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 노트의 내용은 보통 도기 보나 공식 문법서에는 없는 내용들이 많습니다. 즉 이 연구 노트의 내용은 부정확하거나 틀린 내용일 수 있습니다.
도기 보나의 공식 서적인 pu에는 한 전치사가 두 개의 목적어를 취하는 것에 대한 설명이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즉 이는 "전치사 + 명사1 + en + 명사2" 구조의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얘기였습니다. 하지만 공식 서적에는 en은 주어를 연결하는 데만 쓰인다고 정의했습니다. 그러나 도기 보나의 en 용법 중에는 주어에서만 쓰이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저는 다음과 같은 이론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격(case)이란 해당 명사가 문장에서 어떤 통사적 기능을 하는지 표현해 주는 것 입니다. 저는 여기서 도기 보나의 격을 주격과 대격 2가지의 형태로 분류했습니다. 그러나 이 둘은 형태적으로는 구분되지 않습니다.
Ex) kasi li lukin e kasi.
여기서 이 두 kasi는 다른 격이지만 형태적으로는 동일합니다. 다른 단어들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en을 사용하는 용법을 제시해보겠습니다.
Ex) sina en ona li moku e pan = sina en ona la ona li moku e pan.
위 두 문장은 동일합니다. 그러나 sina와 ona가 주어가 아님에도 en으로 연결되고 그것이 정문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를 기반으로 en은 주격을 연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격의 경우도 보겠습니다.
Ex) mi moku e pan en kili.
위 문장의 경우 비문입니다. 따라서 en은 대격을 연결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장은 가능합니다.
Ex)pan en kili la mi moku.
즉 la로 도치된 명사는 주격의 형태를 취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jan Sonja에게 "전치사" + "명사1" + en + "명사2" 구조가 가능한지 질문했을 때, jan Sonja는 불가능하다고 답했습니다. 즉 전치사의 목적어는 대격을 취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