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시제 공부하면서 제일 어려운 것이 완료형 시제라고 생각합니다. - 최소한 저는 그랬습니다. - 왜냐하면, 우리 말에는 현재 완료와 같은 시제 개념이 없기 때문입니다. 영어에서 사용하는 시제가 기본적으로 우리말과 다릅니다.
현재 완료는 성문 종합 영어를 보면 (have(has) + P.P. (past participle))의 문법 구조를 보여주고 4가지 용법 (완료, 경험, 계속 그리고 결과)을 예문과 함께 열심히 외우라고 합니다. 시험 문제에도 이 4가지 구분하는 거 항상 나옵니다.
문제는 이거 백날 외워봐야 시험 볼 때 빼고는 인생에 도움이 안 된다는 사실입니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4가지 용법 알지도 못하고 그걸 왜 구분해야 하는 지 거꾸로 물어봅니다. 웃기지요? 사실입니다.
현재 완료는 시간의 개념(그것도 점이 아니고 선형입니다.)과 행위 또는 사건,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의미가 한 문장 속에 녹아 있고, 행위가 벌어지는 시점도 상당히 모호합니다. 그냥 현재 시점에서 보면 그 행위가 종료됐고 그 결과가 존재합니다.
한마디로 이야기하면 과거로부터 현재로 이어진 시간 선상에서 발생한 행위나 사건이 지금의 결과로 나타난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시제입니다.
Tom is looking for his key. He can't find it.
He has lost his key. (= He lost it and he still doesn't have it.)
위 예문에서 보이듯이 "He has lost his key."는 ‘열쇠를 잃어 버린 사실'과 그래서 ‘현재 그가 열쇠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결과'를 동시에 의미합니다.
1. 현재 완료의 기본 의미
현재 완료는 기본적으로 한 문장에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합니다. 과거의 사실과 현재의 의미, 두가지입니다.
He told me his name, but I've forgotten it. (I can't remember it now.)
위 문장은 ‘그 남자의 이름을 잊어 버린 것'과 ‘지금 기억을 못한다는 것' 두 가지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그 남자의 이름을 잊어 버린 것'은 과거의 어느 시점부터 현재로 연결된 시간 범위에서 벌어진 행위에 해당하고, ‘지금 기억을 못한다는 것'은 그 결과에 해당합니다.
"Is Kimberly here?" "No. she's gone out." (She is out now.)
"Kimberly가 떠났다.' 는 과거로부터 현재로 이어진 시간 선 상에서 발생된 행위와 ‘그녀가 지금 여기 없다.' 는 결과, 두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위 두 예문에서 보듯이 현재 완료는 과거의 행위와 현재의 의미를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행위는 사실 관계이고, 현재의 의미는 그 영향이 되겠지요. 현재 완료는 문맥에 따라서 단순 과거(과거의 사실) 또는 현재 완료 진행형(행위 중심)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행위의 결과가 중심일 때는 단순 과거나 현재 완료 진행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현재 완료는 결과와 그 영향을 중시하는 표현에서 가장 빛을 발하는 시제입니다. 그래서 실제로는 문법책에 나오는 설명처럼 단 문장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항상 앞뒤에 관련된 문장이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현재 완료를 재대로 익히려면 문법책 외우기보다는 책을 많이 보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현재 완료 진행형과 현재 완료 단순 (Present Perfect Continuous and Present Perfect Simple) 과 현재 완료와 과거 (Present Perfect and Past) 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그러나 현재 완료의 첫 번째 기능이 과거로부터 연결된 행위를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기능으로도 활용됩니다. 즉, 단순 과거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단순 과거와 같은 의미로서의 현재 완료
1) 새로운 정보나 최근의 상황을 설명할 때
The road is closed. There's been an accident.
우리말로 "도로가 폐쇄되었습니다. 사고가 있었습니다." 정도로 해석되는 문장입니다. 교통 방송에서 나올 법한 문장입니다.
The police have arrested two men in connection with robbery.
"경찰이 절도와 관련해서 두 남자를 체포했습니다." 이것도 뉴스에 나올 법한 문장입니다.
이렇게 단순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 현재 완료 문장은 단순 과거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앞에 예를 다시 활용해보지요.
He told me his name, but I've forgotten it. (= but I forget it.)
"Is Kimberly here?" "No. she's gone out." (= No. she went out.)
