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접종

개와 고양이의 예방접종

예방접종의 필요성

1. 예방접종을 해야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감염이 발생했을 때 치료할 수 있는 적절한 제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2. 예방접종에 포함된 대부분의 바이러스 및 세균성 질환은 증상발생시 대증치료(증상에 대한 치료) 위주의 치료를 실시 합니다. 이러한 치료 만으로는 생존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3. 바이러스 감염증의 경우 결국 감염된 환자의 항체(저항력)가 생존의 주된 KEY이지만 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 항체형성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1) 개의 예방접종

  • 종합백신(DHPPL) : 하나의 백신안에 파보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전염성 간염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을 포함한는 백신으로 2~3주간격으로 기초접종 5차례 진행 후 매년 추가 접종을 실시합니다.
  • 코로나 장염백신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백신으로 2~3주간격으로 기초접종 2회 후 매년 1차례씩 추가 접종을 실시합니다.
  • 켄넬코프백신 : 전염성 비기관염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백신으로 2~3주간격으로 기초접종 2회 후 매년 1차례씩 추가 접종을 실시합니다.
  • 인플루엔자 백신 : 기초접종 2회 후 매년 1차례씩 추가접종을 실시합니다.
  • 광견병백신 : 국내에서는 법정전염병으로 분류되며, 필수로 실시해야하는 백신입니다. 매년 1~2차례 진행합니다.

*접종 스케줄은 동물병원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각 병원 수의사 선생님과 상의 하세요

2) 고양이의 예방접종

  • 고양이 필수 예방 접종은 종합백신과 광견병백신이며, 수의사와의 상담 후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와 전염성복박염(FIP,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접종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 고양이 종합백신 :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과, 상부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체중 허피스바이러스, 칼리시바이러스, 클라미디아에 대한 예방 접종으로 3주 간격으로 3차례 기초접종 후 매년 1차례씩 추가 접종을 진행합니다.
  • 고양이 백혈병바이러스(FeLV) 백신은 9주령 이상 고양이에서 진행하며, 3~4주 간격으로 총 2차례 기초접종합니다. 추가 접종은 1년 후 진행하며, 이후 3년간격으로 진행합니다. 고양이 백혈병바이러스 백신은 반드시 투여전 검진을 통하여 항원 감염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감염된 고양이에서 접종을 금합니다.


*접종 스케줄은 동물병원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각 병원 수의사 선생님과 상의 하세요

  • FeLV 및 FIP 백신은 반드시 수의사와 상담 후 진행합니다.
  • 접종 주기(주차)는 참고 예시이며,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