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회차

7th PC

TIZ 7회차의 예시.

구조와 원리

■■■|■■■■■■■|(■)

가방 구조: 3 + 7 (+1)

표기: XYZ 7회차 (예: TLJ 7회차)

셋업 미노: 이전 가방의 미노 3개

솔루션 미노: 새로운 가방의 미노 7개 모두 사용

7회차가 끝나면 가방 순환이 끝나 1회차로 이어집니다. (가끔 1회차로 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8회차 페이지 참조)

가능한 시나리오가 다양해서 존재하는 셋업이 상당히 많지만, 겹치는 셋업들을 잘 추려내면 많다고 볼 것도 없고 모든 경우가 100%의 퍼클 확률을 가지고 있으므로 셋업을 외우면 난이도가 대폭 하락하는 회차입니다. 따라서 다른 회차들보다도 셋업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회차라고 볼 수 있습니다.

Four.lol의 경우 총 18개의 100% 형태를 서술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그 중 선택사항인 셋업은 대부분 잘라내고 필수로 알아야 하는 형태들만 서술했습니다.

100% 셋업 (T 있을 때)

총 6가지 셋업이 있으며, 모든 셋업은 자유롭게 좌우반전이 가능합니다.

TOI (단일해법)

TOS / TOZ (단일해법)

TIS / TIZ (단일해법)

TOL / TOJ / TLS / TJZ (Heart + T)

6x4 + 4x4 계열 1

6x4 + 4x4 계열 2

5x4 + 5x4 계열 1

5x4 + 5x4 계열 2

TIL / TIJ / TLJ / TLZ / TJS (Tub)

I가 느릴 때

I, J가 빠를 때

I가 빠르고 J가 느릴 때

TSZ (Anti-PCO)

SZ가 빠를 때

IT가 빠를 때

IL이 빠를 때

100% 셋업 (T 없을 때)

SZ가 둘 다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100% 단일 셋업이 있습니다. 최소 4가지 셋업을 알면 됩니다.

OIL / OIJ

LI로 박스를 완성하는 경우

JS로 박스를 완성하는 경우

OIS / OIZ

Z가 T보다 빠를 때

TZ보다 빠를 때

OLS / OLZ / OJS / OJZ / ILS / ILZ / IJS / IJZ

OLS/OJS/ILS/ILZ

OJZ/OLZ/IJZ/IJS

IL로 6x4를 완성하는 경우

IJ로 6x4를 완성하는 경우

그 외

LJO / LJI / LJS / LJZ

 LJO/LJI (방향은 자유롭게 선택 가능)

 LJS/LJZ

선택사항 - LJO / LJS / LJZ (3x4 Box)

LJ와 O/S/Z 중 하나가 있을 때 만들 수 있는 셋업입니다. 최소해법이 비교적 많기도 하고(대칭형 포함시 총 12개) 셋업 자체도 최소한으로 알아야 하는 건 아니지만 알아두면 차후에 활용도가 매우 높은 셋업입니다.

사실 3x4 박스는 보통 7회차보다 중복블럭 7회차에서 더 많이 사용되는 셋업으로, 무려 9개의 조합으로 이 박스 셋업을 만들 수 있습니다 (JJO, JJZ, LTT, IOO 등등). 많은 시나리오들을 한 셋업으로 묶을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는 셈입니다

이 셋업이 특별한 이유는 바로 셋업 이후 홀드+필드+넥스트의 총합 7개 블럭이 모두 다를 경우, 100% 확률로 7x4 솔루션이 존재한다는 공식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비단 7회차 3x4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회차들에서도 3x4 박스를 만든 뒤 나머지 7개의 블럭이 모두 다를 경우에 이 법칙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박스 셋업 중 가장 어렵다고 평가되는 3x4 박스를 연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물론 전술했듯 필수 셋업은 아니며, 최소해법이 더 적은 LJX 셋업이 이미 존재하기에 굳이 배워야 할 필요를 못 느낄 수도 있습니다. 취향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100%지만 필수는 아닌 셋업

four.lol의 7회차 패턴 모음 중 6, 7, 9, 14, 16, 17, 18번이 해당됩니다(13&15는 중복미노 7회차 전용이므로 제외). 필수로 배워야 하는 셋업들은 아니지만, 개인차에 따라 해당 셋업들이 상술한 셋업들보다 쉽다고 여겨지면 배우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퍼클 연구자 cosin307이 만든 이 페이지에서도 TIO/TIS/LJO/LJS의 추가적인 100% 셋업들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는 사용하는 사람들이 적은 셋업들이므로 유의 바랍니다.

이외에 참고 자료에 첨부된 페이지들에서도 추가적으로 배울 수 있는 셋업들이 많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00%가 아닌 케이스 (SZ가 모두 있고, T가 없을 때)

일반 7회차 중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는 경우입니다. 다만 고정 셋업이 아닌 후술할 큐베이스드 셋업들 덕분에 성공확률이 모두 100%로 올라갔기에, 현재는 실력이 된다면 아래의 3p들보다는 큐베이스드 셋업을 배우는 것이 더 권장되는 편입니다.

큐베이스드 셋업을 모른다는 가정 하에서 OSZ는 가장 좋지 않은 7회차로 꼽히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 해법들은 여기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보시면 알겠지만 최소 해법의 갯수도 많은 편이라 (특히 ISZ) 난이도는 100% 7회차들에 비해 더욱 올라갑니다.

LSZ/JSZ (Shoe)

ISZ (Dragon)

OSZ

중복되는 미노가 있다면?

큐베이스드 셋업

기타 정보 및 팁

출처/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