원래 있던 현재 완료 문장들과 ()속의 문장들을 비교해보세요. 같은 의미로 다가옵니다. 굳이 차이를 이야기하라면, 현재 완료 문장들은 과거 어느 시점부터 현재로 이어진 시간 범위에서 행위가 벌어졌는데 지금은 완료됐다는 이야기이고 단순 과거는 행위가 시작된 시점은 중요하지 않고 과거 어느 시점에서 행위가 끝났다는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현재 완료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 구조에 대해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현재 완료 문장에 just/already/yet 등과 같이 행위의 앞뒤를 부연하는 단어들이 같이 오면 완료 시점에 대한 미묘한 차이를 가져 옵니다.
2) Just/already/yet 등 행위의 앞뒤를 부연하는 단어들과 함께 쓰일 때
Just = 방금, 좀 전에
"Are you hungry?" "No. I've just had lunch." (or I just had lunch.)
Already = 이미 (행위가 기대보다 좀 더 빨리 일어났을 때)
"Don't forget to mail the letter." "I've already mailed it." (or I already mailed it.)
Yet = 아직 (의문문이나 부정문에서만 사용)
Has it stopped raining yet? (or Did it stop raining yet?)
I wrote the letter, but I haven't mailed it yet. (or ... I didn't mail it yet.)
위 문장들을 보면 모두 단순 과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문장들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just/already/yet과 같은 단어들은 행위의 전후 관계를 설명하기 때문에 주로 사실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그러다 보니 문장 자체가 현재 사실 관계를 설명하게 되지요.
아시다시피 현재 완료의 행위는 과거의 어느 시점부터 현재로 이어지는 시간 선 상에 발생한 것입니다. 즉, 과거에 발생한 것이지요. 그러므로 과거의 사실을 설명할 때는 현재 완료와 단순 과거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현재 완료와 과거 (Present Perfect and Past)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현재 완료와 단순 과거가 항상 바꿔 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을 보지요.
3) 현재 완료와 단순 과거를 함께 쓸 수 없는 경우
과거에 벌어진 단순한 사실을 이야기하는 문장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완료와 단순 과거를 함께 쓸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last night/two years ago/yesterday와 같이 과거의 시점이 분명한 단어들이 함께 사용되면 현재 완료 문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It snowed last night. (not has snowed)
Where were you at 3:00? (not have you been)
I started my new job two weeks ago. (not have started)
Nicole didn't go out yesterday. (not hasn't gone)
현재 완료의 선 시제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면 이것이 당연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현재 완료의 시간 개념은 선형입니다. 과거의 어느 시점부터 시작해서 현재에 이르는 시간 범위(선)가 존재하고 그 위의 어느 지점에서 행위가 벌어진 것입니다.
그러니 위의 예처럼 행위가 벌어진 시간을 꼭 집어서 이야기하는 문장들에 현재 완료를 적용하면 문법이 가진 기본 원리와 어긋나 버리게 됩니다.
3. 현재 완료에서 시간의 의미 (선 시제)
현재 완료에는 선 시제라는 개념이 있다고 했습니다. 이 선 시제는 기본적으로 과거의 어느 시점부터 현재까지 연결되는 시간 범위(선)를 이야기합니다. 현재 완료 문장에서 이야기하는 행위나 사건은 모두 이 시간 선 상에서 벌어집니다.
주관적인 판단이긴 합니다만, 현재 완료는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크게 두 가지 재미있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생각합니다.
첫 번째는 시간의 범위입니다. 시간의 범위가 어떻게 설정되느냐에 따라서 문장의 의미가 달라집니다. 성문 종합 영어에 나오는 현재 완료의 4가지 용법 기억나시지요? 이 시간의 범위가 어떻게 설정되느냐에 따라 사용된 문장의 의미가 이 4가지 - 완료, 경험, 계속 그리고 결과 - 형태로 나타납니다.
두 번째는 시간 선 상에서 벌어진 행위나 사건이 발생된 지점의 모호함에 있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완료의 대표적인 특징입니다만, 이 시제는 행위의 시점이 항상 불분명합니다. 그리고 시간 선의 끝만 분명하지(때로는 이것도 좀 ...), 시작은 대충 그 때쯤으로 잡습니다.
저는 현재 완료의 시간 개념이 참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대충 잡는 시간 개념이 오히려 말을 복잡하지 않게 만들어주거든요. 짧은 문장에 많은 의미를 전달해주므로 장점이 있다고 봅니다.
1)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시간 선이 이어지는 경우
Dave: Have you traveled a lot, Jane?
Jane: Yes, I've been to lots of places. (been (to) = visited)
Dave: Really? Have you ever been to China?
Jane: Yes, I've been to China twice.
Dave: What about India?
Jane: No, I haven't been to India.
위의 대화를 보면 Dave와 Jane이 과거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가 살펴볼 것은 위 문장을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아니고 위에 사용된 현재 완료 문장들이 가지고 있는 시간 선입니다.
