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기 보나는 137개의 단어가 전부인 최소주의 언어입니다. 하지만, 가끔 유저들 사이에서는 공식 사전에서 찾을 수 없는 단어가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단어들을 "non-pu words"라고 합니다. 지금쯤 이러한 사실을 아시게 된 여러분은 배신감과 충격을 느꼈을 수도 있습니다. "단어가 137개뿐이라 시작했는데, 저 비공식들을 다 외워야 해?"와 같이 절망하면서 말이죠. 하지만, 비공식단어를 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애초에 비공식 단어는 디스코드 등에서 계속 생기기 때문에 다 외울 수도 없습니다. 저도 디스코드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비공식 단어를 모르더라도 상관없습니다. 그저 "이런게 있구나."하는 마음으로 3장을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비공식 단어를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t-pjAgZDyKPXcCRnEdATFQOxGbQFMjZm-8EvXiQd2Po/edit?usp=sharing(nimi ale pona:공식과 비공식이 모두 수록된 사전)
비공식 단어는 크게 "pre-pu, post-pu"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 "pre-pu"는 2014년 공식 서적이 출판되기 전까진 공식으로 쓰이던 단어지만 손야가 공식 서적을 출판하면서 빠진 단어들입니다. 대표적인 "pre-pu" 단어들은 "수치, 죄책감"을 뜻하는 "apeja", "갈색, 회색"을 뜻하는 "kapesi", "늙은, 오랜된"을 뜻하는 "majuna"등이 있습니다.
"post-pu"는 2014년 공식 서적 출판 후 만들어진 단어로, 주로 디스코드 등 특정 커뮤니티에서 쓰이고 농담으로 만들어진 단어들이 꽤 많습니다. 대표적인 "post-pu" 단어들은 "피자"를 뜻하는 "mulapisu", "네"를 뜻하는 "oke", "효과적인, 유용한"을 뜻하는 "pomotolo", "조지 루카스처럼 행동하여 자신의 기존 창작물을 더 안좋게 만들다"를 뜻하는 "yupekosi"등이 있습니다.
jan majuna li lukin e len kapesi.(노인이 회색 천을 본다.)
mi pilin apeja tan ni: sina pilin ike.(나는 네가 기분이 좋지 않기 때문에 죄책감을 느낀다.)
oke. ona li pomotolo.(그래 그거 유용해.)
mi ken ala tawa tomo sina tan ni: tenpo kama la mulapisu li kama.(난 이따가 피자가 올 거라 네 집에 갈 수 없어.)
lipu sina li pona mute. o yupekosi ala!(네 책은 매우 좋아. 더 안좋게 만들지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