get/know/have, 등
2. must (not) have done
과거에 대해서는 must (not) have done을 사용합니다. must는 과거 시제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과거 시제는 "must + 완료형 (have + p.p.)"을 사용합니다:
"We used to live close to the freeway." "Did you? It most have been noisy."
There's nobody at home. They must have gone out.
I've lost one of my gloves. I must have dropped it somewhere.
She walked past me without speaking. She must not have seen me.
Tom walked straight into a wall. He must not have been looking where he was going.
I/you/he (etc.) must (not) have
been (tired/hungry/noisy 등)
been (doing/coming/looking 등)
done/gone/known/had 등
3. can't 와 must not
can은 가능성을 전제로 하는 단어입니다. 반면에 must는 사실 관계의 확실함을 전제로 하는 단어입니다. 가능성이라는 것은 0% ~ 100%를 오가는 가변적인 것이지만, 사실의 확실함은 OX로 정의되는 흑백 논리를 바탕으로 합니다.
"It can't be true"는 "그것이 불가능하다고 믿는다(= I believe it is impossible)"라는 의미를 가진 표현입니다:
How can you say such a thing? You can't be serious!
위 문장은 상대가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99% 믿지만 약간은(1%는) 진지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남겨놓은 표현입니다. 그럼 아래 비교를 살펴 보겠습니다.
can't와 must not의 비교:
첫 번째 대화는 "벌써 배고플 리가 없다"라는 가능성을 이야기하는데 반해 두 번째 대화에서는 "그는 배가 안 고프다"는 확신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말하는 상황이나 받아들이는 느낌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이 두 가지의 차이는 어떤 것에 대한 가능성과 확신의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