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도기 보나 공식 서적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2014년에 나온 "Toki Pona: The Language of Good"(pu)와 2021년에 나온 "Toki Pona Dictionary"(ku)가 있습니다. pu는 2014년 당시 손야의 도기 보나 사용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ku는 커뮤니티의 도기 보나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런 과정에서 몇 가지가 바뀌었습니다. 강의 본문에서는 변경사항을 모두 반영했지만, 아직까지 pu의 방식을 쓰는 사람들도 있으므로 7장에서는 pu식 도기 보나와 ku식 도기 보나를 비교해보겠습니다.
pu에서는 "lon"은 "~에 위치한, ~에 존재한(전치사), 위치하다, 존재하다"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ku에서는 lon이 "~에 관하여"와 "예"를 뜻할 수도 있습니다.
pu식:mi lon tomo.(난 집에 있다.) mi toki e ijo pi jan pona mi.(난 내 친구에 대해 이야기한다.) sina moku ala moku e pan? - moku.(너 빵 먹어? - 응.)
ku식:mi lon tomo.(난 집에 있다.) mi toki lon jan pona mi.(난 내 친구에 대해 이야기한다.) sina moku e pan anu seme? - lon.(너 빵 먹어? - 응.)
pu에서는 la 앞에 문장이 올경우 문장과 la 사이에 컴마를 찍는게 원칙이었습니다. 그러나 ku에서는 컴마를 찍는 것은 자율이 되었습니다.
pu식:mi moku e telo nasa, la sijelo mi li kama ike.(술을 마시면 내 몸이 안 좋아진다.)
ku식:mi moku e telo nasa, la sijelo mi li kama ike./mi moku e telo nasa la, sijelo mi li kama ike./mi moku e telo nasa la sijelo mi li kama ike.(술을 마시면 내 몸이 안 좋아진다.)
pu에서는 li를 활용한 중문은 주어가 mi와 sina일 때는 불가능하고 대신 문장을 분리했습니다. 그러나 ku에서는 주어가 mi와 sina라도 "mi/sina + 서술어1 +li + 서술어2" 형식으로 중문을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pu식:mi moku e pan. mi lukin e sewi.(나는 빵을 먹고 하늘을 본다.)
ku식:mi moku e pan li lukin e sewi.(나는 빵을 먹고 하늘을 본다.)
pu의 조동사는 "wile, lukin, sona, kama, ken"이 전부였으나 ku에서는 "alasa(~하려 노력하다), open(~하는 것을 시작하다), pini(~하는 것을 끝내다), tawa(~하러 가다)"가 추가되었습니다.
pu식:mi tawa tan ni: mi wile alasa e kala.(나는 낚시하러 간다.)
ku식:mi tawa alasa e kala.(나는 낚시하러 간다.)
pu에서는 "akesi"에 "귀엽지 않은 동물"이라는 뜻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ku에서는 "귀엽지 않은 동물"이라는 뜻은 삭제되었습니다.
pu식:ona li akesi.(그것은 귀엽지 않은 동물이다.)
ku식:ona li akesi.(그것은 양서류이다.)/ona li soweli pi suwi ala.(그것은 귀엽지 않은 동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