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 노트의 내용은 보통 도기 보나 공식 문법서에는 없는 내용들이 많습니다. 즉 이 연구 노트의 내용은 부정확하거나 틀린 내용일 수 있습니다.
도기 보나를 능숙하게 하시는 분이면 모두 pi 구문을 만드는 법을 아실 것입니다. 어느 날, pi 구문 안에 pi 구문을 넣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의문이 늘었습니다. 이에 대한 제 생각은 pi 구문 안에 pi 구문을 넣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 까닭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강좌에서 설명한 pi의 사용법을 보겠습니다. "피수식어 + 수식어1 + 수식어2" 형태일 때 "수식어2"가 "수식어1"을 수식하고 "수식어1 + 수식어2"가 피수식어를 수식할 때 우리는 수식어를 분리하기 위해 pi를 사용합니다. 우리는 여기서 "수식어2"에 주목해야합니다. "수식어2"는 꼭 한 개의 단어일 이유는 없습니다. 즉 우리는 "수식어3 + 수식어4"를 "수식어2"를 대신하여 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이면 "피수식어 + pi + 수식어1 + 수식어3 + 수식어4"의 형태인데 "수식어1"은 "수식어3 + 수식어4"의 피수식어이므로 이 둘을 구분하기 위해 pi를 삽입하여 "피수식어 + pi + 수식어1 + pi + 수식어3 + 수식어4"와 같이 pi 구문을 넣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pi 재귀는 원한다면 무한대로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