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취기준
□ 성취기준
[4음02-01]: 3~4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와 개념을 구별하여 표현한다.
[4음02-02]: 상황이나 이야기 등을 표현한 음악을 듣고 느낌을 발표한다.
[4음02-01]: 3~4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와 개념을 구별하여 표현한다.
[4음02-02]: 상황이나 이야기 등을 표현한 음악을 듣고 느낌을 발표한다.
출판사: 미래엔
단원: 마음을 열며
제재: 귀로 듣는 봄
학습 주제: 음악을 듣고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기
교과서 쪽수: 23쪽
작곡가 황의종은 1952년 충청북도에서 태어났으며 가야금 독주곡, 가야금 중주곡, 합주곡 등을 작곡하였다. 푸른 산을 보며 ‘청산’이라는 곡을 작곡하였다.
1893년도 3월에 작곡된 이 곡은 가야금 독주곡으로. 김일로의 시 “봄”중 ‘산기슭 휘돌아 앞에 선 벗님, 봄비 맞아 젖은 옷에 청산의 향기’를 읽고 작곡하였다. ‘청산’이란 곡 중 ‘봄비’는 봄비가 내리는 모습을 가야금으로 표현한 곡이다.
출처: https://youtu.be/-sHzx5AuT-w
궁중 무용 ‘춘앵전’은 이른 봄날 아침의 나뭇가지에서 노래하는 꾀꼬리의 자태를 무용으로 표현한 것이다. 머리에는 화관을 쓰고, 꾀꼬리를 상징하는 앵삼을 입고, 양쪽 손에는 한삼을 끼고, 화문석(꽃돗자리) 위에서 추는 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