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 Shape of Taste Drawing No.37-46
2022
colored pencil on printed paper
5x5cm (10ea)
<A Shape of Taste Drawing>(No.37-46)은 2022년 부산 개인전에서 선보일 예정이었지만 그렇게 하지 못했다. 전시장의 공간적 한계로 어떤 회화를 "위한" 드로잉보다는 완성된 회화를 위해 자리를 내어주었다. 그렇다고 이 작업이 완성된 회화보다 낮은 지위를 갖는 것은 아니다. 회화가 완성되기 이전의 상태, 다듬어진 화면이 아닌 거칠고 날 것의 재료이면서 순수하게 자신의 기원을 드러내는 작은 작업이다. 드로잉이 없었다면 회화도 없었을 것이다. 그렇기에 이 드로잉은 이미 완성되어 나의 손을 떠난 회화를 다시 소환하고 재송출하며 2022년의 이야기를 이어 나간다.
작가 소개
이희준은 오늘날 회화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며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관찰한다. 오늘날의 디지털 조건과 변화의 속도 속에서 회화라는 매체에 대한 애정과 관심으로 새로운 접근 방식과 해석을 찾고 있다. 2016년 첫 개인전으로 시작해 지금까지 작업의 주된 소재는 도시와 건축 공간 안에서의 경험이다. 작가를 둘러싼 도시 환경에서 기하학적 도형과 색 면을 발견하고 화면 위에 재구성하고 있다. 팬데믹 이후 대면의 경험에서 비대면의 경험으로, 일상의 공간에서 가상의 공간으로, 그동안 유예했던 비물질의 경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작가는 회화가 가지는 물질의 가치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다. 작가는 회화를 통해 일상의 가치를 다시 한번 들여다보게끔 하고 사유를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한다면 회화는 새로운 모습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믿는다.
Heejoon Lee observes the environment that surrounds him and seeks the sustainability of painting. In today's digital conditions and speed of change, he explores new approaches and interpretations in the medium of painting with affection and interest. From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2016, the main subject matter of his work has been his interaction with space in architecture and the cities. He discovers geometric shapes and color planes in the urban environment and reconstructs them on canvas. The artist expands his interest in the material value of painting during the shift from face-to-face to contact and from everyday spaces to virtual since the pandemic - the heightening of immaterial experiences. He believes that as long as painting provides the space to reflect on everyday life and exchange thoughts, it will endure and extend as its new forms.