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나, 우리(1인칭 전체)
sina:너, 너희(2인칭 전체)
ona:그, 그녀, 그들(3인칭 전체)
li:주어와 서술어를 분리(mi와 sina 제외)
jan:사람, 인간
soweli:동물
ni:이것, 저것
telo:물, 액체
kili:과일
moku:음식
mama:부모, 부모의
이번에 알아볼 것은 명사와 이를 활용한 기초 문장입니다. 먼저 명사란 사람, 물건, 장소등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명사는 도기 보나에서 주어. 목적어, 수식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도기 보나 명사의 특징은 단복수 구분이 없다는 것입니다. "jan"이라는 단어는 "사람"이 될 수도 있고, "사람들"이 될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특징은 성별 구분이 없다는 것입니다. 자연어에서는 같은 개념이라도 대상의 성별에 따라 구분을 지어놓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독일어로 선생님은 "Der Lehrer"와 "Die Lehrerin"이 있는데, 전자는 남자 선생님, 후자는 여자 선생님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도기 보나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없습니다. "mama"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포괄하는 "부모"라는 뜻입니다. 즉, "mama"는 "아버지"가 될 수도 있고 "어머니"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대명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mi"는 "나"와 "우리" 모두를 의미할 수 있고, "ona"는 "그", "그녀", "그들"을 모두 뜻할 수 있습니다.(물론 단복수나 성별을 표현할 방법이 있지만, 이는 3강에서 다루겠습니다.)
이제, 이러한 명사를 활용한 기초 문장을 알아보겠습니다. 명사를 활용한 기초 문장은 "명사 + li + 명사"(명사는 명사이다)입니다. 여기서 li는 주어와 서술어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단, li는 주어가 mi와 sina일 때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사람이다."와 같은 문장은 "mi jan."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는 사람이다."라고 할 때는 주어가 mi와 sina가 아닌 ona이므로, "ona li jan."이라고 합니다.
mi mama.(나는 부모이다.)
ona li soweli.(그것은 동물이다.)
kili li moku.(과일은 음식이다.)
ni li kili.(이것은 과일이다.)
1.다음 문장을 해석해보세요.
mi jan.
sina soweli.
ona li kili.
ni li moku.
2.다음 문장을 작문해보세요.
이것은 음식이다.
너는 사람이다.
나는 동물이다.
이것은 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