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의 아이디어는 ‘이분법적 사고’로부터 시작되었다. 예를 들면 사람을 볼때 좋은 사람, 나쁜 사람으로 구분하는 것처럼 나는 평소 어떠한 대상을 판단하는데 있어 항상 이분법적으로 사고하였다.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그것이 무의미하고 잘못된 판단이라고 느꼈고 이러한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이번 작품으로 보여주는 이분법적 사고는 ‘현실’과 ‘비현실’이다. 직접 찍은 여행 사진에는 ‘나’가 없다. 그렇다면 나는 정말 그 곳에 존재하는 것일까? 그래서 원래 ‘나’가 없는 공간에 ‘나’를 다시 재구성 시켜 그림을 그렸다. ‘나’는 사색을 하기도 하고 어떠한 물체를 바라보고 있다. 그래서 관객은 그 풍경이 부자연스럽게 느껴지기도 하고, 현실의 공간이지만 비현실적인 공간이라고 느끼기도 한다. 이를 통해 이분법적 사고에 대한 무의미함과 흐릿한 경계를 보여주려 한다.
The first idea began with 'dichotomical thinking'. For example, as I distinguish between good and bad people when I see people, I have always thought dichotomously in judging any object. As time passed, I felt it was meaningless and wrong, and I wanted to express my thoughts in a picture.
The dichotomy that this work shows is 'reality' and 'unrealistic'. I do not have 'I' in my travel photos. If so, am I really there? So I reconstructed 'I' in a space where there was no 'I' and painted it. 'I' is thinking and looking at some objects. So the audience feels that the scenery is unnatural, and that it is a space of reality but an unreal space. This is to show the meaningless and fuzzy boundaries of dichotomous th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