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a:아니다, 아닌, 반대의 아무것도 없는
lape:자다, 잠, 수면
kalama:듣다, 소리
musi:즐기다, 즐거운, 즐거움
toki:말하다, 말, 언어, 안녕!(감탄사)
suwi:달콤한, 귀여운
도기 보나에서 부정문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서술어 뒤에 "ala"를 붙여 "주어 + li + 서술어 + ala" 형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도기 보나의 명령문은 요청의 의미도 지닙니다. 도기 보나에서 명령문은 "o"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의문문은 기본적으로 "o + 서술어" 구조입니다.
"o"는 다른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o"는 누군가를 부르는 용도로도 쓸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명사 + o, + 주어 + li + 서술어" 구조입니다. 그럼, 누군가를 부르면서 명령문을 쓸 때는 어떻게 할까요? 간단합니다 "명사 + o + 서술어"와 같은 구조로 쓰면 됩니다. 예를 들어. "안나야, 밥 먹자!"는 "jan Ana o moku!"입니다.
또한 "o"를 사용하여 의무, 소망등을 나타낼 수도 있는데 이때는 "주어 + o + 서술어"와 같은 형태로 쓸 수 있습니다. "mi o pail mute."라고 하면 "나는 일을 많이 해야한다."라는 뜻이 될 수 있습니다.
mi moku ala e kili.(나는 과일을 먹지 않는다.)
sina ken ala pona e ilo.(너는 기계를 고칠 수 없다.)
o kama sona!(공부해!)
jan lili o, sina li suwi mute!(꼬마야, 넌 정말 귀엽구나!)
jan pona mi o kute e kalama musi ni!(친구야, 이 노래 좀 들어봐! kalama musi:음악, 노래)
sina o moku pona!(식사 맛있게 하세요!)
1.다음 문장을 해석해보세요.
ona li ken ala moku e pan.
sina sona ala toki e toki pona.
o lukin e ni!
mama mije o, mi wile jo e ni.
mi o tawa tomo sona.
2.다음 문장을 작문해보세요.
나는 돈이 많이 없다.
별을 봐!
나는 기계를 고치는 법을 모른다.
꼬마야, 귀여운 동물을 보렴!
나는 밥을 먹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