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na:좋은, 단순한, 단순성
ike:나쁜, 악한, 부정, 악
suli:큰, 중요한, 성인의
lili:작은, 어린
linja:긴, 길고 구부러지는 것(머리카락, 줄 등등)
mute:많은, 양
mije:남성, 남성의
meli:여성, 여성의
nasa:이상한, 미친
tomo:집, 공간
이번에 알아볼 것은 형용사입니다.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고, 문장의 서술어 역할을 합니다. 도기 보나는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위치하는 후치수식 언어입니다. 즉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도 명사 뒤에 형용사가 옵니다. 예를 들어, "큰 집"은 "suli tomo"가 아니라 "tomo suli"입니다. 명사를 꾸며줄 수 있는 건 형용사만 있지는 않습니다. 명사도 다른 명사를 꾸며줄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주로 "소유"의 의미를 지닙니다. "tomo mije"라고 하면 "남자의 집"이 됩니다. 이는 대명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tomo sina"는 "너의 집"이 됩니다. 도기 보나는 이를 활용한 관용구도 있습니다. 3강에서 나오지 않은 관용구는 부록에서 정리할테니 일단은 몇 가지만 알아봅시다.
jan pona:친구(직역하면 좋은 사람)
telo nasa:술(직역하면 이상한 물)
tomo telo:화장실(직역하면 물의 공간)
형용사를 활용하면 단복수나 성별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먼저, 복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명사 뒤에 "많은"이라는 뜻인 "mute"를 붙이면 됩니다. "jan"은 "사람"과 "사람"들 모두를 의미하지만, 복수가 중요할 경우 "jan mute"라고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성별은 남성일 경우 "mije"를, 여성일 경우 "meli"를 붙이면 됩니다. "mama"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포괄하는 "부모"라는 개념입니다. 성별이 중요할 경우 "mama mije", "mama meli"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명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mi"와 "sina"는 기본적으로 1인칭과 2인칭을 포괄하지만 복수라는게 중요할 경우 "mi mute", "sina mute"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주어가 "mi mute"나 "sina mute"이면 주어와 서술어 사이에 li가 들어갑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어른이다."는 "mi mute jan suli."가 아닌 "mi mute li jan suli."입니다. "ona"도 마찬가지입니다. "ona mije", "ona meli", "ona mute"와 같이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도기 보나의 정신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듯이, 도기 보나는 복잡한 표현을 지양하는 언어입니다. 대부분의 도기 보나 화자들은 꼭 필요하지 않으면, 복수나 성별 표현을 하지 않습니다.
이제 형용사를 활용한 문장을 알아보겠습니다. 형용사를 활용한 문장 구조는 "주어 + li + 형용사(주어는 형용사하다)"입니다. 주어 자리에는 당연히 형용사가 수식하는 명사구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술은 나쁘다."는 "telo nasa li ike."입니다. 여기서 주어는 "telo nasa"이고 형용사는 "ike"입니다.
ni li telo nasa.(이것은 술이다.)
mama mi li pona.(내 부모님은 좋으시다.)
ona li jan lili.(그는 어린아이이다.)
mi jan suli.(나는 어른이다.)
1.다음 문장을 해석해보세요.
jan pona mi li mute.
tomo mi li suli.
ona li jan suli.
tomo ni li linja.
2.다음 문장을 작문해보세요.
내 친구는 어른이다.
그의 집은 작다.
그녀는 내 어머니이다.
너는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