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wa:~로, ~를 위해, ~로 움직이는(전치사), 가다, ~를 움직이다
lon:~에 관하여, ~에 위치한, ~에 존재한(전치사), 위치하다, 존재하다, ~를 현실로 만들다, 예
kepeken:~를 이용하여, ~를 사용한(전치사)
tan:~에 의해, ~부터, ~때문에(전치사)
sama:~같은, ~처럼(전치사), 같은, 비슷한, 동일한(형용사)
poka:옆, 주위
anpa:아래, 밑, 내리다, 낮추다
insa:안, 중심, 내부의
monsi:뒤, 엉덩이, 뒤의, 후방의
sewi:높은, 위, 신성한, 신의
pana:주다, 전달하다, 내보내다, 전달
wile:~하기를 원하다, ~할 필요가 있다, ~해야한다, 소망, 소원
이번에는 전치사를 알아보겠습니다. 전치사는 명사 앞에 쓰이는 품사입니다. 전치사를 쓰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mi moku e pan kepeken ilo moku.(나는 식기로 빵을 먹는다.)"같이 "주어 + li + 서술어 + 전치사 + 명사"와 같이 쓰는 것입니다. 또한 전치사는 서술어 없이 단독으로 "mi tan ma Anku(나는 한국 출신이다 *ma Anku는 한국)"처럼 쓸 수도 있습니다.
전치사 중 "lon"과 "tawa"는 "mi lon.(나는 존재하다)"와 "mi tawa.(나는 간다)"처럼 목적어를 쓰지 않고 "존재하다", "가다"라는 동사로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lon"과 "tawa" 뒤에 목적어가 올 경우 "~를 현실로 만들다", "~를 움직이다"로 뜻이 바뀝니다. 예를 들어, "mi tawa e tomo."는 "나는 집으로 간다."가 아니라 "나는 집을 움직인다."가 됩니다.
그럼, "~에 존재하다", "~로 가다"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위에서 언급했던 사실을 떠올려봅시다. 전치사는 서술어 없이 단독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즉 "~에 존재하다", "~로 가다"를 표현하기 위해선 전치사를 쓰는 것처럼 "주어 + li + lon/tawa + 명사"로 쓰면 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집으로 간다."는 "mi tawa tomo."입니다. "mi tawa e tomo."가 아닙니다.
전치사 "lon"은 다른 방법으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먼저 "~에 관하여"라는 의미로 lon을 쓸 수 있습니다. "mi toki lon jan pona mi."는 "나는 내 친구에 대해 이야기한다."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에 관하여"를 말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고, "lon"을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러므로 "~에 관하여"를 표현하는 방법을 몇 가지 더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mi toki lon jan pona mi."와 같은 문장은 "mi toki e jan pona mi."라고도 할 수 있고, "mi toki e ijo pi jan pona mi."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pi는 9장에서 다루겠습니다.)
또한 "나는 도기 보나를 한다."라는 말을 "mi toki lon toki pona."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전치사 "kepeken"을 사용하여 "mi toki kepeken toki pona."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알아볼 것은 전치사로 많이 착각하는 단어들입니다. 이러한 단어들은 "poka, anpa, insa, monsi, sewi"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의미 때문에 이러한 단어를 전치사로 착각하지만, 이 단어들은 전치사가 아니기 때문에 "lon"과 같이 써야합니다. 예를 들어, "내 친구가 집 안에 있다."는 "jan pona mi li insa tomo."가 아니라 "jan pona mi li lon insa tomo."입니다.
sina lukin e mun kepeken ilo seme?(너는 어떤 장비로 달을 보니?)
jan pona mi li pana e sona tawa mi.(내 친구가 나를 가르친다. *pana e sona는 가르치다라는 뜻으로 자주 쓰입니다. 이 문장을 직역하면 "내 친구는 내게 지식을 준다"입니다.)
mi tawa e ilo.(나는 기계를 움직인다.)
mun li lon sewi.(달은 위에 있다.)
mi tawa tomo sona.(나는 학교로 간다.)
mi pilin lon toki pona.(난 도기 보나에 대해 생각한다.)
1.다음 문장을 해석하시오
ona li tan ma Tosi.(ma Tosi는 독일)
mama mi li kepeken toki Anku.(toki Anku는 한국어)
mi tawa tomo mi.
jan pona sina li lon insa tomo anu seme?
jan seme li lon poka mi?
sina toki lon seme?
2.다음 문장을 작문하시오
내 친구는 한국 출신이야.
나는 전화기를 사용한다.(전화기는 ilo toki)
내 아버지는 큰 집으로 간다.
넌 내 뒤에 있니?
친구는 내 소원을 현실로 만들어준다.
난 한국어를 말한다.(lon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