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회차 고급 셋업

2nd PC: Advanced Setups

개요

기존 4p 셋업보다도 퍼클 수준을 높이고 싶다면 3p 셋업QB 셋업이라는 두 가지 방향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부터는 중급 셋업까지 이어졌던 "여러 케이스를 최대한 비슷한 셋업으로 묶는" 트렌드는 완전히는 아니지만 많이 퇴색되고, 대신 "각각 케이스의 퍼클 확률과 좋은 세이브 확률을 극한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적이 됩니다. 따라서 이미 퍼클 확률이 매우 높은 T가 있는 2회차T가 없어도 L, J가 둘 다 있는 2회차의 경우는 3회차를 위해 가장 좋은 세이브인 T세이브 확률 증가가 주 목적이 되며, T세이브를 못 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S/Z세이브를 최소화하는 것이 그 다음 목표가 됩니다. T세이브가 불가능한 T가 없고 L/J 중 하나만 있는 2회차의 경우는 다음으로 좋은 O/I세이브 확률을 최대한으로 올리고 역시 S/Z세이브 확률은 낮추는 것을 추구합니다.

2회차 고급 단계에서는 T가 있는 경우보다 오히려 T가 없고 LJ가 둘 다 있는 경우(OILJ, ILJS 등)가 더욱 고평가받습니다. 후자의 경우는 모든 경우가 QB/OQB 셋업을 동원하면 100% 확률로 T세이브가 가능한 반면, T가 있는 2회차 중 100% T세이브가 가능한 경우는 TILJ 하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2회차에서 3p 셋업이 좋은 이유

한 번에 최대 7개의 미노만 확인할 수 있는 테트리스 시스템 안에서, 3p 셋업 후 7개의 미노로 퍼클을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4p 셋업 후 7개의 미노 중 남길 미노를 선택하고 퍼클을 하는 것보다 자유도가 떨어지고 확률적 불이익이 생길 때도 많습니다(가끔 확률이 높아지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미노 사용의 손해보다 공간적 이득이 큰 경우입니다).

그러나 2회차는 다른 회차에 없는 특이한 특성이 있는데, 바로 3p 셋업 후에도 8번째 미노를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2회차의 가방 구조는 4+7이므로, 4개의 미노 중 하나를 홀드한 뒤 3p 셋업에서 다음 가방 미노 6개를 확인하면 아직 나오지 않은 다음 미노는 6개 중에 없었던 미노라는 것을 논리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예: IOLJ 2회차에서 O, L, J미노들로 3p 셋업을 만들었을 때

따라서 다른 회차는 3p 셋업이 세이브 선택의 부재 때문에 4p 셋업의 완전한 상위호환이 되지는 않는 것과 달리, 2회차는 3p 셋업을 해도 미노 사용의 자유도가 떨어지지 않으면서 공간적 이득을 취하고, 좋은 세이브 확률 상승까지 여러 토끼를 잡을 수 있기에 난이도만 극복한다면 4p 셋업보다 거의 모든 면에서 이득이 됩니다. 물론 블럭을 하나 덜 놓고 생각해야 하는 것은 처음에는 분명 쉽지 않기에, 해법을 차차 배워나가며 하나씩 정복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QB 셋업의 의의

큐베이스드(Queue-based, QB) 셋업은 원래 셋업에 쓰는 4개의 미노 말고도 다음 가방의 시작 넥스트까지 봐가며 셋업하는 방식입니다.

2회차의 QB 셋업은 주로 T/O 세이브를 목표로 합니다. 다만 I/J/L을 세이브하는 QB 셋업들도 드물게 있습니다. 최근 I 3회차의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T/O/I 세이브 QB도 나오고 있습니다.

QB의 목적은 최대한 좋은 3회차를 장려하는 것이라 S/Z를 세이브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QB 셋업의 심화 단계라고 볼 수 있는 OQB(Over-queuebased) 셋업이라는 것도 존재합니다. QB 셋업은 셋업 이전 0p 상태에서의 넥스트만 활용하는 것이라면, OQB 셋업은 1~2개의 미노만 놓은 뒤의 넥스트까지도 활용하는 것을 뜻합니다. 상당히 어려운 단계라서 고수들 중에서도 OQB 셋업들을 다 암기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관련 연구도 아직 진행 단계에 있습니다.

현재 이 사이트의 QB/OQB 셋업들은 T세이브를 최우선으로 서술하도록 수정하는 중입니다. 물론 100% T세이브가 전부 가능한 것은 아니므로, O/I세이브 QB 셋업들도 필요한 경우 추가되고 있습니다.

No T + Odd LJ(일명 "Bad 2회차")에 대한 일갈

전체적으로 꽤 어려우며, 이 경우들의 학습을 위해서는 알아야 할 전제조건들이 있습니다.

셋업 일람

특별한 확률 표기가 없다면 모든 3p는 퍼클 확률 100%임을 가정합니다.

T가 있고, L/J 갯수가 짝수인 경우 ("T + Even LJ")

T가 있고, L/J 갯수가 1개인 경우 ("T + Odd LJ")

T가 고, L/J 갯수가 짝수인 경우 ("No T + Even LJ")

T가 고, L/J 갯수가 1개인 경우 ("No T + Odd L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