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memory >
<Our memory >
1.
졸업전시는 끝났지만 소설을 쓰고 여타 다른 일들을 하느라 정신이 없어 작업을 더 진척시키지 못했고 여전히 사람들을 만나지 못하고 있다. 학교-집-과제의 반복이다. 그래서 나와 내 주변에 대해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
하지만 이제껏 모아온 사진과 글만으로도 이번 전시를 하기에는 충분했다. 모빌을 계속 생각하다가, 이 방법이 약간의 도피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단순히 사진과 글을 보여주기에는 성의없어 보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때문에,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고 그냥 설치를 선택하는 건 아닐까. 요 근래에 설치하는 작업이 학과에 눈에 띄게 많아져서 그런지도 모른다.
그러다가 내가 새로 떠올린 건 메모리 게임이었다. 몇주전 다른 수업에서 사진과 글에 관한 크리틱을 하다가, 사진과 텍스트가 결합 했을때 함께 보여줄 수 있는 방법 중 효과적인 걸로 메모리게임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 것이다. 사람들은 흥미로워할 수도 있고, 글과 사진이 누가 쓴 건지 유추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이야기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어쩌면, 그 모든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말이다.
The graduation exhibition is over, but I have to write novels for creative writing course and do other things, so I have not been able to further my work and still can not meet people. School-home-assignments like that. so Actually I had no idea about me and my surroundings. Just have been in a rush.
But the photographs and texts that I have gathered so far have been enough for this exhibition. I kept thinking about the mobiles, and I wondered if this might be a little escape. I actually did not think seriously in my mind about mobile, I thought it might be better show installation than just photos and texts . cause there are a lot of new installation work from our departments.
I think a memory game as a new way to show my work. A few weeks ago, I thought of a memory game as an effective way to show pictures and texts, when i was in another class. It might be effective to show them together when the pictures and text are combined. People might be excited and make a new story which could created in the process of guessing who wrote what they wrote.
Maybe not all that matters, though.
2.
이미지와 텍스트를 수업시간에 가져가서, 처음으로 크리틱을 받았다. 그 전에도 시간이 없고 중간고사 발표때도 가지 못해서 크리틱을 한번도 받을 수 없었다.
작업 설명을 처음부터 조금 하고 나서, 교수님과 꽤 많은 이야기가 오갔다. 가장 논점이 됐던 건 이 작업이 왜 메모리게임이라는 방식으로 보여져야 하냐는 것이다. 그리고 관객들이 왜 그렇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라고 했다. 나는 다만 그들에 의해 새로운 이야기가 생성된다는 게 흥미로운 지점이라 생각했었다. 또한, 이제껏 생각해왔던 게 '나'라는 존재는 언제나 주변 상황에 의해 변하므로 내가 말하려는 바와 맞닿은 지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한참 이야기를 들은 후 다시 생각해봤을 때, 내가 메모리게임이나 모빌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작업을 보여주려 한 데는, 이 작업 자체가 나 자신 외에 다른 누군가에게 의미가 있으리라는 생각을 못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다른 사람들에게는 의미 없는 작업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들에게 또 다른 의미를 주기 위해 그런 방법을 떠올린 거였다.
교수님은 네 이야기이므로, 네가 작업 구성을 새로 하고 시도해보는 게 어떠냐고 물었는데 (지난 작업<맞닿은 시간>의 전시 형태처럼), 우선 생각해봐야겠다.
I took images and texts in the class, and got my first critic.
After a while from the beginning, I had a lot of talk with my professor and students. The most important point was why this work should be seen as a memory game. And they asked me to think about why the audience should do that. I thought it was an interesting point that a new story was created by them. Also, what I have been thinking about before is that the existence of 'I' always changes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situation, so I thought there was a point where I would say something.
After a while, when I think about it again, I was not trying to show my work through a new way of playing a memory game or mobile because I did not think that this work would be meaningful to anyone but myself. In other words, I thought it was meaningless work for others. So I came up with a way to give them another meaning.
Professor also asked me why you are no creating your story like the exhibition of past work. Because I thought 'my story' is not that important for the others.
I can not say what is good or bad right now. I will think about that point carefu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