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에서 돌아보는
New Start Story
실패에서 돌아보는
New Start Story
Q.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발명을 남긴 사람
직접 달걀을 품었을 정도로 호기심이 많았던 아이
전구를 발명하여
인류에게 제 2의 프로메테우스의 불을 만들어준 사람은?
A. 발명왕 에디슨!
발명왕 에디슨이 설립한 전기관련 회사들을 합병하여 만든 '에디슨 제너럴 일렉트릭' 과 전기회사 톰슨-휴스턴이 합병되어 설립된 회사.
제너럴 일렉트릭 (GE)
세계 최대의 전기 소비 기구 제조사 GE
'99%의 땀과 1%의 영감'으로 만들었다던 에디슨의 백열전구는 GE의 뿌리였습니다.
이를 시작으로 가전제품, CT, MRI, PET, 초음파, 자동차엔진, 가스터빈, 원자로, 비행기 엔진, 조선 ...
우리 일상에서 부터 방송사, 자동차, 항공기, 조선, 발전소 까지
다우존스지수의 원년 멤버였고, 무려 111년간 다우 지수에 남아 있었던 유일한 기업. GE
경영의 신, 젝 웰치와 함께 20년
'20세기 최고의 경영자' 젝 웰치.
그는 1981 년부터 2001년까지 20년간 GE를 이끄는 동안 2,000건에 달하는 과감한 인수합병을 하며 GE의 시가총액을 140억 달러에서 3700억 달러로 성장 시켰습니다.
그는 회사의 경영 방식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워크아웃, SWOT분석, 전략계획 (Strategic Planning), 6시그마 등 이름만 들어도 아는 오늘날의 경영 기법들은 GE의 유산입니다.
실적이 안 좋은 사업, 사람은 정리하고 효율적인 부분만 살려 주주의 가치를 극대화한 그의 경영 방식은 경영학 교재로 쓰일 정도로 인정 받았습니다.
⚰️ GE, 132년 역사를 뒤로 하고 여기 잠들다.
젝 웰치의 성공요인은 과감한 구조조정과 금융 부분의 확장이라고 보는 사람이 많습니다.
GE 제품을 할부로 살 수 있도록 도와주던 GE 캐피털은 웰치의 은퇴 시점에 GE 전체 매출의 40%, 이익의 60%를 차지했습니다.
그러나 2008년 미국의 금융위기를 맞아 GE 캐피털은 그룹 전체를 흔드는 부실 덩어리가 되었고 그것이 GE 몰락의 시작이었습니다.
주주의 가치! 를 외치던 GE의 주가도 1/5 로 줄어 2018년 다우지수를 구성하던 종목에서 '퇴출'되었습니다.
결국, 지난 4월 GE는 세 개의 회사로 분할 되어 역사 속에서 사라졌습니다.
🎯132년 GE가 잊었던 GE의 진짜 얼굴
GE의 몰락의 시작은 단기 이익을 향한 근시안적 집착 때문입니다.
보기 좋은 '숫자'를 만들어 내던 GE캐피털은 2016년 중국 하이얼에 GE 가전사업을 넘기고 2017년 사업의 뿌리인 전구사업, 2018년 철도사업, 조명사업 등
주요 사업을 줄줄이 청산하게 하였습니다.
젝 웰치의 GE캐피털은 GE의 창업 정신이며, 100년 이상 이어온 발명가 정신. 즉, 기술과 생산력에 대한 가치를 잊게 했습니다.
효율성을 바탕으로 한 여러 방법들은 GE가 더 이상 기술 기반의 제조업에서 성장할 수 없도록 하였습니다.
🎯필패(必敗)를 부르는 성공극장(成功劇場)
젝 웰치의 후임, 제프리 이멜트 CEO 역시 GE 몰락의 불길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그는 GE 성공의 역사를 지속시키고, 나아가 젝 웰치를 능가는 CEO가 되고 싶었습니다.
그는 '도전적이고 긍정적인 사람'이라서 '안 된다'라는 말을 듣지 못했습니다. 누구도 그의 결정에 부정적 의견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그에게 듣기 좋은 말을 하던 사람들은 단기 실적을 위해 거짓 성공을 보여주고 그 사람들의 가까운 사람들도 이를 도왔습니다.
그의 성공극장은 16년이나 이어졌고, GE는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고 있었습니다.
곳곳에 뿌려진 젝 웰치의 씨앗들
단기 실적 중심의 과감한 구조조정.
사톤사이퍼 항공사에 침투한 GE의 씨앗들은 보잉으로 옮겨갔습니다.
보잉은 엔지니어들의 '안된다'라는 이야기를 듣기 싫어 그들을 경영 일선에서 배제하고, 내부 고발자를 해고했으며, 비용 절감을 위해 주요 부품을 외주로 돌렸습니다.
효율 중심의 숫자 경영을 하던 '보잉'은 스스로 배제했던 그 '기술' 때문에 하루가 멀다하고 주요 신문에 사고 소식으로 주주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헤밍웨이는 '해는 다시 떠오른다'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파산은 서서히, 그러다 갑자기 온다'
.
.
.
지금 우리는, 우리의 핵심 가치를 어디에 두고 있습니까?
우리는 왜 많은 성공 스토리를 들으며 장점을 따라하려고만 할까요?
때로는 타산지석이 무엇보다 큰 가르침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해당 코너를 기획했습니다.
혹시 궁금한 기업이나, 타산지석으로 삼을 나누고 싶은 좋은 사례가 있으시면 연락 주세요.
normal@sj.co.kr / 02-2225-0609 (2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