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회차

8th PC

Z>I 8회차의 예시.

구조와 원리

[]|■■■■■■|■■■(■)

가방 구조: (1) + 6 + 3

1회차와 8회차의 차이

7회차에서 주어진 첫 10개의 미노만으로 퍼클에 성공한다면 가방 순환이 끝나므로 새로운 가방이 시작되는 1회차로 돌아갑니다.

하지만 어쩌다 다음 가방에서 11번째로 나온 다른 미노 하나를 대신 사용하면 1회차의 가방에서 미노 하나가 교체되는 결과가 나타납니다. 이런 특수한 1회차를 "8회차"라고 부릅니다.

초보자 분들이 8회차에 오는 경우는 의외로 흔합니다. 7회차에서 정형화된 3p 셋업이 아닌 프리스타일 및 변칙적인 퍼클을 하거나, 4회차에서 2줄 퍼클을 하면 8회차로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우에 대한 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즉, T>S 8회차라 하면 S가 있어야 할 자리에 T가 대신 있어서 T가 2개 있는 케이스를 뜻합니다(화살표가 아닌 대소관계 기호로 보는 것이 이해하기 쉽습니다). 또한 이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표기 중 T>X는 T가 2개 있는 8회차를 모두 포괄하는 표기입니다.

현재 8회차 셋업은 아직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4p가 아닌 3p 셋업 연구는 일부를 제외하면 아직 빈약한 편입니다.

어떤 8회차가 좋은 것인가?

익숙한 1회차로 돌아온게 아니라서 당황할 수도 있지만, 8회차가 언제나 나쁜 것은 아닙니다. 일부 케이스는 오히려 1회차보다 평균 확률이 좋기 때문에 몇몇 고수들은 일부러 8회차를 유도하기도 하지만, 이 과정이 난이도가 매우 높아 자 단계에서 권하지는 않습니다.

먼저 좋은 8회차부터 소개합니다. 1회차보다 가치가 명백히 높은 경우들입니다.

다음은 이론적으로 1회차보다는 좋지만, 그 확률 증가가 미미하거나 난이도가 높아 개인차가 있는 경우들입니다.

나머지 8회차들은 1회차보다 좋지 않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셋업 일람

유의점: 이 사이트의 대부분의 8회차 셋업들은 Kvodeth의 8회차 문서에서 발췌했습니다 (출처 문단 참고). 해당 문서의 셋업 확률들은 180도 회전을 염두에 두지 않고 계산된 것으로, 일부 셋업들은 180도 회전을 적용했을 때 이 사이트에서 명시한 확률과 실제 퍼클 확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출처/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