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I knew ... / I wish I knew ...와 시제만 다르고 나머지는 모두 같습니다. 여기에서는 말하는 시점이 과거입니다. 그래서 대과거를 표현하기 위해 과거 완료형을 사용했습니다.
1. If I had known ...
Brain은 지난 달 수술 때문에 병원에 입원해 있었습니다. Liz는 이런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병문안을 못 갔었습니다. 몇 일전 그들이 만났을 때 Liz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했습니다.
If I had known you were in the hospital, I would have gone to see you.
"내가 만약 네가 병원에 입원했었던 것을 알았었다면, 병문안을 갔었을 것이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 문장은 Liz가 Brain이 입원했던 사실을 몰랐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관해 이야기할 때는 "if + had(‘d) ... (if I had known/been/done 등)"을 사용합니다:
I didn't see you when you passed me on the street. If I'd seen you, of course I would have said hello. (but I didn't see you)
I didn't go out last night. I would have gone out if I hadn't been so tired. (but I was tired)
If he had been looking where he was going, he wouldn't have walked into the wall. (but he wasn't looking)
The view was wonderful. If I'd had a camera, I would have taken some pictures. (but I didn't have a camera)
아래 두 문장을 비교해 보세요:
I'm not hungry. If I were hungry, I would eat something. (현재)
I wasn't hungry. If I had been hungry, I would have eaten something. (과거)
첫 번째 문장을 살펴 보지요. "나는 배가 안고프다. 내가 배가 고팠다면, 뭔가 먹었을 거다." 현재 시점에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반면 두 번째 문장은 "나는 배가 안 고팠었다. 그 때 배가 고팠었다면, 뭔가를 먹었었을 것이다." 시점이 과거입니다. 첫 번째 문장과 비교를 해보면 시제의 차이가 시점의 차이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if절에는 would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If I had seen you, I would have said hello. (not If I would have seen you)
would는 will보다 한발 물러선 의지이기 때문에 가정을 위한 조건 절에는 어울리지 않지요. 그러나 주절에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d"는 would도 될 수 있고 had도 될 수 있습니다:
If I'd seen you, (= I had seen)
I'd have said hello. (= I would have said)
조건문에 대한 개념을 재대로 가지고 있다면 이 정도는 구분이 가능해야 합니다.^^
2. I wish I had known ...
이 구조 역시 과거에 대한 표현을 할 때 wish의 주절에 과거 완료(had done)를 사용합니다. "I wish something had happened"는 "그 일이 벌어지지 않아서 미안하다"라는 의미로 사용합니다:
I wish I'd known that Brain was sick. I would have gone to see him. (but I didn't know)
I feel sick. I wish I hadn't eaten so much cake. (I ate too much cake.)
Do you wish you had studied science instead of languages? (You didn't study science.)
The weather was cold on our vacation. I wish it had been warmer.
wish의 주절에는 "would have ..."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I wish it had been warmer. (not I wish it would have been)
wish의 경우는 if와 달리 주절이 가정한 내용입니다. 그러므로 주절의 주장이 명확해야 하는데, 여기에 would가 오면 그 의미가 약해집니다. 그러므로 would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3. would do와 would have done의 비교:
If I had gone to the party last night, I would be tired now. (I am not tired now - 현재)
If I had gone to the party last night, I would have met lots of people. (I didn't meet lots of people - 과거)
첫 번째 문장은 "파티에 갔었더라면 지금 피곤할 텐데"라고 해석됩니다. 이것은 지금 피곤하지 않다는 의미를 내포하며 말하는 시점이 현재입니다. 반면 두 번째 문장은 "파티에 갔었더라면 많은 사람들을 만났었을 텐데"라고 해석되는, 과거에 많은 사람들을 못 만났다라는 의미로 말하는 시점이 과거입니다.
4. would have, could have 그리고 might have의 비교:
If the weather
hadn't been so bad,
we would have gone out. (나가려는 의지 다수, 나머지 변수 약간)
we could have gone out. (나갈 가능성은 있었으나 실제로는 부정적임.)
(= we would have been able to go out)
we might have gone out. (나가도 그만 안가도 그만)
(= perhaps we would have gone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