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s Open Sources: Software, Copyright, and Cultural Critique
by Christopher Kelty, 2004
세 가지 중요한 사건들이 프리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운동의 역사에 자리하고 있다. 1984년, 리차드 스톨먼Richard Stallman이 Free Software Foundation을 설립하고 첫번째 저작권 라이선스와 소프트웨어 모듈들, 그리고 GNU라고 알려져 있는 운영체제를 제공하였다. 스톨만의 운동은 종종 "공짜(free) 맥주가 아닌 말할 수 있는 자유로서의 자유(free)"이라고 불리우는 구호를 강조한다. 1992-1993년에 인터넷에서 일어난 굉장히 넓은 형태의 협업으로 GNU 소프트웨어와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가 만든 커널이 포함된 리눅스Linux 라는 오픈 소스 운영체제가 탄생하였다. 리눅스는 1990년대의 프리 소프트웨어 상징이었다. 아파치Apache라고 불리는 무료 웹 서버와 함께 리눅스는 썬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나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IBM과 같은 기존 소프트웨어 업체들과 경쟁하게 되었다.
마침내 1998년에 베테랑 해커인 에릭 레이몬드Eric Raymond와 브루스 페렌스Bruce Perens는 정치적 짐과 1990년 말 일어난 비정상적인 인터넷 비즈니스의 흐름에서 벗어나기 위해 'Free Software'라는 단어를 'Open Source'로 바꾸자고 제안하기에 이른다.
The GNU Menifesto
by Richard Stallman
http://www.gnu.org/gnu/manifesto.ko.html (한국어 제공)
리차드 스톨먼의 GNU 선언문은 오픈 소스 세계에서 상징성을 가지는 선언문이다. 이 선언문에서 그는 성서에서 '대우받고자 하는 대로 행하여라'라는 황금률의 이야기를 예로 들면서 어떤 소프트웨어를 좋아한다면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이 가져올 수 있는 우리 사회의 행동적 변화와 탈집중화Decentralized가 우리에게 자유와 권력 종속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하였다.
Eric von Hippel, 2004
Eric von Hippel은 혁신에 관한 한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혁신이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는가를 Information Product와 Physical Product로 나누어 설명하였는데, Information Product의 경우 혁신적 선두 그룹이 사용자 커뮤니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과 달리 Physical Product는 제조업자를 거쳐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우분투 설치법
우분투의 설치는 여러 기존 운영체제(Mac OS, Windows 등)에 가상 머신 등의 형태로도 설치가 가능하며, 오픈 소스 개발자들이 마련한 간단한 툴킷을 통해 설치가 가능하다.
Windows 운영체제의 경우 Wubi라는 우분투 전용 설치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설치하면 된다. 우분투 CD 이미지를 우분투 공식 홈페이지인 http://www.ubuntu.com/ 에서 다운로드한 뒤 Wubi 홈페이지(http://wubi-installer.org/)에서 인스톨러를 다운받는다. 그 후 Wubi 인스톨러와 우분투 이미지를 같은 경로에 놓고 인스톨하면 자동으로 우분투 운영체제를 설치해 준다.
Mac OS의 경우에는~~~ 하면 된다.
사진은 Selected 캡션을 달아 함께 구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Sketch (사진과 함께, 혹은 자유로운 구성으로서의 텍스트)
첫날은 가볍게 몸을 푸는 의미로, 워크숍 참가자들은 첫날 리눅스linux 기반의 오픈 소스 운영체제인 우분투ubuntu를 각자의 개인 노트북 컴퓨터에 설치하였다. 우분투의 설치는 기존 운영체제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되어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우분투 설치 후 칙센트미하이 교수의 강의가 이어졌다. 우분투와 같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역사와 개념, 그리고 성공적인 오픈 소스 프로젝트(e.g., 아파치apache 웹 서버, 파이썬python 프로그래밍 언어, 오픈 오피스open office 등)에 대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