위 대화의 주제는 Jane이 여행을 다닌 경험에 대한 것으로, 시간의 범위는 Jane이 오늘까지 살아온 인생입니다. 여러 장소를 여행하고, 중국을 두 번 다녀오고 인도는 못 가보고 한 모든 행위가 Jane의 태어나서 오늘까지 살아온 인생이라는 시간 선 상에 있습니다. 나름 이해가 되지요?
그러고 보니 이 경우가 성문 종합 영어에서 이야기하는 4가지 용법 중 ‘경험'에 해당하겠군요.^^
2) recently/in the last few days/so far/since breakfast 등과 같이 현재까지 시간 선이 이어지는 경우
Have you heard from Brain recently?
I've met a lot of people in the last few days.
Everything is going well. We haven't had any problem so far.
I'm hungry. I haven't eaten anything since breakfast. (= from breakfast until now)
It's nice to see you again. We haven't seen each other for a long time.
첫 번째 예와 시간 범위의 설정이 좀 다르지요? 1)의 경우는 태어나서 지금까지 전체 인생을 시간 선으로 설정하고 있었는데, 여기서는 최근에(recently), 수일간(in the last few days), 지금까지(so far), 아침부터(since breakfast) 그리고 오랫동안(for a long time)과 같은 표현으로 시간 범위를 한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재미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시간에 대한 표현들이 역시 대충 개념적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완료형 시제의 맛입니다. 실제 우리 언어 생활에 대해 잘 생각해보세요. 우리가 평소에 이야기할 때 정확한 시간을 많이 이야기하는 지 아니면 위 예문들처럼 대충 시간 대를 이야기 하는지...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실제로 생활 영어를 해도 단순 시제보다는 완료형 시제를 더 많이 쓰게 됩니다. 물론 소설책보면 거의 다 완료형 시제입니다.
3) today/this morning/this evening 등과 같이 말하는 시점에도 시간 선이 지속되는 경우
I've drunk four cups of coffee today.
Have you had a vacation this year?
I haven't seen Tom this morning. Have you?
위 예문들의 시간 선은 앞의 1), 2)번 과 비교하면 좀 독특합니다. 여기서는 시간 선이 말하는 시점 이전에 끝나지 않고 지속됩니다. 여기 예문들은 과거 시제와 비교를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I've drunk four cups of coffee today.
I drank four cups of coffee yesterday.
첫 번째 문장은 "오늘 커피를 4잔 마셨어." 이런 의미의 문장입니다. 말하는 시점까지 커피 4잔을 마셨지만, 오늘은 아직 안 끝났습니다. 이런 문장은 뒤에 반드시 이 문장을 통해 의도한 바를 설명하는 문장이 옵니다.
I've drunk four cups of coffee today. I didn't sleep last night.
아마도 이 정도 이유가 따라오지 않을까 싶네요. 그럼 두 번째 문장과의 차이를 보지요. "나는 어제 커피를 4잔 마셨어." 그냥 지나간 사실에 대한 설명입니다. 그럼 이런 건 가능할까요?
I drank four cups of coffee today.
I drink four cups of coffee today.
둘 다 문법적으로 성립이 안 되는 문장입니다. 첫 번째 문장은 단순 과거인데, today가 현재를 만들어주니 문장 자체가 말이 안되고, 두 번째 문장은 단순 현재의 용법 어느 것과도 맞지 않습니다. 문법적으로 말이 안 되는 문장을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합니다만 사실 이런 문장은 보면 "이거 뭐야?" 이런 소리가 자동으로 나오는 바람직하지요.^^
4) It's the first time something has happened
이 형식에서 사용하는 현재 완료의 시간 선은 1)번 형식의 변형처럼 보이네요. 아래 예문들 역시 시간 선의 설정이 태어나서 지금까지 인생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Don is taking a driving lesson. It's his first one.
It's the first time he has driven a car. (not drives)
or He has never driven a car before.
Sarah has lost her passport again. It's the second time this has happened. (not happens)
Eric is calling his girlfriend again. This is the third time he's called her before.
약간 과장이긴 합니다만, 현재 완료 시제만 확실히 이해하면 영어 시제를 다 아는 것과 다름없다고 생각합니다. 개념적으로 매우 중요하고 이거 잘 모르면 책도 보기 힘들고 대화도 힘듭니다. 제가 외우는 것에 약해서 그렇기도 합니다만, 영어 문법은 외우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개념으로 이해하고 실제 독서, 대화 또는 글 쓰기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내 몸에 붙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