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기간 동안 변함없이 타오르며 올림픽 정신을 상징하는 불꽃, 성화. 이 성화는 고대 올림픽 경기 기간 중 불타오르던 제우스 신전 제단 성화에서 비롯되었다. 근대 올림픽에서는 1928년 개최된 암스테르담올림픽에서 성화가 처음 등장하게 되었다. 성화는 고대 올림픽 채화 방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위치한 헤라 신전에서 여성사제가 오목 거울을 이용해 태양빛을 채화하고, 파라핀 오일을 사용하는 안전 램프에 담아 전세기에 실어 개최국으로 전달한다.
콜로세움(Colosseum)은 지금으로부터 2000년 전인 고대 로마 제국 시대에 만들어진 원형 경기장이다. 석회암, 응회암, 콘크리트 등으로 지어져 있고, 5만 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야구장인 고척돔이 2만 명 정도 수용 가능하며, 축구 경기장인 상암월드컵경기장이 6만 석 규모라는 것을 생각하면 참으로 경이롭다. 콜로세움이라는 이름은 근처에 있었던 네로 황제의 동상(巨像:colossus)에서 유래한다.
원래 이름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으로, 서기 72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착공해 8년 뒤에 아들인 티투스 황제가 완공했다. 콜로세움은 수 세기 동안 계속 개축되어왔고, 로마 제국의 전성기에는 5만 명에서 8만 명의 관중들을 수용할 수 있었다.
콜로세움에서는 주로 검투사들의 결투가 이루어졌으며, 모의 해전, 동물 사냥, 신화의 재연 등 다양한 행사들이 펼쳐졌다. 다만 중세에 이르러 제국이 쇠퇴하고 로마가 폐허로 변하자, 콜로세움도 이와 같은 변화를 피하지 못하고 채석장, 요새, 교회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콜로세움은 강도, 약탈, 채석과 같은 파괴 행위로 상당 부분이 손상을 입었으나, 여전히 로마의 상징과 같이 여겨지고 있다.
로마에서 가장 인기있는 관광지 중 하나이며, 이탈리아에서 사용되는 5센트 유로화 동전에도 새겨져 있다.
우리나라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일명 DDP. 세계적인 영국의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설계하여 2014년 개장, 동대문의 패션과 문화 그리고 디자인을 상징하는 랜드마크로 자리잡아 있다.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2015년 꼭 가봐야할 명소 52'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세계적인 명품 샤넬의 패션쇼 및 많은 굵직한 행사 및 콘퍼런스가 이곳에서 열리고 있다. 시민들이나 관광객,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랜드마크가 되어 주변 동대문 상권에 대해서도 일시적인 흥행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매출을 올리는데에 크나큰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의 랜드마크가 된 DDP, 2014년 DDP가 생기기 전 그 곳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바로 그 자리에는 1925년 건립된 이래 국내 최고(最古)의 경기장이자, 국내 스포츠의 메카였던 동대문 운동장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에 의해 만들어진 경성운동장을 시작으로, 해방 후에는 서울 운동장,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 개최 이후에는 동대문운동장으로 이름을 바꾸며, 국내 최고(最古)의 경기장이 그곳에 있었다. 서울과 평양이 축구로 겨루는 경평축구대회, 전국체육대회, 고교야구대회와 실업야구 등 각종 스포츠 뿐만 아니라, 각종 행사, 그리고 백범 김구 선생의 장례식도 열렸었다.
영국 런던에 있는 웸블리 스타디움. 영국 축구의 성지이며, 영국을 대표하는 스포츠 스타디움이다. 이 웸블리 스타디움은 현재의 모습으로 2007년 만들어 졌다. 그렇다면 이 웸블리 스타디움이 만들어 지기 전, 그 긋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바로 그 자리에는 1923년부터 (구)웸블리 스타디움이 있었다. 1923년부터 (구) 웸블리 스타디움이 있었고, 거기에 영국 축구와 스포츠의 자존심이 있었고, 글로벌 스타들의 레전드 공연이 있었다. 그러한 (구) 웸블리 스타디움이 80년이 넘어가자 노후화로 인해 우리나라와 똑같은 논의가 진행되었다. 기존 스타디움을 철거 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영국은 역사성과 상징성을 고려하여 재건축을 결정, 그 자리에 그대로 다시 새로운 웸블리를 건설하기로 한다.
대한민국의 동대문 운동장과 영국의 웸블리 스타디움은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져 비슷한 시기에 철거 되었지만 결과는 전혀 다르게 되었다.
# Thanks to 금광중학교 임건희 체육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