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진행형의 문법적인 구조는 모두 아실 테니 굳이 설명하지 않고 그 사용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용법을 위주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현재 진행형을 한마디로 설명하면, 과거에 시작되었고, 현재 진행 중이며, 아직 끝나지 않은 사건이나 행위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용법입니다. 아주 간단합니다. 그런데 이것이 사용하기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보입니다. 한국어의 문법 구조로 볼 때는 마치 단순 현재가 사용되어야 할 자리에 들어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심지어는 시간대도 바꿔 버립니다.
1. 말하는 순간에 하고 있는 행위를 말할 때
I am driving my car.
이 문장은 "나는 내 차의 운전을 시작했고, 지금 하고 있으며, 아직 운전이 안 끝났다."는 뜻입니다. 말하는 시점에 운전을 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운전을 하는 중에 핸드폰 전화가 왔다면 이런 표현을 쓰게 될 것 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현재 진행형의 용법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꼭 내가 말하는 지금 이 순간에 그 행위를 하고 있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번 예와는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2. 최근에 하고 있는 일을 말할 때
친구와 차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고 있습니다. 이때, 요즘 내가 읽고 있는 책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I'm reading The Harry Potter and Deadly Hollow at the moment.
I'll lend it to you when I've finished it.
위 문장을 보면 지금 하고 있는 행위는 친구와 차를 마시며 이야기하는 것 있지만, "지금 나는 해리포터를 읽고 있어." 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이것은 말하는 지금 이 순간에 하고 있는 일이 아니라 최근 내가 하고 있는 일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이것 역시 일정 시간 과거부터 책을 읽기 시작했고, 현재 읽고 있으며,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의미는 변함이 없습니다만, 시간의 범위가 1번보다는 많이 확대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현재 진행형이 현재를 중심으로 과거와 미래로 행위가 이어지는 표현인데, 그 과거-현재-미래의 범위가 고무줄처럼 늘었다 줄었다 할 수 있고 그로 인한 어감이 미묘하게 변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today/this week/tonight과 같이 일정 기간의 시간 범위를 표현하는 단어들과 같이 사용되면 또 다른 어감의 변화를 가져옵니다.
3. 현재 말하는 시점을 중심으로 일정 시간 범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을 말할 때
You're working hard today. Yes, I have a lot of to do.
이거 번역하면, "너 오늘 일 무지 많이 한다. 응, 나 할 일이 많거든." 이렇게 됩니다. 느끼셨겠지만 이 문장은 번역해 보면 전혀 진행형처럼 안 보이는 문장입니다. 이 문장을 우리 말로 다시 번역하면, "You work hard today." 이렇게 될 것 같은데, 이렇게 쓰면 안됩니다. "You work hard today."는 "오늘 너 열심히 일해야 돼!" 여기에 더 가까운 뜻입니다.
그러나 "You're working hard today." 역시 오늘 이러는 범위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행위입니다. 그러므로 현재 진행형을 쓰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느낌은 많이 다르지요?
4. 현재를 기준으로 지금까지 해온 행위나 상태의 변화를 말할 때
Is your English getting better?
"네 영어가 나아지고 있냐?" 요런 뜻이지요. 이 말은 과거 어느 시점부터 지금까지 영어 실력이 좋아지고 있는지를 묻는 것과 동시에 앞으로도 그것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는 문장입니다. 그러니 현재 진행형을 쓰는 것이 맞겠지요. 이것도 "Does your English get better?" 와 같이 단순 현재 용법으로 사용하면 안됩니다. 솔직히 이 단순 현재 문장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5. 임시적 의미에서의 현재 진행형
I am living with Min-Soo until I find an apartment.
이 문장은 "내가 새로 살 아파트를 구할 때까지 민수랑 같이 산다."는 뜻입니다. 현재 민수랑 같이 살고 있는데, 새 아파트를 구한다는 전제가 있으니 민수랑 같이 사는 게 임시라는 뜻입니다. 만약에 이 문장을, "I live with Min-Soo." 라고 쓴다면, "나는 민수랑 산다." 과거에도 살았고, 지금도 살고 있고, 앞으로도 같이 살 것이다." 라는 뜻이 됩니다. 두 문장의 차이를 보면 현재 진행형은 임시적인(Temporary) 의미로 사용되고, 단순 현재는 영구적인(Permanent) 의미로 사용됩니다.
3, 4 & 5번 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현재 진행형과 단순 현재 (Present Continuous and Simple Present) 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현재 진행형이 미래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고 했습니다. 지금 기억이 납니다만, 제가 중고등학교 시절 성문 종합 영문법 보면서 이거 공부할 때 ‘이거 갑자기 뭔 또 미래야?' 이러고 책 덮었던 기억이 납니다.^^ 뭔 놈의 용법이 이리 헛갈리게 많은지...
6. 현재 진행형의 미래 용법
I'm seeing Min-Soo tomorrow.
"나 내일 민수 만날 거야." 이런 뜻이지요. 직역해서 해석하면, "나는 내일 민수를 만나고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되겠지요. 현재 진행형의 미래 용법은 이미 결정된 계획이나 약속에 - 특히 개인적인 - 국한하여 사용합니다. 결정되지 않은 계획은 Will을 사용하고, 열차 시간표, 항공 시간표와 같이 공식적인 일정은 단순 현재를 사용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미래 의미의 현재 시제 (Present Tenses (I am doing/I do) with a Future Meaning) 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7. 뉘앙스로 본 현재 진행형
I love you.
I am loving you.
위 두 문장의 차이가 느껴진다면, 영어 무지 잘하는 겁니다. 문법적으로는 "I love you."가 정답입니다. "I loving you."는 문법책에 ‘현재 진행형으로 쓰면 안 된다.' 라고 명기해놓은 문장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현재 진행형과 단순 현재 (Present Continuous and Simple Present) 에서 하겠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문장이 우리 실제 생활에서 쓰입니다. 잘못된 걸까요? 아닙니다. 문법에는 맞지 않지만 잘못된 문장은 결코 아닙니다. 심지어는 미국 사람이 부른 노래에서 이런 가사가 있습니다.
그러면 차이가 뭘까요? 우리가 평소에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할 때 표현하기 부끄럽거나 어려운 이야기들을 어떻게 말하는 지 잘 생각해보면 해답이 나옵니다. 주로 말을 돌려서 합니다. 이 말을 돌리는 방법을 잘 들여다보면, 시제를 바꾸거나 태(능동태 -> 수동태)를 바꾸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말 자체를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도 많지요.
영어도 똑같습니다. "I love you."는 매우 단호하고 딱딱한 표현입니다. 그리고 시간 개념이 없습니다. 듣는 사람 입장에 따라 매우 부담스러운 표현이 될 수 있습니다. 즉, 단순 현재가 가진 속성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I am loving you."는 이에 반해 부드럽습니다. 그리고 철회가 가능한 표현입니다.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시간의 범위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나는 과거 어느 시점부터 너를 사랑했고, 지금 사랑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예정이다." 라는 의미에서 찾으면 됩니다. 왜냐하면 미래는 바뀔 수 있기 때문이지요.
여기서 주의 깊게 생각해야 할 것은 ‘일반적으로 어감이 단순 현재보다 현재 진행형이 더 가볍다.' 는 것입니다. 어색해지고 딱딱해지기 쉬운 사랑 고백을 가볍게 접근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