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경 《그랬던 것처럼》
도시 까치는 전봇대 변압기 사이에서 외부의 위협을 피하고, 봄이면 알을 낳아 새끼를 기르기 위해 겨울 내내 나뭇가지를 모아 둥지를 쌓는다. 그러나 고압 전류가 흐르는 산업 기계 사이에 자리한 새집은 인간의 생활 영역인 도시를 불태울 잠재적 위험을 안고 있어, 언제든 철거될 운명에 놓인다. 이 비좁은 틈새에서는 인간과 까치, 그리고 새끼를 노리는 또 다른 생명체가 맞닿아 나날이 투쟁하고, 불타고, 소멸하며 동시에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는 순환이 이루어진다.
이번 전시는 까치 보은 설화를 오늘의 일상 맥락 안에서 다시 쓴다. 오랜 설화의 단선적 교훈은 까마귀·까치·인간의 시선으로 분화되며, 윤리의 견고함을 흔든다. 전시 중심작 <까마귀 설화>는 설화 속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뱀이나 구렁이와 같은 자리에서 이야기를 전개한다. 작품에서 화자인 까마귀는 가해자인지 피해자인지 불분명하며, 인간의 언어와 동시에 인간이 헤아릴 수 없는 동물의 소리로 자신을 드러낸다. 그 안에서 인간에게 죽임을 당한 동료 새에 대한 복수의 당위를 제시하는 이성과 상실에 대한 절규가 동시에 공명한다.
이 설화의 무대는 까치가 매일 가지를 쌓아 올리는 변압기 틈, 한 뼘 남짓한 공간이다. 그 작은 틈에서 생존의 우연과 운명의 불가해함이 교차하고, 지역의 역사와 신화적 시간이 겹친다. 《그랬던 것처럼》은 그 틈을 따라 드러나지 않고, 말해지지 않은 기억 속에서 공동의 윤리를 살펴보는 시간을 제시한다.
2025. 9. 13. – 28. 13:00–18:00 (월요일 휴관)
주최/주관: 쉬 shhh
정재경은 도시 일상에서 마주하는 옳고 그름의 경계가 모호한 상황들을 탐구하며, 이를 통해 형이상학적 개념으로서의 윤리를 경험적 차원으로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해오고 있다. 최근 참여 전시로는 《미술원, 우리와 우리 사이》(국립현대미술관 청주, 2021), 《경계와 신호》(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1), 《서스펜스의 도시, 워치 앤 칠 3.0》(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23), 《방으로 간 도시들》(서울시립미술관 SeMA 벙커, 2023), 《2086: 우리는 어떻게?》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2023), 《피버 드림》(바르가스미술관/파나마현대미술관/앱솔루트스페이스, 2024) 등이 있다.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 서서울미술관, 정부미술은행, 인천미술은행 등에 소장되어 있다.
Jaekyung Jung, As If It Were
Urban magpies take shelter from external threats between utility pole transformers, and in spring they lay eggs and raise their young, having spent the winter collecting branches for their nests. Yet nests placed among industrial machines with high-voltage currents hold the latent risk of igniting the city—a human living space—and are therefore always at risk of removal. In this narrow gap, humans, magpies, and other creatures preying on the young come into contact, struggling, fading, and simultaneously giving rise to new life in a continuous cycle.
This exhibition, “As If It Were,” reinterprets the magpie’s tale of returning a favor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daily life. The story’s long-standing, linear moral fractures into the perspectives of crow, magpie, and human, unsettling ethical certainty. The central work, “Crow Tale,” unfolds from the position of a being akin to the snake or python in the original narrative, threatening human survival. The crow, as narrator, is neither clearly perpetrator nor victim and expresses itself through both human language and animal sounds beyond human comprehension. Within this voice, the logic justifying revenge for a fellow bird killed by humans resonates alongside the cry of loss.
The stage for this narrative is the narrow space between transformers where the magpie stacks its branches daily, barely more than a handspan wide. In this confined space, the contingency of survival intersects with the unknowable forces of fate, entwined with local history and mythic time. “As If It Were” invites reflection on the ethics of togetherness through these spaces, in memories that remain hidden and moments left unspoken.
September 13 – 28, 2025, 1–6 pm (closed on Mondays)
Organizer: shhh
Jaekyung Jung explores ethics as a metaphysical concept through contradictory situations in everyday urban life. Recent exhibitions include “Art(ificial) Garden, The Border Between U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Cheongju, 2021), “Watch and Chill 3.0: Streaming Suspense” (MMCA, Seoul, 2023), “2086: Together How?” (Korean Pavilion, 18th Venice Architecture Biennale, Venice, 2023), and “Fever Dream” (Vargas Museum / MAC Panama / Absolute Space, Manila, Panama, Tainan, 2024), among many others. His works are held in the permanent collections of MMCA, the MMCA Government Art Bank, Seoul Museum of Art, and the Incheon Art 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