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혜주 《결박의 패턴들》
〈결박의 패턴들〉은 미래에 대한 무분별한 낙관과 사유의 포기가 내포한 위험성에 주목하는 작업이다. 작가는 최근 생명정치를 둘러싼 기술과 사회적 현상에 시선을 두며, 우리 사회가 조장하는 ‘미래의 대안’들이 품고 있는 망상적 태도를 비판한다.
이는 작품 속에서 자본 시스템에 예속되어 복제되고 증폭된 생명들의 형상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생명은 풍요 대신 잉여, 확신 대신 결박의 상태로 드러나며, 연속된 같은 패턴으로 도배된 공간으로 펼쳐진다. 벽면을 덮은 이미지는 벼와 밀의 도상이 무한히 이어지며 하나의 논밭 풍경을 이루고, 우거진 줄기들 사이에 배치된 상징적 형상들이 서로 다른 차원의 종과 생태가 뒤엉킨 다층적 세계를 묘사한다.
또한 작가는 자본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농업의 시작을 전쟁의 신 아테나의 탄생 신화에 빗대어, 동족살해·자가증식·무성생식이 지닌 자기파괴적 모순과 연결을 시도한다. 이렇게 전시장 곳곳에 구현된 분절되고 확장된 형상들은 결국 하나의 원본으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는 허상을 드러내며, 그 속에서 항상 깨어 있으려는 시도가 여전히 필요함을 이야기한다.
2025. 10. 24. ~ 11. 6.
화-일 13:00-18:00 (월요일 휴관)
쉬 (shhh)
인천 중구 제물량로166번길 5, 2층
후원
인천광역시, 인천문화재단
본 전시는 인천광역시와 (재)인천문화재단의 후원을 받아 2025 예술창작집중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개최되는 사업입니다.
전혜주는 2014년 베를린 국립예술대학(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에서 아트 앤 미디어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2015년 같은 학교에서 마이스터슐러 학위를 취득했다. 수집된 물질, 이미지, 소리를 활용한 시청각 미디어 작품을 만들고 있다. 생태계의 횡단성과 순환성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하여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 중에 존재하며 전지구적으로 이동하는 미립자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작가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거나 조작하여 자연 및 인공의 입자들을 빛과 파동의 형태로 재현함으로써, 현재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가지 생태적 발자국을 시각화하려고 한다. 최근에는 음향 무기나 원자력발전 원료와 같이 쉽게 드러나지 않는 영역에서 작동하고 있는 기술들에 주목하여, 이러한 기술의 특성을 공기 중에 떠다니는 꽃가루에 비유하는 기계장치와 아카이브 작업을 발표했다. 작가는 미시적 차원에 존재하는 대상에 집중함으로써 보이지 않는 움직임에 따른 작용과 그것이 인간의 몸으로 침투하여 사람들의 생각을 지배하게 되는 현상을 드러내고자 한다.
Hyejoo Jun, Patterns of Confinement
Patterns of Bondage examines the dangers embedded in reckless optimism about the future and the abandonment of critical thought. Focusing on recent technological and social phenomena surrounding bio-politics, Hyejoo Jun questions the delusional attitudes underlying the so-called “alternatives for the future” promoted by contemporary society.
In her works, this critique takes shape through the imagery of lives replicated and amplified within the logic of capital. Here, life is not a symbol of abundance but of excess; not of freedom but of constraint—unfolding within a space wallpapered in repeating patterns. The wall imagery forms an infinite field of rice and wheat motifs, while symbolic figures interspersed among the dense stalks depict a multilayered world where different species and ecologies collide.
Jun also draws an allegorical parallel between the origins of capital—agriculture—and the myth of Athena’s birth, the goddess of war, to explore the self-destructive contradictions of fratricide, self-replication, and asexual reproduction. The fragmented and proliferating forms that fill the exhibition ultimately reveal the illusion of an image that can never escape its original source, suggesting the persistent need to remain awake within that illusion.
October 24 – November 6, 2025, 1–6 pm (closed on Mondays)
shhh
2F, 5 Jemullyang-ro 166beon-gil, Jung-gu, Incheon
Supported by Incheon Metropolitan City,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This exhibition is part of the 2025 Focused Art Production Support Program, organized with the support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Hye Joo Jun majored in Art and Media at Berlin University of the Arts and received her Master’s degree and Meisterschuler qualification. Jun creates audiovisual media work using various found objects, images, and sounds. Her interest in the transversality and circularity of ecosystems draws her to examine the materials that drive them, namely the microscopic particles that exist in the air we breathe regularly. Through media renderings and manipulations, she visualizes this ecological footprint by converting natural and artificial particles into forms of lights and waves. By honing in on microscopic matter, she attempts to reveal invisible subjects and their influence as they permeate human bodies and dominate our thou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