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에서 우리는 도기 보나를 로마자로 표기했습니다. 도기 보나는 음소가 적기 때문에 많은 문자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러한 많은 문자 중 몇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강좌를 읽으시는 분들은 대부분 한글을 능숙하게 읽으실 겁니다. 그래서 가장 먼저 알아볼 문자는 한글입니다. 한글 표기법은 표준적인 방법이 없어서 흔히 세 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ㄱㄷㅂㅓ식"과 "ㄱㄷㅂㅔ식"과 "ㅋㅌㅍㅔ식"입니다. 일단 세 가지 방식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한글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음:ㅁ,ㄴ,ㅅ,ㄹ, 반모음ㅣ[j], 반모음 ㅜ/ㅗ[w]
모음:ㅏ,ㅣ,ㅗ,ㅜ
먼저 "ㄱㄷㅂㅓ식"은 로마자에서 "k, t, p, e"라고 적는 소리를 "ㄱ, ㄷ, ㅂ, ㅓ"로 적는 방식으로 많은 사람들이 도기 보나를 한국어로 적을 때 사용합니다. "ㄱㄷㅂㅔ"식은 "ㄱㄷㅂㅓ"식과 자음 표기는 동일하나 "e"를 "ㅔ"로 적습니다. 주로 나무위키에서 이러한 표기법을 씁니다. "ㅋㅌㅍㅔ"식은 "ㄱㄷㅂㅔ"식과 달리 "k, t, p"를 거센소리로 적는 방식으로 꽤 많은 사람들이 쓰는 방식입니다.
로마자:mi ken toki e toki pona.
ㄱㄷㅂㅓ식:미 건 도기 어 도기 보나.
ㄱㄷㅂㅔ식:미 겐 도기 에 도기 보나.
ㅋㅌㅍㅔ식:미 켄 토키 에 토키 포나.
도기 보나를 한자로도 표기할 수 있습니다. 도기 보나는 120개의 적은 단어로 이루어져있으므로 한자로도 충분히 표기할 수 있습니다. 한자 표기법은 흔히 중국식과 일본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중국식과 일본식의 차이는 먼저 같은 단어에 다른 한자를 쓰는 경우가 있고 중국식은 간체자, 일본식은 신자체를 씁니다我 . 또한 일본식은 pi나 li와 같은 단어를 가나를 사용하여 음으로 표기합니다.
로마자:mi ken toki e toki pona.
중국식 한자:我能言把言好.
일본식 한자:私能言え言良.
지금까지는 도기 보나를 표기하는 기존의 문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도기 보나를 위해 새로 만들어진 문자들도 있습니다.
가장 먼저 알아볼 것은 시더런 보나(sitelen pona)입니다. 시더런 보나는 "좋은 글자"라는 뜻으로 손야가 만든 상형문자입니다. 시더런 보나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수식어를 나타내는 글자를 피수식어를 나타내는 글자 위나 안에 적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고유형용사를 적는데 카르투슈(고대 이집트에서 글을 쓸 때 파라오의 이름 주변에 치던 곡선)을 사용합니다. 카르투슈 안에 적혀있는 글자를 읽을 때는 각 단어의 첫 소리를 따서 읽습니다. 예를 들어 카르투슈 안에 "esun, pana, esun, nena"가 적혀있으면 "Epen"이라고 읽으면 되는 것입니다.
로마자:mi ken toki e toki pona.
시더런 보나:
그 다음으로 알아볼 것은 시더런 시더런(sitelen sitelen)입니다. 시더런 시더런은 "그림 글자", 즉 상형문자라는 뜻으로 조너슨 게이블이 마야문자에 영감을 받아 만든 상형문자입니다. 시더런 보나의 특징은 표음 문자이자, 표어 문자이고 문자 체계가 복잡하다는 것입니다. 시더런 시더런을 자세히 배워보고 싶으신 분들은 https://blog.naver.com/sideorder/222120153500 이 링크로 들어가시면 배우실 수 있습니다.
로마자:mi ken toki e toki pona.
시더런 시더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