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올바른 미디어 길잡이 (김포 김나연)


  • 제안 배경 및 필요성

1) 정책 제안 계기 ;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를 포함한 37개국 74,000명으로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한국의 뉴스 신뢰도와 뉴스를 이해하는 능력인 뉴스 리터러시 수준이 최하위를 기록했다고 한다. 나는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가짜뉴스의 무분별한 유포 뿐만 아니라 이를 그대로 수용하는 사람들의 인식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2) 정책 제안 배경 : 정보화 시대에 들어서게 되면서 우리는 많은 양의 정보를 접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많은 양의 정보들이 검증되지 않음을 악용하여 허위의 사실을 고의로 전달하는 가짜뉴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이러한 가짜뉴스는 청소년들이 많이 사용하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에 유포되고 있으며, 청소년들은 아직 뉴스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길러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이에 청소년들이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좋은 정보를 구분하고 습득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기르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 정책 내용

1) 초등학생 수준에 맞는 미디어 교육 실시

초등학생에게 유튜브는 오락의 공간이자 비공식 학습 및 또래 문화가 형성되는 공간이다.

초등학생이 그들의 미디어 문화를 성찰하고 새로운 소통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2) 중학생 수준에 맞는 미디어 교육 실시

누리 소통망(SNS)을 접하게 되는 시기이다.

올바른 댓글 문화 형성이나 정보 탐색 윤리 등 생활 속에서 지켜야 할 여러 가지 인터넷 윤리에 대해 수업한다.

우리 생활 속의 다양한 매체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는 활동을 진행한다.


3) 고등학생 수준에 맞는 미디어 교육 실시

미디어 리터러시와 뉴스 리터러시가 무엇인지에 알아본다.

가짜뉴스를 어떻게 구별하는지에 대한 수업을 실사한다.

경제, 정치, 외교,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언론사별 뉴스를 비교하는 활동과 토론 활동을 진행한다.


  • 소요예산

1) 미디어 리터러시 강사 초빙 비용,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수 비용

2) 경기도교육청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지원 조례에 따르면 필요한 모든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언급하고 있음.


  • 정책 추진시 해결과제

1)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이 미디어에 대해 얼마나 자세히 알고,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가에 관한 설문지를 만들어 미디어 교육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2) 초등학교, 중학교의 국어, 사회, 도덕 수업을 들으면서 학생들이 지켜야 할 미디어 윤리나 미디어의 이해 등 언론 매체에 관한 내용이 많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현실적으로 교육 과정에 미디어 교육을 추가하거나 교과서에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는 것은 힘들 것으로 생각한다. 이렇기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창체 시간을 활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 기대효과

1)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앞으로 정보화 시대에 살아갈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미디어 윤리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청소년들이 뉴스나 인터넷 게시글, 유튜브 영상 등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미디어의 맥락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비판적이며 심층적인 시각을 갖도록 돕는다.


  •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