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공드리
Cafe GONDRY
Cafe GONDRY
다양한 나라에서 온 외국인들이 즐겨 찾는 카페공드리. 커피뿐만 아니라 음식과 술도 판매하는 특별한 카페입니다. 아이들을 위한 케이크, 차, 디저트도 판매합니다.
Cafe GONDRY is a popular place for foreigners from different countries. It is a cafe that sells not only coffee, but also food and alcohol. They also sell cakes, tea and desserts for children.
️✒️ 삶이 시가 되는 순간들 : 학생 창작 시
카페공드리
김경빈
프랜차이즈들이 들어오면서
사라지는 수많은 가게들
그 속에서 자리를 지키고 있는
문화유산과도 같은 존재
카페들의 할아버지 같은 존재
북촌의 옛 풍경을 되살려주는 존재
커피와 술,
프랑스의 영화 감독
공드리가 판매하는
이국적인 분위기
시끌시끌,
웃음 소리와 함께
저녁마다 파티가 열리는
이곳은 숲속의 오두막집
인간미 넘치는
북촌의 할아버지
카페 공드리
그냥 평범한 카페
박진아
항상 스쳐지나갔던
눈앞에 있는 카페
아기자기한 장난감들이
나에게 손짓을 하는 모습
나에게는 그냥 평범한 카페
무엇이 그리 특별한지
의문을 가지고 문을 열었다.
나의 코를 찌르는
달달하며 알싸한 향기
나의 눈을 꽉 채워주는
작은 인형들,
따뜻한 전등,
생각보다 세련된 모습
둘러보니
카페가 생각보다 작아서
갸우뚱했다,
둘러보니
손님들이 왜 이곳을 좋아하는지
알 것 같았다.
공간을 휘감는 진한 커피 향이
마음을 취하게 만들 것 같았다.
시간이 빠르게 흘렀다.
그냥 평범한 카페,
조금 특별해진 카페,
아쉬움을 챙겨 문을 닫았다.
뿌리 깊은 작은 카페
송태성
계동의 한 작은 골목,
한옥처럼 오래된 그 카페
묵묵히 그 자리를 지켜왔네
눈이오나 비가오나
낮이나 밤이나
굳센 마음으로
매일매일 사람들을 기다리며
무대의 막을 내린다.
눈으로 보고 코로 느끼는
이정환
길목마다 보이는
여러 사람들
여러 가게들
사이사이
숨어있는 가게들의
달콤하거나,
짭짤하거나,
고소한,
각자의 향기
카페의 문을 열자
사장님을 닮은 호두까기 인형이
나를 반긴다.
고소한 커피 향기가
코를 간지럽힌다.
나는 지금 이곳을
눈으로 보고
코로 느끼는 중이다.
📸 사진을 통해 본 마을 가게
박진아(사진 및 설명 글)
햇빛이 쨍쨍한 어느 날. 우리들은 카페로 인터뷰를 가면서 나라를 구하러 가는 군인처럼 긴장을 했다. 카페 공드리의 외관은 참 멋있었다. 마치 어두컴컴한 골목에 홀로 빛나는 고독한 바 같았다. 항상 지나가면서 멋지다고만 생각했던 곳이 지금의 인터뷰 장소가 되었다는 생각에 긴장된 마음과 함께 기대감이 차올랐다.
'안녕하세요'라는 힘찬 인사와 함께 카페로 들어갔다. 내부 인테리어는 밖과 완전히 느낌이 다른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친구들이 자리에 앉아서 사장님을 기다리고 있는 동안, 나는 카페를 찬찬히 둘러보면서 카페가 생각보다 작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벽에는 매력적인 글씨체로 써 있는 메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커피, 피자, 디저트와 함께 여러 가지 종류의 술이 소개되어 있는 것을 보고 독특하다는 생각을 했다. 문득 어른이 되어 미국에 있는 술집으로 들어간 것 같은 묘한 느낌이 들었다.
인터뷰가 시작되었다. 사장님은 우리들에게 살구 주스를 만들어 주셨다. 처음에는 조금 떨리는 목소리로 시작했지만, 점차 자연스럽게 인터뷰가 이어질 수 있었다. 마침내 인터뷰가 끝나고 사장님께 인사를 하고 카페 밖으로 나왔다. 우리들은 서로 '수고했다'는 말을 전하며 뿌듯한 마음을 한가득 안고 기분 좋게 집으로 향했다.
