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직접목적어 표시
ante:다른, 기타의, 바꾸다, 변환하다, 대안의
lukin:보다, 조사하다, 읽다
moku:음식, 먹다, 마시다
toki:말하다, 언어, 의사소통하다
kute:듣다, 귀, 주의를 기울이다
pu:도기 보나 공식 서적 "Toki Pona: The Language of Good"을 보다, 도기 보나 공식 서적 "Toki Pona: The Language of Good"
pona:좋은, 단순성, 고치다, 좋게 하다, 좋게, 잘
ike:나쁜, 악한, 복잡함, 악, 나쁘게 하다
pan:곡물, 빵, 곡물로 만든 음식
suno:태양, 빛
mun:달, 밤 하늘에 있는 물체
mute:많은, 많이, 매우
lili:작은, 어린, 적게, 작게
pali:하다, 만들다, 일
ilo:기계, 도구
ijo:것, 물건, 어떤것
이번에 알아볼 것은 동사와 부사입니다. 먼저 동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냅니다. 동사는 문장에서 서술어의 역할을 합니다. 동사를 활용한 가장 기본적인 문장의 구조는 "주어 + li + 동사(주어가 동사하다)"입니다. 예를 들어, "ona li toki(그는 말한다.)"와 같은 문장이 있습니다. 하지만, 동사는 그냥 동사만 쓰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보통 동사는 직접목적어를 동반합니다. 직접목적어가 쓰일 경우 직접목적어 앞에 e를 붙여 "주어 + li + 동사 + e + 직접목적어(주어는 목적어를 동사한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도기 보나에는 간혹 문장을 분리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네가 빵을 먹는 것을 본다."는 어떻게 말할까요? 이 때 도기 보나는 문장을 다음과 같이 나눕니다. "mi lukin e ni: sina moku e pan.(직역하면 나는 이것을 본다: 너는 빵을 먹는다.)"와 같이 씁니다.
도기 보나에는 시제가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mi lukin e mun."은 "나는 달을 본다.". "나는 달을 볼 것이다.". "나는 달을 봤다." 모두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시제 표현은 할 수 있긴 하지만 이 방법은 10강에서 다루겠습니다.)
0강에서 언급했듯이, 도기 보나의 단어들은 품사가 자유롭습니다. "말하다"라는 뜻의 "toki"는 명사로 쓰면 "말, 언어"를 뜻할 수도 있고, "알다"라는 뜻의 "sona"는 형용사로 써서 "jan sona(아는 사람, 지식인)"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알아볼 것은 부사입니다. 부사는 서술어를 수식하는 품사입니다. 도기 보나는 후치수식이기 때문에 부사도 마찬가지로 서술어 뒤에 옵니다. 예를 들어 "너는 언어학을 잘 안다."는 "sina sona mute e sona toki."라고 할 수 있습니다.
mi pona e ilo.(나는 기계를 고친다.)
sina lukin e pan.(너는 빵을 본다.)
mi moku e telo.(나는 물을 마신다.)
ona li pali mute.(그는 일을 많이 한다.)
1.다음 문장을 해석해보세요.
mi sona e sina.
mi moku e pan suli.
sina pu.
suno li lukin e mi.
ona li pali lili.
mi toki e ni: jan pona mi li pona e ilo.
2.다음 문장을 작문해보세요.
너는 작은 빵을 먹는다.
그는 도기 보나를 잘 말한다.
나는 도기 보나 공식 서적을 본다.
우리는 달을 본다.
너는 일을 적게한다.
그는 내가 일을 하는 걸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