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회차 4p 셋업
7th PC 4p Setups
7th PC 4p Setups
7회차의 심화 단계라고 볼 수 있는 4p 셋업을 배워봅시다.
4p 셋업 위주로 학습하는 다른 회차들과 달리, 7회차는 3+7이라는 가방 구조 특성상 3p 셋업만으로도 거의 모든 경우가 100% 퍼클이 가능해 오랫동안 4p 관련 정보는 시들한 편이었습니다. 아무래도 순수퍼클 루프의 마지막에 위치해 있어 "어차피 1회차로 가는데 굳이 4p 셋업을 연구하고 배울 필요가 있나?"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몇 년 전 8회차 연구가 진행될 때도 7회차에서 "일부러" 8회차를 가는 방법은 아직 강구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그러나 1회차보다 이론적 평균 확률이 높은 8회차들이 발견되고, 1회차가 고급 단계로 갈수록 다른 회차들에 비해 이론적인 성공률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좋은 8회차를 의도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정식 셋업들의 필요가 점점 커졌습니다. 이를 위해선 3+7 다음 보이는 11번째 미노(즉, 루프의 마지막 가방 이후 나오는 첫 미노)를 볼 수 있어야 하고, 일반적인 3p 셋업은 이 정보를 얻을 수 없으므로 미노 하나를 더 놓아 11번째 미노를 넥스트에서 볼 수 있는 4p 셋업의 연구가 대두된 것입니다.
그렇게 2023년에 janEwan을 비롯한 여러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7회차 4p 셋업 문서가 만들어졌고, 이 페이지의 정보들은 대부분 해당 문서를 발췌했습니다. 퍼클 확률이 여전히 모두 100%인 셋업들이며, 1회차/8회차 최소해법 역시 위 4p 셋업 문서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일반 7회차 뿐만 아니라 중복미노 7회차에서의 4p 셋업도 연구되었고, 나아가 TXY 7회차에서 좋은 8회차의 확률을 최대화하기 위해 T미노를 셋업에 사용하지 않는 일명 "2+2" 셋업들도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정리가 덜 된 상태고 양이 방대한 관계로 이 페이지에선 아직 서술하지 않았습니다.
여기선 7회차 케이스들을 크게 5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습니다.
1. "TLX/TJX" - T가 있고, L/J 중 하나 이상이 있는 경우 (TOL/TOJ, TIL/TIJ, TLJ, TLS/TJZ, TLZ/TJS)
2. "TXY" - T가 있고, L/J는 없는 경우 (TOI, TOS/TOZ, TIS/TIZ, TSZ)
3. "LJX" - T가 없고, LJ가 둘 다 있는 경우 (OLJ, ILJ, LJS/LJZ)
4. "LXY/JXY" - T가 없고, L/J 중 하나만 있는 경우 (OIL/OIJ, OLS/OJZ, OLZ/OJS, ILS/IJZ, ILZ/IJS)
LSZ/JSZ는 아직 고안된 4p가 없습니다.
5. "WXY" - TLJ 모두 없는 경우 (OIS/OIZ, ISZ)
OSZ는 아직 고안된 4p가 없습니다.
4p가 고안되지 않은 개별 케이스의 경우는 기존의 3p/QB 셋업을 대신 사용하시면 됩니다.
모든 4p 셋업들은 당연히 1회차로도 항상 갈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또한 각 셋업마다 "좋은 8회차"로 갈 확률이 적혀있는데, 좋은 8회차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1번째 미노가 T일 경우: 없음 (보통처럼 1회차로 진행)
I일 경우: T세이브 (T>I 8회차)
L/J일 경우: T세이브 (T>L/J 8회차)
O일 경우: T, I, L/J세이브 (T>O, I>O, L/J>O 8회차)
S/Z일 경우: T, O, I, L/J세이브 (T>S/Z, O>S/Z, I>S/Z, L>S/Z, J>S/Z 8회차)
I>L/J, S/Z>O, S>Z, Z>S 8회차들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1회차보다 평균 확률이 높지만 퍼클 봇이 아닌 인간 플레이어에게는 그 이득이 매우 미미하기 때문에 좋은 8회차 통계에는 추가되지 않았습니다.
각 케이스마다 셋업이 하나가 아니라 2개인 경우도 있는데, 이유는 다음 중 하나와 같습니다.
첫번째 셋업이 성능은 더 좋지만, 항상 만들 수 있지는 않아 대체제인 두번째 셋업이 필요한 경우
두 셋업 모두 항상 만들 수 있는 경우: 첫번째 셋업이 좋은 8회차로 갈 확률은 더 높으나, 두번째 셋업이 좋은 8회차 중에서도 티어가 가장 높은 T>O/S/Z 8회차로 갈 확률이 더 높은 경우입니다.
혹은 성능 차이에 비해 외워야 하는 해법 개수의 차이가 매우 큰 경우도 있습니다.
TOL-Z (⇔ TOJ-S) 형태 2
48.57%
연습하기
TOL 7회차 전체 연습하기
TOJ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TIL-Z (⇔ TIJ-S) 형태 2
51.31%
연습하기
TIL 7회차 전체 연습하기
TIJ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TLJ-S (⇔ TLJ-Z) 형태 2
51.31%
연습하기
TLS 7회차 전체 연습하기
TJZ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TLZ 7회차 전체 연습하기
TJS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TOS-Z (⇔ TOZ-S) 형태 2
35.71%
연습하기
TOS 7회차 전체 연습하기
TOZ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TIS-Z (⇔ TIZ-S) 형태 2
45.16%
연습하기
TIS 7회차 전체 연습하기
TIZ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TSZ-S (⇔ TSZ-Z) 형태 2
41.43%
연습하기
이 경우에 해당하는 7회차의 경우, 버티컬 패리티의 원리상 T>L/J 8회차들에 진입할 수 없습니다.
LJS 7회차 전체 연습하기
LJZ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이 경우에 해당하는 7회차의 경우, 버티컬 패리티의 원리상 T>O/S/Z 8회차들에 진입할 수 없습니다.
OIL-TJ 셋업은 구축 이후 T가 홀드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만약 OIL 다음 J가 나왔지만 T는 같이 나오지 않았다면 필히 다른 4p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OIL 7회차 전체 연습하기
OIJ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OLS 7회차 전체 연습하기
OJZ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OLZ 7회차 전체 연습하기
OJS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ILS 7회차 전체 연습하기
IJZ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ILZ 7회차 전체 연습하기
IJS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이 경우에 해당하는 7회차의 경우, 버티컬 패리티의 원리상 T>L/J 8회차들에 진입할 수 없습니다.
OIS-I의 경우는 약간의 OQB가 필요합니다.
OIS 7회차 전체 연습하기
OIZ 7회차 전체 연습하기 (좌우반전형)
7회차 전체 연습하기 (랜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