마을 가게 인터뷰 보고서⌨️️️️
송태성(글)
운치 있는 북촌의 한 작은 카페, 카페 공드리
우리 동네에 불어온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우리는 마을 가게를 직접 방문하게 되었다. 우리 모둠이 방문한 곳은 북촌 계동의 카페, 카페 공드리였다. 이곳은 여러 블로그를 통해 본 것처럼 펍 분위기가 나는 작은 카페였다. 카페에 들어서자 사장님께서 밝은 미소로 우리를 맞이해 주셨다. 긴장으로 얼굴이 굳어진 모둠원들을 위해 주스와 디저트를 서비스로 챙겨주시는 사장님의 센스는 정말 완벽했다. 잠시 카페를 둘러본 후, 활동의 본 목적인 인터뷰를 진행했다.
"계동은 예전부터 좋아했던 동네예요. 계동길은 예쁘고 정감이 있어서 이곳에 가게를 차리게 되었습니다."
2005년에 처음 북촌 계동으로 오게 되셨다는 사장님. 계동에서 살면서 동네에 대한 애정을 품게 되었고, 그 마음을 가득 담아 2019년부터 가게를 시작하셨다고 한다. 동네에 대한 애정이 카페 운영으로까지 이어졌다는 사장님의 말씀을 듣고, 카페 공드리가 더욱 따뜻하게 느껴졌다.
"많은 관광객들이 생소하다고 생각할 수는 있지만, 이곳은 '펍' 분위기를 가진 카페입니다."
북촌의 다른 카페들과는 달리, 카페 공드리에서는 주류를 판매한다. 저녁 시간에 카페의 앞을 지나칠 때면 테라스에 자리를 잡고 맥주를 마시고 있는 외국인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전통적인 분위기가 주가 되는 북촌 계동에서 이국적인 느낌을 물씬 풍기는 카페를 운영하게 된 계기가 궁금해졌다.
"처음부터 펍 분위기로 꾸민 건 아니예요. 처음에는 이곳도 평범한 카페였어요. 그런데 주위에 프렌차이즈들이 많이 생기면서 커피만으로는 경쟁이 안 되더라고요. 그래서 가게에서 맥주를 팔다 보니까 펍 분위기가 된 거지요."
카페 공드리도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를 겪고 있었다. 우리 동네에도 점점 많아지고 있는 프렌차이즈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펍' 분위기를 만들어낸 사장님의 결정이 참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북촌의 특색을 잘 살린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검색을 해보니 '공드리'라는 이름도 외국의 영화 감독의 이름을 본뜬 것이어서 공드리만의 느낌이 살아가는 것 같았다.
"사실 가게의 이름은 제가 지은 게 아니고, 전에 장사를 하던 친구들이 지은 거예요. 그 친구들이 원래 영화 배급사에서 일을 했는데, 카페를 하기 전 마지막으로 했던 일이 미셸 공드리 감독의 <수면의 과학>이라는 영화를 수입해 오는 거였어요. 그래서 공드리 감독의 이름을 따서 카페를 만들고, 내부 인터레어도 <수면의 과학>이라는 영화 속 분위기가 연상되도록 꾸미게 되었다고 해요."
'공드리'가 단순히 멋있는 외국 이름인 줄만 알았는데, 이전 주인 분들의 이야기가 담긴 이름이라는 생각을 하니 더욱 뜻 깊게 느껴졌다. 조금 어려울 것 같긴 하지만, 공드리 감독이 만들었다는 <수면의 과학>이라는 영화를 보고 이곳에 방문하면 더 의미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뒤이어 사장님은 이 카페가 지닌 소중한 가치에 대해 말씀해주셨다.
"여러분들처럼 카페에 관심을 가지고 찾아주시는 분들이 있다는 것이 참 소중한 것 같아요. 가게를 방문해주시는 손님들이 카페의 소중한 가치가 아닐까 싶어요."
카페에 방문하는 손님들을 정성으로 맞이하는 사장님의 모습을 보면서 '손님들이 카페의 소중한 가치'라는 사장님의 신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마음 덕분에 공드리가 북촌 계동을 대표하는 카페가 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계동은 저의 마을이죠. 비록 제가 태어난 곳은 아니지만, 일터가 있고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오면서도 사장님의 말씀이 계속 귓가에 맴돌았다. 사장님에게 계동은 삶의 터전이었다. 사실 중학교에 들어오면서 처음 계동을 알게 된 우리들은 이곳을 '관광지'라고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사장님의 말씀을 듣고, 계동이 누군가에게는 소중한 삶의 터전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리도 중앙중학교에서 3년 동안 학교 생활을 하다 보면, 이곳이 '나의 마을'로 느껴지게 될 수 있을지 궁금해졌다. 비록 내가 태어난 곳은 아니지만, 나의 학교가 있고 친구들과 함께 생활하는 이곳이 '우리 동네'로 느껴지길 기대하며 인터뷰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