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사 + (목적어) + to ...
다음 동사들은 필요에 따라 목적어를 가질 수도 갖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want ask help expect beg would like would prefer
이 동사들 다음에는 to 부정사가 옵니다. 다음과 같은 구조가 가능합니다:
동사 + to 부정사
We expected to be late.
Would you like to go now?
He doesn't want to know.
or
동사 + 목적어 + to 부정사
We expected Tom to be late.
Would you like me to go now?
He doesn't want anybody to know.
want는 that 절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Do you want me to come with you? (not Do you want that I come)
Help 다음에는 to를 사용해도 되고 안 해도 됩니다:
Can you help me to move this table? or Can you help me move this table?
2. 동사 + 목적어 + to ...
다음 동사들은 반드시 목적어를 가져야 합니다.
tell remind force enable teach
order warn invite persuade get (= persuade, arrange for)
위 동사들은 "동사 + 목적어 + to 부정사" 형식을 사용합니다:
Can you remind me to call Ann tomorrow?
Who taught you to drive?
I didn't move the piano by myself. I got somebody to help me.
Jim said the electrical outlet was dangerous and warned me not to touch it.
다음 예는 수동태 (was warned)입니다:
I was warned not to touch the electrical outlet.
suggest는 "동사 + 목적어 + to 부정사" 형식으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Jane suggested that I buy a car. (not Jane suggested me to buy)
이것 역시 to 부정사와 연관된 suggest 로 공부하는 것보다는 동사 자체의 활용을 공부하여suggest에 이런 기능적 구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suggest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가정법과 동사 + -ing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3. 동사 + -ing 또는 동사 + 목적어 + to ...
advise encourage allow permit forbid
이 동사들은 두 가지 형식이 가능합니다. 비교해 보세요:
수동태 (be allowed) 문장들을 비교해보겠습니다:
Smoking isn't allowed in the house.
We aren't allowed to smoke in the house.
첫 번째는 smoking을 담배를 피는 것이라고 명사화하여 주어로 사용했습니다. 두 번째는 집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안 된다는 뜻으로 to smoke가 목적어로 사용되었습니다.
4. Make와 let
이 동사들은 "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형식으로 표현합니다:
The customs often made Sally open her case. (not to open)
Hot weather makes me feel tired. (= causes me to feel tired)
Her parents wouldn't let her go out alone. (= wouldn't allow her to go out)
Let me carry your bag for you.
make의 수동태는 (be) made to do ... 를 사용합니다:
I only did it because I was made to d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